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 이후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사회심리적 건강, 간호술기수행자신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COVID-19로 이후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G도 소재의 간호학과 2곳의 재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2023년 10월 10일부터 10월 27일까지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통계와 차이분석(t-est, on-way ANOVA),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델 1에서는 성격유형 중 외향적과 혼합 적이 임상수행능력을 설명하는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모델 1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10; no. 4; pp. 159 - 168
Main Authors 박미라, 박은실, 제남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1.07.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Abstract 본 연구는 COVID-19로 이후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G도 소재의 간호학과 2곳의 재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2023년 10월 10일부터 10월 27일까지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통계와 차이분석(t-est, on-way ANOVA),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델 1에서는 성격유형 중 외향적과 혼합 적이 임상수행능력을 설명하는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모델 1의 적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9.2%였다(F=8.256, p<.001). 모델 2에서는 대인관계능력과 간호술기자신감이 임상수행능력을 설명하는 유의한 예측요 인으로 나타났다. 간호술기자신감이 임상수행능력을 가장 잘 예측하는 요인이었고, 그 다음으로 대인관계능력이었다. 모델의 설명력은 50.1%였고, 모델 1에 비해 41.3% 증가하였다. 모델적합도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직접간호 수행 의 기회를 높이고 간호대학생의 간호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상황을 재현하는 시뮬레이션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시뮬레이션교육을 통해 간호술기자신감과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면 결국 임상수행능력이 향상되고 이는 간호 사로 취업되었을 때 간호역량으로 발휘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List 본 연구는 COVID-19로 이후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G도 소재의 간호학과 2곳의 재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2023년 10월 10일부터 10월 27일까지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통계와 차이분석(t-est, on-way ANOVA),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델 1에서는 성격유형 중 외향적과 혼합적이 임상수행능력을 설명하는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모델 1의 적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9.2%였다(F=8.256, p<.001). 모델 2에서는 대인관계능력과 간호술기자신감이 임상수행능력을 설명하는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간호술기자신감이 임상수행능력을 가장 잘 예측하는 요인이었고, 그 다음으로 대인관계능력이었다. 모델의 설명력은 50.1%였고, 모델 1에 비해 41.3% 증가하였다. 모델적합도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직접간호 수행의 기회를 높이고 간호대학생의 간호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상황을 재현하는 시뮬레이션 교육이 강화되어야한다. 시뮬레이션교육을 통해 간호술기자신감과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면 결국 임상수행능력이 향상되고 이는 간호사로 취업되었을 때 간호역량으로 발휘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performance among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due to COVID-19 and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clinical performance.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October 10 to October 27, 2023, targeting 144 students at two nursing schools in G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 analysis (t-est, on-way ANOVA),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Model 1, extrovert and mixed personality typ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explaining clinical performance. The goodness of fit of Model 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9.2% (F=8.256, p<.001). In Model 2, interpersonal skills and confidence in nursing skills appeared as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explaining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Confidence in nursing skills was the best predictor of clinical performance, followed by interpersonal skill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50.1%, an increase of 41.3% compared to Model 1. Model fit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Simulation education that reproduces various situations should be strengthened to increase opportunities to perform direct nursing and improve nursing students' nursing capabilities. If you improve your confidence in nursing skills and interpersonal skills through simulation education, your clinical performance will ultimately improve, and this will be able to be demonstrated as a nursing competency when employed as a nurse. KCI Citation Count: 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performance among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due to COVID-19 and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clinical performance.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October 10 to October 27, 2023, targeting 144 students at two nursing schools in G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 analysis (t-est, on-way ANOVA),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Model 1, extrovert and mixed personality typ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explaining clinical performance. The goodness of fit of Model 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9.2% (F=8.256, p<.001). In Model 2, interpersonal skills and confidence in nursing skills appeared as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explaining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Confidence in nursing skills was the best predictor of clinical performance, followed by interpersonal skill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50.1%, an increase of 41.3% compared to Model 1. Model fit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Simulation education that reproduces various situations should be strengthened to increase opportunities to perform direct nursing and improve nursing students' nursing capabilities. If you improve your confidence in nursing skills and interpersonal skills through simulation education, your clinical performance will ultimately improve, and this will be able to be demonstrated as a nursing competency when employed as a nurse. 본 연구는 COVID-19로 이후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G도 소재의 간호학과 2곳의 재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2023년 10월 10일부터 10월 27일까지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통계와 차이분석(t-est, on-way ANOVA),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델 1에서는 성격유형 중 외향적과 혼합적이 임상수행능력을 설명하는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모델 1의 적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9.2%였다(F=8.256, p<.001). 모델 2에서는 대인관계능력과 간호술기자신감이 임상수행능력을 설명하는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간호술기자신감이 임상수행능력을 가장 잘 예측하는 요인이었고, 그 다음으로 대인관계능력이었다. 모델의 설명력은 50.1%였고, 모델 1에 비해 41.3% 증가하였다. 모델적합도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직접간호 수행의 기회를 높이고 간호대학생의 간호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상황을 재현하는 시뮬레이션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시뮬레이션교육을 통해 간호술기자신감과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면 결국 임상수행능력이 향상되고 이는 간호사로 취업되었을 때 간호역량으로 발휘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COVID-19로 이후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G도 소재의 간호학과 2곳의 재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2023년 10월 10일부터 10월 27일까지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통계와 차이분석(t-est, on-way ANOVA),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델 1에서는 성격유형 중 외향적과 혼합 적이 임상수행능력을 설명하는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모델 1의 적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9.2%였다(F=8.256, p<.001). 모델 2에서는 대인관계능력과 간호술기자신감이 임상수행능력을 설명하는 유의한 예측요 인으로 나타났다. 간호술기자신감이 임상수행능력을 가장 잘 예측하는 요인이었고, 그 다음으로 대인관계능력이었다. 모델의 설명력은 50.1%였고, 모델 1에 비해 41.3% 증가하였다. 모델적합도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직접간호 수행 의 기회를 높이고 간호대학생의 간호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상황을 재현하는 시뮬레이션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시뮬레이션교육을 통해 간호술기자신감과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면 결국 임상수행능력이 향상되고 이는 간호 사로 취업되었을 때 간호역량으로 발휘될 수 있을 것이다.
