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의 과학커뮤니케이션 개념과 특성 연구

복잡성과 불확실성, 예측 불가능성을 주요 특징으로 나타내는 현대사회의 과학기술 위험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과학에 주안점을 두고 단기간에 해결책을 찾으려고 노력하기보다는 구성원 간 사회적 성찰과 정치적 합의에 기반한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과학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흐름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과학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위험사회에 부합한 과학 커뮤니케이션을 고찰하고 시사점과 함의를 제시하려는 데 있다. 과학지식과 과학에 대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10; no. 3; pp. 827 - 832
Main Author 장미경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0.06.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DOI10.17703/JCCT.2024.10.3.827

Cover

Abstract 복잡성과 불확실성, 예측 불가능성을 주요 특징으로 나타내는 현대사회의 과학기술 위험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과학에 주안점을 두고 단기간에 해결책을 찾으려고 노력하기보다는 구성원 간 사회적 성찰과 정치적 합의에 기반한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과학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흐름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과학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위험사회에 부합한 과학 커뮤니케이션을 고찰하고 시사점과 함의를 제시하려는 데 있다. 과학지식과 과학에 대한 이해가 공중의 참여와 접목될 때, 그리고 과학만의 권위와 권력에서 벗어나 위험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경험적 지식이 보강될 때, 실질적인 전문성과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는 과학커뮤니케이션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List Science communication based on social reflection and political consensus among social members should be activated rather than focusing on science and trying to find solutions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order to respond to science and technology risk issues in modern society, which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omplexity, uncertainty, and unpredict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cience communication suitable for a risk society and to present implications by exploring in detail how the concept and flow of science communication have changed due to changes in the social paradigm and what is needed to revitalize science communication. When scientific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are combined with public participation, and science communication that can demonstrate practical expertise and efficiency can be realized when empirical knowledge to solve problems in a risk society is strengthened away from the authority and power of science alone. 복잡성과 불확실성, 예측 불가능성을 주요 특징으로 나타내는 현대사회의 과학기술 위험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과학에 주안점을 두고 단기간에 해결책을 찾으려고 노력하기보다는 구성원 간 사회적 성찰과 정치적 합의에 기반한 과학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과학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흐름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과학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위험사회에 부합한 과학커뮤니케이션을 고찰하고 시사점과 함의를 제시하려는 데 있다. 과학지식과 과학에 대한 이해가 공중의 참여와 접목될 때, 그리고 과학만의 권위와 권력에서 벗어나 위험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경험적 지식이 보강될 때, 실질적인 전문성과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는 과학커뮤니케이션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복잡성과 불확실성, 예측 불가능성을 주요 특징으로 나타내는 현대사회의 과학기술 위험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과학에 주안점을 두고 단기간에 해결책을 찾으려고 노력하기보다는 구성원 간 사회적 성찰과 정치적 합의에 기반한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과학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흐름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과학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위험사회에 부합한 과학 커뮤니케이션을 고찰하고 시사점과 함의를 제시하려는 데 있다. 과학지식과 과학에 대한 이해가 공중의 참여와 접목될 때, 그리고 과학만의 권위와 권력에서 벗어나 위험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경험적 지식이 보강될 때, 실질적인 전문성과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는 과학커뮤니케이션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복잡성과 불확실성, 예측 불가능성을 주요 특징으로 나타내는 현대사회의 과학기술 위험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과학에 주안점을 두고 단기간에 해결책을 찾으려고 노력하기보다는 구성원 간 사회적 성찰과 정치적 합의에 기반한 과학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과학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흐름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과학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위험사회에 부합한 과학커뮤니케이션을 고찰하고 시사점과 함의를 제시하려는 데 있다. 과학지식과 과학에 대한 이해가 공중의 참여와 접목될 때, 그리고 과학만의 권위와 권력에서 벗어나 위험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경험적 지식이 보강될 때, 실질적인 전문성과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는 과학커뮤니케이션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Science communication based on social reflection and political consensus among social members should be activated rather than focusing on science and trying to find solutions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order to respond to science and technology risk issues in modern society, which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omplexity, uncertainty, and unpredict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cience communication suitable for a risk society and to present implications by exploring in detail how the concept and flow of science communication have changed due to changes in the social paradigm and what is needed to revitalize science communication. When scientific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are combined with public participation, and science communication that can demonstrate practical expertise and efficiency can be realized when empirical knowledge to solve problems in a risk society is strengthened away from the authority and power of science alone.