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선 방안

본 연구는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원하는 방안으로 규제개선 방안을 파악하고자 했다. 설문조사 결과, 71.4% 의 전문가들이 규제 완화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기술 발전과 산업 확대를 촉진을 위한 방안으로 규제 완화와 신속한 인증 및 승인 절차 마련이 제안되었다. 특히, 관련 부처 간 원활한 조정을 위한 일원화된 소통 창구와 별도의 규제기관 설립이 필요하다는 점이 부각 되었다. 또한, 지자체와 유관기관 간의 협력과 함께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인프라 구축, 기술개발 지원, 서비스 발굴이 중요하다고 제안되었다. 경기 북부 지역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ol. 25; no. 1; pp. 193 - 204
Main Authors 옥진아, 유순덕, 정효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8.02.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Abstract 본 연구는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원하는 방안으로 규제개선 방안을 파악하고자 했다. 설문조사 결과, 71.4% 의 전문가들이 규제 완화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기술 발전과 산업 확대를 촉진을 위한 방안으로 규제 완화와 신속한 인증 및 승인 절차 마련이 제안되었다. 특히, 관련 부처 간 원활한 조정을 위한 일원화된 소통 창구와 별도의 규제기관 설립이 필요하다는 점이 부각 되었다. 또한, 지자체와 유관기관 간의 협력과 함께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인프라 구축, 기술개발 지원, 서비스 발굴이 중요하다고 제안되었다. 경기 북부 지역에서는 드론 실증도시 구축, 규제 샌드박스 사업, 드론 자유구역 지정 등이 시급하며, 국방 분야와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등 다양한 기술개발 및 상용화가 요구되었다. 이와 함께 민관군 협의체를 구성하여 실증 사업과 비행 테스트를 위한 공역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마지막 으로, 해외 드론과의 경쟁에서 국내 드론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인증 절차의 간소화와 경기 북부 지역의 비행 제한 규제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 있었다. 규제개선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한 규제개선 방안을 제안으로 본 연구는 향후 정 책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Lis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regulatory reform measures as a way to promote the drone industry.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71.4% of experts emphasized the need for deregulation, suggesting that regulatory relax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expedited certification and approval procedures are essential to facilitate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industry expansion. Particularly, the need for a unified communication channel and the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regulatory agency to ensure smooth coordination among relevant government departments was highlighted. Additionally, collabo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institutions, along with infrastructure development, technical support, and the discovery of new services, was proposed as critical to fostering the drone industry. In the northern Gyeonggi region, the construction of drone test cities, participation in regulatory sandbox projects, and the designation of drone-free zones were identified as urgent tasks. Various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commercialization efforts, including those in the defense and entertainment sectors, were also required. Moreover, it was suggested that forming a public-private-military cooperation body to secure airspace for test projects and drone flight testing is essential. Finally,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drones against international competition, there was widespread agreement on the need to simplify certification procedures and improve flight restriction regulations in the northern Gyeonggi reg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future policymaking by proposing measures for regulatory improvement through a survey on awareness of regulatory improvement. 본 연구는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원하는 방안으로 규제개선 방안을 파악하고자 했다. 설문조사 결과, 71.4%의 전문가들이 규제 완화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기술 발전과 산업 확대를 촉진을 위한 방안으로 규제 완화와 신속한 인증 및 승인 절차 마련이 제안되었다. 특히, 관련 부처 간 원활한 조정을 위한 일원화된 소통 창구와 별도의 규제기관 설립이 필요하다는 점이 부각 되었다. 또한, 지자체와 유관기관 간의 협력과 함께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인프라 구축, 기술개발 지원, 서비스 발굴이 중요하다고 제안되었다. 경기 북부 지역에서는 드론 실증도시 구축, 규제 샌드박스 사업, 드론 자유구역 지정 등이 시급하며, 국방 분야와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등 다양한 기술개발 및 상용화가 요구되었다. 이와 함께 민관군 협의체를 구성하여 실증 사업과 비행 테스트를 위한 공역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해외 드론과의 경쟁에서 국내 드론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인증 절차의 간소화와 경기 북부 지역의 비행 제한 규제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 있었다. 규제개선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한 규제개선 방안을 제안으로 본 연구는 향후 정 책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원하는 방안으로 규제개선 방안을 파악하고자 했다. 설문조사 결과, 71.4% 의 전문가들이 규제 완화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기술 발전과 산업 확대를 촉진을 위한 방안으로 규제 완화와 신속한인증 및 승인 절차 마련이 제안되었다. 특히, 관련 부처 간 원활한 조정을 위한 일원화된 소통 창구와 별도의 규제기관설립이 필요하다는 점이 부각 되었다. 또한, 지자체와 유관기관 간의 협력과 함께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인프라 구축, 기술개발 지원, 서비스 발굴이 중요하다고 제안되었다. 경기 북부 지역에서는 드론 실증도시 구축, 규제 샌드박스 사업, 드론 자유구역 지정 등이 시급하며, 국방 분야와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등 다양한 기술개발 및 상용화가 요구되었다. 이와함께 민관군 협의체를 구성하여 실증 사업과 비행 테스트를 위한 공역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해외 드론과의 경쟁에서 국내 드론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인증 절차의 간소화와 경기 북부 지역의 비행 제한규제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 있었다. 규제개선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한 규제개선 방안을 제안으로 본 연구는향후 정 책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regulatory reform measures as a way to promote the drone industry.