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교양영어 수업의 나아갈 방향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전면 해제됨에 따라 많은 교육 기관들이 대면 수업으로 다시 전환하는 이 시점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한 대학 교양영어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 양영어를 수강한 대학생 1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대면 수업보다는 비대 면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87.8%), 이에 대한 만족의 이유는 수업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 체계 적 수업 진행, 학습의 효율성, 편의성으로 나타났다. 대면 수업, 비대면 수업과...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8; no. 5; pp. 51 - 57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0.09.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0358 2384-0366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전면 해제됨에 따라 많은 교육 기관들이 대면 수업으로 다시 전환하는 이 시점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한 대학 교양영어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 양영어를 수강한 대학생 1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대면 수업보다는 비대 면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87.8%), 이에 대한 만족의 이유는 수업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 체계 적 수업 진행, 학습의 효율성, 편의성으로 나타났다. 대면 수업, 비대면 수업과 혼합 수업, 이 세 가지 수업 형태 중 학습자들은 비대면 수업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54.4%) 이에 대한 이유로 공간적 편리성, 학습의 용이 성, 집중도와 학습 효과가 나타났다. 대면 수업으로 전환되더라고 기존의 온라인 비대면 수업의 장점이 병행되고 적 극 반영될 수 있는 학습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229050780140 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
ISSN: | 2384-0358 2384-03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