Author 박미라
제남주
박은실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박미라
– sequence: 2
  fullname: 박은실
– sequence: 3
  fullname: 제남주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402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Utv00AQgFeoSJTSX4CEfOGC6rD27sbrY-RCm1IpEoq4rvxYIyshQXYv3BrqQ0l6yIG05uEqB8IpggBBCgf-kD3-DyxN4TDvb2akmdtoo9fvSYTuGrhmWBYmDw8cp10zsUlrKqUUs2-gTZNwqmNSr2_89xm_hbaTJPIwpRZltmFsoi9O61lzVzdsDfJl9SHV4DKFkwGMPsHwJ-SpVnz_XV1k1eSjVizSKluVZ8fV5B2c5JBnmgogXxXL4-JHWg5n5XS2o8HrefX-DEbz8vMcpgOt-LYsFpOd63Y4nRarBZxm1fkbuBzDaFosxmr1v71XhfUouBhr5dcV_MrK4VsNskF1PruDboZuN5Hb13YLtR8_ajv7-mFrr-k0DnXJOdPVLaRpY6V9Kpklbe5JT4a-WWeh5XnUJyxwaRCyIMBShgH3MebEtzm1mGHZNtlCD9Zje3EoOn4k-m50ZZ_3RScWjaftpjAw49giTMH313AnSo4i0QuSrjhoPGn9_YhJOSUmUUIVd2_NSTc-ivyuFC_j6IUbvxKUEVNxfwCnR75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306
DOI 10.17703/JCCT.2024.10.4.159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Social Sciences (General)
DocumentTitleAlternate The Impact of Interpersonal Skills, Psychosocial Health, and Confidence in Performing Nursing Skills on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after COVID-19
EISSN 2384-0366
EndPage 16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580735
JAKO202424843234324
453284
GroupedDBID M1Z
.UV
JDI
ACYCR
ID FETCH-LOGICAL-e885-202e29002ec4e57e98bebefc265f7bb4c35da4df5dd0eefd8c0083c9847517993
ISSN 2384-0358
IngestDate Sun Jul 27 03:10:45 EDT 2025
Fri Oct 04 04:29:37 EDT 2024
Tue Apr 22 16:20:53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Keywords COVID-19
Confidence in performing nursing skills
Interpersonal skills
간호술기수행자신감. COVID-19
대인관계능력
Clinical performance
사회심리적 건강
임상수행능력
Psychosocial health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85-202e29002ec4e57e98bebefc265f7bb4c35da4df5dd0eefd8c0083c9847517993
Notes KISTI1.1003/JNL.JAKO202424843234324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24843234324&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0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580735
kisti_ndsl_JAKO202424843234324
earticle_primary_45328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7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7-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7
  year: 2024
  text: 202407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PublicationTitleAlternate 문화기술의 융합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국제문화기술진흥원
Publisher_xml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SSID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core 1.8782655
Snippet 본 연구는 COVID-19로 이후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G도 소재의 간호학과 2곳의 재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2023년 10월 10일부터 10월 27일까지...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performance among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due to COVID-19 and...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159
