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시대 소셜 미디어 이용과 인구사회학적 및 성격 요인에 관한 연구

글로벌 팬데믹이 가져온 언택트 환경은 성숙기에 있던 소셜 미디어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됐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소셜 미디어의 운영 및 활용 방안을 재구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2022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에서 추출한 9,686명의 단면 응답 자료를 분석하여 소셜 미디어 비이용자와 이용자의 인구사회학 적 및 성격 요인을 비교하고, 이 같은 요인들이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 소셜 미디어 비이용자와 이용자는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소득 수준, 직업 유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9; no. 6; pp. 209 - 215
Main Author 김예솔란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1.1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Cover

Abstract 글로벌 팬데믹이 가져온 언택트 환경은 성숙기에 있던 소셜 미디어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됐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소셜 미디어의 운영 및 활용 방안을 재구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2022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에서 추출한 9,686명의 단면 응답 자료를 분석하여 소셜 미디어 비이용자와 이용자의 인구사회학 적 및 성격 요인을 비교하고, 이 같은 요인들이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 소셜 미디어 비이용자와 이용자는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소득 수준, 직업 유무, 배우자 유무,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신경성에 차이가 있었다.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에는 성별, 연령, 소득 수준, 직업 유무, 성실성, 조화성이 영향을 주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제2의 도약 기회를 마주한 소셜 미디어 시장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이용자와 이용 행동 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혀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List 글로벌 팬데믹이 가져온 언택트 환경은 성숙기에 있던 소셜 미디어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됐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소셜 미디어의 운영 및 활용 방안을 재구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2022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에서 추출한 9,686명의 단면 응답 자료를 분석하여 소셜 미디어 비이용자와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성격 요인을 비교하고, 이 같은 요인들이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 소셜 미디어 비이용자와 이용자는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소득 수준, 직업 유무, 배우자 유무,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신경성에 차이가 있었다.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에는 성별, 연령, 소득 수준, 직업 유무, 성실성, 조화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제2의 도약 기회를 마주한 소셜 미디어 시장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이용자와 이용 행동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혀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untact environment brought about by the global pandemic has emerged as a new driving force for the matured social media market. In the post-coronavirus era, there arises a pivotal need for foundational data to reconfigure the operations and utilization strategies of social media. Using data from the 2022 Korean Media Panel Survey, this study compared sociodemographic and personality factors between social media non-users and users, and examined how these factors influenced social media usage time. The findings indicate differences between social media non-users and users in terms of gender,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employment status, marital status, openness to experience,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Usage time of social media is influenced by gender, age, income level, employment status, conscientiousness, and agreeableness. These results are anticipat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users and their usage behaviors for stakeholders in the social media market as they confront a potential second leap forward. KCI Citation Count: 0
글로벌 팬데믹이 가져온 언택트 환경은 성숙기에 있던 소셜 미디어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됐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소셜 미디어의 운영 및 활용 방안을 재구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2022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에서 추출한 9,686명의 단면 응답 자료를 분석하여 소셜 미디어 비이용자와 이용자의 인구사회학 적 및 성격 요인을 비교하고, 이 같은 요인들이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 소셜 미디어 비이용자와 이용자는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소득 수준, 직업 유무, 배우자 유무,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신경성에 차이가 있었다.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에는 성별, 연령, 소득 수준, 직업 유무, 성실성, 조화성이 영향을 주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제2의 도약 기회를 마주한 소셜 미디어 시장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이용자와 이용 행동 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혀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untact environment brought about by the global pandemic has emerged as a new driving force for the matured social media market. In the post-coronavirus era, there arises a pivotal need for foundational data to reconfigure the operations and utilization strategies of social media. Using data from the 2022 Korean Media Panel Survey, this study compared sociodemographic and personality factors between social media non-users and users, and examined how these factors influenced social media usage time. The findings indicate differences between social media non-users and users in terms of gender,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employment status, marital status, openness to experience,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Usage time of social media is influenced by gender, age, income level, employment status, conscientiousness, and agreeableness. These results are anticipat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users and their usage behaviors for stakeholders in the social media market as they confront a potential second leap forward. 글로벌 팬데믹이 가져온 언택트 환경은 성숙기에 있던 소셜 미디어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됐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소셜 미디어의 운영 및 활용 방안을 재구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2022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에서 추출한 9,686명의 단면 응답 자료를 분석하여 소셜 미디어 비이용자와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성격 요인을 비교하고, 이 같은 요인들이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 소셜 미디어 비이용자와 이용자는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소득 수준, 직업 유무, 배우자 유무,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신경성에 차이가 있었다.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에는 성별, 연령, 소득 수준, 직업 유무, 성실성, 조화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제2의 도약 기회를 마주한 소셜 미디어 시장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이용자와 이용 행동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혀줄 것으로 기대한다.
