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 감소를 위한 국내 음악치료 연구 메타분석

음악중재의 불안감소 효과에 관한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증거는 음악치료 임상연구의 발전과 최적의 임상 운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음악치료사에 의해 시행된 음악중재의 불안감소 효과를 평가하고 표본크기, 대상자 특성, 불안 유형, 음악중재 특성과 같은 변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등의 온라인 검색엔진을 사용하여 자료의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총 33편의 연구를 최종적으로 추출하였다. 개별연구의 자료를 코딩한 후, 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체 효과크기 분석, 이상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 26; no. 1; pp. 23 - 51
Main Authors 임선영, 배미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음악치료학회 30.04.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16X
2671-6070
DOI10.21330/kjmt.2024.26.1.23

Cover

Abstract 음악중재의 불안감소 효과에 관한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증거는 음악치료 임상연구의 발전과 최적의 임상 운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음악치료사에 의해 시행된 음악중재의 불안감소 효과를 평가하고 표본크기, 대상자 특성, 불안 유형, 음악중재 특성과 같은 변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등의 온라인 검색엔진을 사용하여 자료의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총 33편의 연구를 최종적으로 추출하였다. 개별연구의 자료를 코딩한 후, 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체 효과크기 분석, 이상치 검토, 이질성 검정, 조절효과분석, 출판편향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음악은 불안 감소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중재로 파악되 었으며,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 외, 사용한 음악중재 유형과 세션 회기 수와 같은 조절변수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불안 완화를 위한 음악치료 임상에 필요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증거에 기반한 음악치료 연구의 발전을 위한 학술적 논의를 촉진한다는 함의를 가진다.
AbstractList 음악중재의 불안감소 효과에 관한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증거는 음악치료 임상연구의 발전과 최적의 임상 운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음악치료사에 의해 시행된 음악중재의 불안감소 효과를 평가하고 표본크기, 대상자 특성, 불안 유형, 음악중재 특성과 같은 변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등의 온라인 검색엔진을 사용하여 자료의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총 33편의 연구를 최종적으로 추출하였다. 개별연구의 자료를 코딩한 후, 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체 효과크기 분석, 이상치 검토, 이질성 검정, 조절효과분석, 출판편향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음악은 불안 감소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중재로 파악되었으며,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 외, 사용한 음악중재 유형과 세션 회기 수와 같은 조절변수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불안 완화를 위한 음악치료 임상에 필요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증거에 기반한 음악치료 연구의 발전을 위한 학술적 논의를 촉진한다는 함의를 가진다. Objective and comprehensive evidence regarding the effects of music for anxiety reduction is necessary to promote research advancement and best clinical practices in music therap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eta-analyze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s conducted by music therapists on anxiety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effect size when accounting for variables such as sample size, participant characteristics, anxiety type, and interventions characteristics. A total of 33 experimental studies, which met inclusion criteria, were extracted from online databases, such a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Followed by data-coding, an outlier review, heterogeneity analysis, estimating the overall and subgroup effect sizes, and publication bias review were performed, using the R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music intervention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reducing anxiety, presenting an overall effect size of -0.77 at a moderate level. Furthermore, there were influences from moderating variables, such as the music intervention used and the number of intervention sessions on the effect size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for music therapy practice aimed at anxiety reduction and aim to foster scholarly discussions for enhancing related evidence-based research. KCI Citation Count: 0