SubjectTerms 과학기술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자 3. 연구도구 4. 윤리적 고려 5. 자료수집방법 및 윤리적 고려 6.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대인관계능력, 사회심리적 건강, 간호술기수행자신감, 임상수행능력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능력, 사회심리적건강, 간호술기수행자신감, 임상수행능력 4. 대인관계능력, 사회심리적 건강, 간호술기수행자신감, 임상수행능력의 상관관계 5.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Title COVID-19 이후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사회심리적 건강, 간호술기수행자신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53284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24843234324&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4024
Volume 1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문화기술의 융합, 2024, 10(4), , pp.159-16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T9RAFG8QL16Mxi_8IE20J1nsx7SdObbdJYBBLmi4bdhuawgGDMLFgwHZAwIHDgKLuoSDeCK6KiZ48B_anf0ffPM63S0fGvTSvM68-c37aOe917RTRbln2pYeObGbc9w4ypGyEeYgjLCcHREjoqHr6kx8nDzyyBl8TIbH7fGu7u3MW0vzc6X-8OWp35X8j1ehDfwqvpL9B8-2QaEBaPAvHMHDcDyTj4PRJ0P5nAF1fSHQWF7ziVbIa8zXKEmaCkAJglqQMSLha17S4mm-LYchN5ybmp9HAFdjFAlbY0HSpyNSXnT40AdTBOIlCcnE5CQAlkAyej_DlAhHEYhgCxAWIvpCEs8WhKcLwgxQdGpqXoDwnkCRogfI5yARiAHUSMQzUHeUk0mMk0IDBhWDRBcVvUmL1NXRKJNGY3o6oZ6CtrX4o2WPAZ1QTIwCw-poGG9ASuQzHIbcTGJThEQkz85WDzgywJF5YXRGjuvi6VkHABWgm9FLHhOGMXSoKUjmAZAATczWkctHVYNTWJILpm0f0mFBfzD0kHAeaudZKYp8sGSS9Im1XApQAZAtfwTgLEp6burdfGpeEFvvRDZIE2E2K9mzvz_KtjnZaGrIzeKTxMxI_r90IubDeiI2HxkOgrF-oUc_NMIhHZvdYf1Y5nNkj_WpcLL4dKY4NVuESnKoCHUHhfBnn1POm1CBihA68qqQhipTPIy1Oy8omBYRe3EanXP8mW471BHiEpt1QikUWa7D8OewbWPIPdGEOg9OKiOSZbnQQB0tistJSIenZ-NMOjx2Sbko61jVS3gvK11TM1eUz-mCpPLaQet9ReU7Fb60yFc_8pUfvFZRG99-tbaqrY0PaqNeaVUPm2sLrY1tvlTjtaoKJ7x22DhYaHyvNFf2mrt7fSp_vd96t8ZX95uf9vnuotr4etCob_TJ4Xx5t3FY58vV1uYbvrPOV3cb9XWYOp0XOxIovrWuNr8c8p_V5spblVcXW5t7V5WxgcJYMJiTP4TJRZTasPSbkckghYtCEtluxGgJQlAcmo4du6USCS27PEHKsV0u61EUl2koCsyQQQIuNiJk1jWle3pmOrqhqK7ulMr6RByFFgQlRidiw6XUKZmWRfW4FPco11NrF58n2_4UiW3B_dmj9KLxi9PlF8-Kw97DUeEmk1BimeIjfWC4C17By-kvl9XNM3HdUi507szbSvfc7Hx0B4qguVIvXo6_AXPuJq0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COVID-19+%EC%9D%B4%ED%9B%84+%EC%9E%84%EC%83%81%EC%8B%A4%EC%8A%B5%EC%9D%84+%EA%B2%BD%ED%97%98%ED%95%9C+%EA%B0%84%ED%98%B8%EB%8C%80%ED%95%99%EC%83%9D%EC%9D%98+%EB%8C%80%EC%9D%B8%EA%B4%80%EA%B3%84%EB%8A%A5%EB%A0%A5%2C+%EC%82%AC%ED%9A%8C%EC%8B%AC%EB%A6%AC%EC%A0%81+%EA%B1%B4%EA%B0%95%2C+%EA%B0%84%ED%98%B8%EC%88%A0%EA%B8%B0%EC%88%98%ED%96%89%EC%9E%90%EC%8B%A0%EA%B0%90%EC%9D%B4+%EC%9E%84%EC%83%81%EC%88%98%ED%96%89%EB%8A%A5%EB%A0%A5%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rft.jtitle=%EB%AC%B8%ED%99%94%EA%B8%B0%EC%88%A0%EC%9D%98+%EC%9C%B5%ED%95%A9%2C+10%284%29&rft.au=%EB%B0%95%EB%AF%B8%EB%9D%BC&rft.au=%EB%B0%95%EC%9D%80%EC%8B%A4&rft.au=%EC%A0%9C%EB%82%A8%EC%A3%BC&rft.date=2024-07-31&rft.pub=%EA%B5%AD%EC%A0%9C%EB%AC%B8%ED%99%94%EA%B8%B0%EC%88%A0%EC%A7%84%ED%9D%A5%EC%9B%90&rft.issn=2384-0358&rft.eissn=2384-0366&rft.spage=159&rft.epage=168&rft_id=info:doi/10.17703%2FJCCT.2024.10.4.159&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580735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