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장미경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장미경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8357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E9LAlEUxR9hkJmfIAg3bYKZ3pv3d3aJ9EcThHL_GJ03MWhjzLhpJ6EQ5aJNZJE7lxJGtYj8RM6b79CUEVw4l3t-HA53HWSCTqAA2ETQRJxDvFspleqmBS1ipidsCouvgKyFBTEgZizzv1OxBvJR5DcgIZxQG6Es2EtG_XjY01fT5Gmox6PC4m2e3D_qr0n8Molvr_W8p8fvepAas-d4cJfaheTmU_dfC_phtviYboBVz2lHKv-nOXB6sF8vHRnV2mG5VKwaSghmcA96LlMec9NJizQsaCPXUpwoV3DFbWwzVxDkOYRThDBRNsWK0qajXEgozoGdZWoQerLV9GXH8X_1rCNboSye1MsSQQoxoSyFt5dwy4-6vgzcqC0rxePaz4sQZ5RzzjjiKbe15JQTdv1mW8mL0D93wktJqIUEwt8lnHiY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306
DOI 10.17703/JCCT.2024.10.3.827
DatabaseName e-articl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Social Sciences (General)
DocumentTitleAlternate Study on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cience Communication in Modern Society
EISSN 2384-0366
EndPage 832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503456
JAKO202417657776717
452181
GroupedDBID M1Z
.UV
JDI
ACYCR
ID FETCH-LOGICAL-e886-7f0fd6ef6df6d358b2091d2e74ed87e79396d841fa4751134e953e55caed0453
ISSN 2384-0358
IngestDate Sat Jul 26 03:11:42 EDT 2025
Thu Jul 04 05:32:09 EDT 2024
Tue Apr 22 16:20:53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3
Keywords participation
과학커뮤니케이션
risk communication
공중
위험
참여
science communication
소통
과학기술
public
risk
communication
위험커뮤니케이션
Science and technology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86-7f0fd6ef6df6d358b2091d2e74ed87e79396d841fa4751134e953e55caed0453
Notes KISTI1.1003/JNL.JAKO202417657776717
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17657776717&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503456
kisti_ndsl_JAKO202417657776717
earticle_primary_45218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24
  text: 2024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PublicationTitleAlternate 문화기술의 융합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국제문화기술진흥원
Publisher_xml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SSID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core 1.873769
Snippet 복잡성과 불확실성, 예측 불가능성을 주요 특징으로 나타내는 현대사회의 과학기술 위험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과학에 주안점을 두고 단기간에 해결책을 찾으려고 노력하기보다는 구성원 간 사회적 성찰과 정치적 합의에 기반한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
Science communication based on social reflection and political consensus among social members should be activated rather than focusing on science and trying to...
복잡성과 불확실성, 예측 불가능성을 주요 특징으로 나타내는 현대사회의 과학기술 위험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과학에 주안점을 두고 단기간에 해결책을 찾으려고 노력하기보다는 구성원 간 사회적 성찰과 정치적 합의에 기반한 과학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827
SubjectTerms 과학기술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과학 커뮤니케이션 개념과 흐름 Ⅲ. 커뮤니케이션 사례와 패러다임 진화 Ⅳ. 결론 References
Title 현대사회의 과학커뮤니케이션 개념과 특성 연구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52181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17657776717&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83575
Volume 1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문화기술의 융합, 2024, 10(3), , pp.827-832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B9qvXgRv10_SkAHlCXrJpnJTG4ma0ptqR6s0FtoNhMpla1stwc9SJEWRHvwIlaxtx6LVNSD2D_Gczf7P_jeJJsNtuAHhEnyZuYlM294897k5TeEXJduYrfj1DJt5iqT8ViZcRxbZgJEziVO4jra4p479ZBNz_P5sbGflail1V7caD878r-S_5Eq0ECu-JfsP0i2ZAoEuAb5QgoShvSvZEzDO9STVDIaBlS2MGohhNSmfktn-UgEiofF6jT0aeDQIM_j1PMwLwior-v7YXEh4ZA6a8gR6gdMs-Yloyb1Wro0kJol6zrylnCjecOLBVZdcxBYA0txWqA9HraI0QbWUfDdHCEUBmYODKLqvfILgF7DmG61yuBuzR7enetGTNJA6ufYNCiDmWcXZ56uYnwDro5X1zlsNgzKG6pDsC2A5uRA7w1VpeX7tpT6vFkZt05FOcschWA4z-frqoemEAE6ELfHhoY08D0auLDRKOtWAbt_m0jL8MZpf-Y-VrWEywXCJVniGDluC6EDCWafh0ONZ-OaHh9957YdhpCO1uhe78laakzGBOPeSCODrS5cT-8xWnZPAa2Fzbh1uBFocxXjFdwx9FEWwarqdNOKVTV3ipwshG_4ednTZGxp-Qyp5f-MG8W8s2LcKMDRb54ltwdb6_3NtezF7uDDZra9ZRx82R-8fZ_92Ol_2um_fpntr2XbX7MNyNj72N94A9nG4NX3bP2zkb3bO_i2e448mAznWlNmsQuIqaR0TZE208RVqZvAAc2LbbBwE1sJphIpFEwvnptIZqULTIDz4DDlcUdx3l5QCbgrznky3lnuqIvEEE7bFgsSPAZhMbCTPSkZOAdCppadNN24Ri4MuyZ6kkO9RIyjCVwjE7qnok6y8jg6Qro1cg26MFpqL0YI147nR8vRUjcCp_RuZCHmEjz20p_YXCYnRiP_ChnvdVfVVbB5e_GEHja_AP2jlDo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8%84%EB%8C%80%EC%82%AC%ED%9A%8C%EC%9D%98+%EA%B3%BC%ED%95%99%EC%BB%A4%EB%AE%A4%EB%8B%88%EC%BC%80%EC%9D%B4%EC%85%98+%EA%B0%9C%EB%85%90%EA%B3%BC+%ED%8A%B9%EC%84%B1+%EC%97%B0%EA%B5%AC&rft.jtitle=Journal+of+the+convergence+on+culture+technology+%3A+JCCT&rft.au=%EC%9E%A5%EB%AF%B8%EA%B2%BD&rft.au=MiKyung+Chang&rft.date=2024-06-30&rft.issn=2384-0358&rft.eissn=2384-0366&rft.volume=10&rft.issue=3&rft.spage=827&rft.epage=832&rft_id=info:doi/10.17703%2FJCCT.2024.10.3.82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2417657776717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