Author 김예솔란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예솔란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17629$$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zD9Lw0AABfAgFazaryC3uAiF-5e7ZCzF_wVBuh_X9CIhtZXExU2LOtSCDtVqiaDgIhSsWqGDfqHk8h2MVpzeg_fjzRu5ZqupZow8JhYtQsJY7r-b1pxRCEOvBinl1LQRyht-ejnUnae0MwH6q5c8Rkn7FuiLKOkeA33e1WcRSF4mSa-nb8ZA34_14Dl-_8zaJP4Y6vYwHXTT6zv9cAKS0SXQp6_x2zPQg14GdP8KxOPj9DoCuj_K-KIx68pGqAp_uWBU11ar5Y1iZWd9s1yqFJVlWUWJKVJQYViTtsuhcmzGcQ2adYYdG0HEHAJdk2ObK1e5VNazhdSxwyVyJOcWWTBWprfNwBW-44mW9H5zryX8QJR2q5sCQYIthn7w8hT7XnjoiWY9bIit0vYOhpgQyhg2MbNsO3NLU6dkcOg5DSUOAm9fBkeCUsghIt_msI4v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306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Social Sciences (General)
DocumentTitleAlternate Study on Social Media Use and Sociodemographic and Personality Factors in the Post-COVID-19
EISSN 2384-0366
EndPage 215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328618
JAKO202334662526899
440701
GroupedDBID M1Z
.UV
JDI
ACYCR
ID FETCH-LOGICAL-e888-a241e0e20ba9f70ec9672b05d62c91016c30f57297efef4ad5d63d2c7a1ca7783
ISSN 2384-0358
IngestDate Wed Jan 24 04:14:35 EST 2024
Thu Jan 04 06:40:46 EST 2024
Tue Apr 22 16:20:53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6
Keywords Social Media Use
인구사회학적 요인
성격 요인
Personality Factors
소셜 미디어 이용
Sociodemographic Factors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88-a241e0e20ba9f70ec9672b05d62c91016c30f57297efef4ad5d63d2c7a1ca7783
Notes KISTI1.1003/JNL.JAKO202334662526899
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34662526899&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328618
kisti_ndsl_JAKO202334662526899
earticle_primary_44070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3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3-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23
  text: 2023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PublicationTitleAlternate 문화기술의 융합
PublicationYear 2023
Publisher 국제문화기술진흥원
Publisher_xml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SSID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core 1.8547255
Snippet 글로벌 팬데믹이 가져온 언택트 환경은 성숙기에 있던 소셜 미디어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됐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소셜 미디어의 운영 및 활용 방안을 재구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2022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에서 추출한 9,686명의 단면 응답 자료를...
The untact environment brought about by the global pandemic has emerged as a new driving force for the matured social media market. In the post-coronavirus...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209
SubjectTerms 과학기술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분석 자료 2. 측정 도구 3.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문제1의 검증 2. 연구문제2의 검증 Ⅳ. 결론 References
Title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소셜 미디어 이용과 인구사회학적 및 성격 요인에 관한 연구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40701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34662526899&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17629
Volume 9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문화기술의 융합, 2023, 9(6), , pp.209-215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btNA0Gp74oJ4Ex6VJVgJFFz5sbZ3j7aTqLQCLkUqJ8ux16gKpChNLxxQqYBDqVQOKYUqSCBxqVSJAkXqAX4ocf6B2fUjKSricXHGs-uZyc56dma9OytJVym2AwuTusKCmCmYEqwEmkUVnUHsgHEMEYfI9nnbmr6LZ-bN-bHxGyOrlpbb9anw8ZH7Sv5Hq4ADvfJdsv-g2YIoIAAG_cIVNAzXv9IxqlYQqSHHQ1UPEQc5WGAc5JIyR7kVRAHlIkdD1OMA0RFNy4ibowBWU5TFbzhgQllZPFgDWhwAOpyUh6iFXCyq0wpAAgDOFFWBrYFcrygjAmXm4ukCqPDaJAWAC-VFjgr-rGDnAlRLZcHI1QQBeI6WMzaZCClxAGxEuegOF4SoOdFMBJuTy0X4jRPO3W6x8L6VJiWFdyHNRcLK7eKjg5g2mfG8Yj25oEoFR-BDECFZ86WtTauIFF-B7jHoA-AQlGcXHo5OsehGnsgxt8Tg1mBFNdIc81NsFJceGZMPJXTkjTk0LKh0xMPQ0w2sh5N__zIoF0slZ5zZO1wmA1sQquoWxMfj0rihcZt-60k1t506nx00h1_MdQPz5JDa8F6c7lrYXoxtbNKhbQev37aoOK20-LfcP8v6NoRuPJ5ZAA-s2YpHPLC5E9LxTGuyk9Y9KY01Fk9JpXR_uZyNUUvytSyR-vXTUmOwsZusfRysHcjJj07_Q7e_-kZOXnb76yty8mI9ed6V-58O-p1O8npfTt7tJ9s7va_fATrofdtNVncH2-uDzbfJ-6dyf29DTp597n3ZkZPtDlRItl7Jvf2VwWZXTrb2oPoZaa5WnfOmlexwEYURMCMBeK5MZbpaD2hsqyyklq1DM0SWHlI-oxUaamxC5GmzmMU4iKDEiPTQDrQwsG1inJUmmotNdl6SI10LNDOkmIUmjiO-txvbemTUDfD1SaSXpHN5M_qP0hQyPsYw1GolaVK0qt-Mlh74R2i6JF2B5vYb4YLP08Dz3_uLfqPlQ7B70xe5MC2NXPgTmYvSsWG3viRNtFvL7DL40u36pOhEPwEjObV-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8F%AC%EC%8A%A4%ED%8A%B8+%EC%BD%94%EB%A1%9C%EB%82%98+%EC%8B%9C%EB%8C%80+%EC%86%8C%EC%85%9C+%EB%AF%B8%EB%94%94%EC%96%B4+%EC%9D%B4%EC%9A%A9%EA%B3%BC+%EC%9D%B8%EA%B5%AC%EC%82%AC%ED%9A%8C%ED%95%99%EC%A0%81+%EB%B0%8F+%EC%84%B1%EA%B2%A9+%EC%9A%94%EC%9D%B8%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rft.jtitle=Journal+of+the+convergence+on+culture+technology+%3A+JCCT&rft.au=%EA%B9%80%EC%98%88%EC%86%94%EB%9E%80&rft.au=Yesolran+Kim&rft.date=2023-12-31&rft.issn=2384-0358&rft.eissn=2384-0366&rft.volume=9&rft.issue=6&rft.spage=209&rft.epage=215&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2334662526899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