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71.4% of experts emphasized the need for deregulation, suggesting that regulatory relax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expedited certification and approval procedures are essential to facilitate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industry expansion. Particularly, the need for a unified communication channel and the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regulatory agency to ensure smooth coordination among relevant government departments was highlighted. Additionally, collabo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institutions, along with infrastructure development, technical support, and the discovery of new services, was proposed as critical to fostering the drone industry. In the northern Gyeonggi region, the construction of drone test cities, participation in regulatory sandbox projects, and the designation of drone-free zones were identified as urgent tasks. Various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commercialization efforts, including those in the defense and entertainment sectors, were also required. Moreover, it was suggested that forming a publicprivate- military cooperation body to secure airspace for test projects and drone flight testing is essential. Finally,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drones against international competition, there was widespread agreement on the need to simplify certification procedures and improve flight restriction regulations in the northern Gyeonggi reg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future policymaking by proposing measures for regulatory improvement through a survey on awareness of regulatory improvement. KCI Citation Count: 0
본 연구는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원하는 방안으로 규제개선 방안을 파악하고자 했다. 설문조사 결과, 71.4% 의 전문가들이 규제 완화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기술 발전과 산업 확대를 촉진을 위한 방안으로 규제 완화와 신속한 인증 및 승인 절차 마련이 제안되었다. 특히, 관련 부처 간 원활한 조정을 위한 일원화된 소통 창구와 별도의 규제기관 설립이 필요하다는 점이 부각 되었다. 또한, 지자체와 유관기관 간의 협력과 함께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인프라 구축, 기술개발 지원, 서비스 발굴이 중요하다고 제안되었다. 경기 북부 지역에서는 드론 실증도시 구축, 규제 샌드박스 사업, 드론 자유구역 지정 등이 시급하며, 국방 분야와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등 다양한 기술개발 및 상용화가 요구되었다. 이와 함께 민관군 협의체를 구성하여 실증 사업과 비행 테스트를 위한 공역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마지막 으로, 해외 드론과의 경쟁에서 국내 드론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인증 절차의 간소화와 경기 북부 지역의 비행 제한 규제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 있었다. 규제개선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한 규제개선 방안을 제안으로 본 연구는 향후 정 책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Author 옥진아
정효진
유순덕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옥진아
– sequence: 2
  fullname: 유순덕
– sequence: 3
  fullname: 정효진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7750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0D1Lw1AUBuCLVLDW_gJBsrgIifc7N2MtfqQWCtL9cpPcK6E1laSLq7TgrkUKGerg4FYnF39Rk_4HUyvCgffA-3CGsw9qySjRABwi6LiY8NOO75-1HQwxc6pBDvLIDqhjLDwbYspr_zsRe6CZZXEACUQe5ZTXASue8-JtYZWPy_J1aq3neTn5XM9fivdvq8wn61lurb7ycpGvllWzsIrlRzl7OgC7Rg0z3fzLBuhfnPfbV3a3d-m3W11bC0FsE3mIMZcYHQTGowgrbgJtUBAibrzIYGy0CkMitOsSxUjAteAiYoq6JFBeSBrgZHs2SY0chLEcqfg3b0dykMrWTd-XCHLBBCQVPt7iQZyNY5lE2VB2Wte9zWOgIIxCSLhLK3e0dVql4zgcanmfxncqfZCUbyD5AU5jcXo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004
DOI 10.7236/JIIBC.2025.25.1.193
DatabaseName eARticl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Computer Science
DocumentTitleAlternate Proposals for Regulatory Reforms to Enhance Drone Industry Growth
EISSN 2289-0246
EndPage 20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685803
JAKO202508354003674
465083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M1Z
.UV
JDI
ACYCR
ID FETCH-LOGICAL-e883-fd915573febbf9412a6fbef1bc16f9df22feacc38e773a53b6e868d5a473ba9c3
ISSN 2289-0238
IngestDate Sat Jul 05 03:13:04 EDT 2025
Mon May 05 02:10:31 EDT 2025
Tue Apr 22 16:21:12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1
Keywords 드론
Industrial activation
드론인프라
규제개선
Drone Infrastructure
산업활성화
Regulatory improvement
Drones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83-fd915573febbf9412a6fbef1bc16f9df22feacc38e773a53b6e868d5a473ba9c3
Notes KISTI1.1003/JNL.JAKO202508354003674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508354003674&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685803
kisti_ndsl_JAKO202508354003674
earticle_primary_46508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50228
PublicationDateYYYYMMDD 2025-02-28
PublicationDate_xml – month: 02
  year: 2025
  text: 20250228
  day: 28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PublicationTitleAlternat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PublicationYear 2025
Publisher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SSID ssib030194646
ssib053377388
ssib023738960
ssib044745939
ssib021620247
ssib036278198
Score 2.2811534
Snippet 본 연구는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원하는 방안으로 규제개선 방안을 파악하고자 했다. 설문조사 결과, 71.4% 의 전문가들이 규제 완화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기술 발전과 산업 확대를 촉진을 위한 방안으로 규제 완화와 신속한 인증 및 승인 절차 마련이 제안되었다. 특히, 관련 부처...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regulatory reform measures as a way to promote the drone industry.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71.4% of experts emphasized...
본 연구는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원하는 방안으로 규제개선 방안을 파악하고자 했다. 설문조사 결과, 71.4% 의 전문가들이 규제 완화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기술 발전과 산업 확대를 촉진을 위한 방안으로 규제 완화와 신속한인증 및 승인 절차 마련이 제안되었다. 특히, 관련 부처...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193
SubjectTerms 컴퓨터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I. 서론 II. 드론 시장 동향, 인프라 및 규제 현황 1. 드론 시장 동향 2. 국내 드론 인프라 현황 3. 국내 드론 규제 현황 III. 드론 규제에 대한 인식 조사 및 분석 1. 인식 조사 목적 2. 데이터 수집 3. 조사 결과 분석 4. 시사점 IV. 결론 References
Title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선 방안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65083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508354003674&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77506
Volume 25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2025, 25(1), , pp.193-204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vR09b9NA1CplYUEgvspHZQluQg72-c6-G20nqAkCliB1s-LYh6pUCQrpwsCAisQOFarwEAYGtjCx8Iua5D_w3tlJnKpChQEpik7v3r17H76796zze4bxwIdzJUm5sFJYSRbjTmJJqrjlUVh5Hu1AAKRv-T7zdl6w1i7f3bjwpXJr6WCU1Lpvzvyu5F-sCjCwK34l-xeWXRIFALTBvvAPFob_c9mYNEIiXSIjbAQOCeyHpBERQUloY0P6RHAA1YmUGgv6GAmdBYTpcZyEkR4ndTf2cWgDKCChX44LbN0IkPKSkp4vRFAgNQFOiup5C3d3SUyP5CSoa7Q6CQV2ITM2UsCGv0ZKeCgQ4ng4ECEhMlESlLoREBFpDgTKoIWJNGng18c7HPD8YN0l4VReeGgOBIpdorEF62wNRcuM84pSwQKnrqKgTnjJSLCclVVfpNDqh-n46P8Hjaz2dkrxphotEtvUsiqMVc8TpygfWbomtKjUfPrU86kuy9NqNsOohpLV4OfUlmOrOcZPnf1rWcZ73b345SDuDWOIpZqxY2NtAsyke5FCDIaHyNO3jcVmTR0PplrFohRTZMlVrA0Hh2SV3HXgKPngfS43e8Z8xuUqJS2EHT5Q0BUkF8opsoSheI_OEA7dx3LpQWSJ4dYeOIj9oao4iO0rxuUysjODAveqsdEbXDP49GM-_To2Z-8ms8_vzflxPjv8MT_-NP32y5zlh_Oj3Dz5mc_G-ckEesbmdPJ9dvThutF-3GhHO1ZZqcTKhHAtlWKVBd9VWZIoyRza8VSSKSfpOp6SqaJUgX_TdUUGIna4m3iZ8ETKO8x3k47sujeMzf6gn90yTEUzJ4FdkqmuhNjGE5knEyE6tlJpKrm7ZdxcCB2_KvLRxAyjLOjZ1jqI--nr_bgVPHmO2rL1i13Qvs-2jPugHG3lP1j79rmw7hiXVkvorrE5Gh5k98A7HyXb-in5DVt0p5o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93%9C%EB%A1%A0+%EC%82%B0%EC%97%85+%ED%99%9C%EC%84%B1%ED%99%94%EB%A5%BC+%EC%9C%84%ED%95%9C+%EA%B7%9C%EC%A0%9C%EA%B0%9C%EC%84%A0+%EB%B0%A9%EC%95%88&rft.jtitle=%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D%86%B5%EC%8B%A0%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2C+25%281%29&rft.au=%EC%98%A5%EC%A7%84%EC%95%84&rft.au=%EC%9C%A0%EC%88%9C%EB%8D%95&rft.au=%EC%A0%95%ED%9A%A8%EC%A7%84&rft.date=2025-02-28&rft.pub=%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D%86%B5%EC%8B%A0%ED%95%99%ED%9A%8C&rft.issn=2289-0238&rft.eissn=2289-0246&rft.spage=193&rft.epage=204&rft_id=info:doi/10.7236%2FJIIBC.2025.25.1.19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68580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9-023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9-023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9-023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