음악중재의 불안감소 효과에 관한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증거는 음악치료 임상연구의 발전과 최적의 임상 운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음악치료사에 의해 시행된 음악중재의 불안감소 효과를 평가하고 표본크기, 대상자 특성, 불안 유형, 음악중재 특성과 같은 변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등의 온라인 검색엔진을 사용하여 자료의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총 33편의 연구를 최종적으로 추출하였다. 개별연구의 자료를 코딩한 후, 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체 효과크기 분석, 이상치 검토, 이질성 검정, 조절효과분석, 출판편향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음악은 불안 감소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중재로 파악되 었으며,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 외, 사용한 음악중재 유형과 세션 회기 수와 같은 조절변수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불안 완화를 위한 음악치료 임상에 필요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증거에 기반한 음악치료 연구의 발전을 위한 학술적 논의를 촉진한다는 함의를 가진다.
Author 임선영
배미현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임선영
– sequence: 2
  fullname: 배미현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7963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kD1Lw0Acxg-pYK39Ag6SxUVIvP_d5e4ySRFfCgVBOrgdeblITNtI2qWbaJUOHRwsOrSTOAgKHWxB8BM16XewWKff8Px4Hng2UaGVtDRC24AtApTi_fiq2bEIJswi3AKL0DVUJFyAybHABVQE25GmA_xiA5Xb7cjDmHFHYhBFdJDN-vmwb8wnj_nDIHv7MfJRbzEcGfPpZ3b7ZeTjQT68z79fsteBkT9P5tMPI3t_WtzdZLNe3htvofXQbbR1-Z8lVD8-qh-emrWzk-phpWZqKYkZAthAHUkD6rjAKBZEcN-XYRgEdJlILsGVgQy5xwGYAwSITQKhmc9A25iW0N6qtpWGKvYjlbjRHy8TFaeqcl6vKsBMYE7IUt5dyXE38RLlJUns61ZHp4phG2PuEBByuVpCOytPu2kn8htaXadR0027ijGxvIz-Av2kdpU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M1Z
P5Y
SSSTE
ACYCR
DOI 10.21330/kjmt.2024.26.1.23
DatabaseName e-articles
Kyobo Scholar Journals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 Meta-Analysis of Domestic Music Therapy Research Studies Related to Anxiety Reduction
EISSN 2671-6070
EndPage 51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470622
4050069217851
447598
GroupedDBID M1Z
M~E
P5Y
SSSTE
ACYCR
ID FETCH-LOGICAL-e882-f11513983d39a14307276cc8ffdd35138681a8d8f6b61149121252d7e4c41e503
ISSN 1598-916X
IngestDate Wed May 22 07:05:42 EDT 2024
Tue Feb 18 15:03:35 EST 2025
Thu Aug 21 18:14:59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Keywords 음악치료사
anxiety
음악중재
music intervention
불안 감소
불안
meta-analysis
music therapist
anxiety reduction
메타분석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82-f11513983d39a14307276cc8ffdd35138681a8d8f6b61149121252d7e4c41e503
PageCount 2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470622
kyobo_bookcenter_4050069217851
earticle_primary_44759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4-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4-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24
  text: 2024-04-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한국음악치료학회지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한국음악치료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음악치료학회
SSID ssib004698017
ssib023738952
ssib044738234
Score 1.8681405
Snippet 음악중재의 불안감소 효과에 관한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증거는 음악치료 임상연구의 발전과 최적의 임상 운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음악치료사에 의해 시행된 음악중재의 불안감소 효과를 평가하고 표본크기, 대상자 특성, 불안 유형, 음악중재 특성과 같은...
SourceID nrf
kyobo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23
SubjectTerms 음악학
TableOfContents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대상 논문의 수집 및 선정 2. 자료 추출 및 코딩 3. 자료 처리 및 분석 Ⅲ. 연구 결과 1. 분석대상 논문의 특성 2. 전체 평균 효과크기 3. 이질성 검정 4. 조절변수별 효과크기 5. 출판편향 분석 Ⅳ.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Abstract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Title 불안 감소를 위한 국내 음악치료 연구 메타분석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47598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5006921785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79637
Volume 26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024, 26(1), , pp.23-51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rV3NixMxFA_revEiil_1YxnQnJbWzkwyk5xkpp2lCuupwt6G-RQt20rpHvQgolX20IMHix52T-JBUNiDuyD4F3Vm_wffy_RjXEVX8TKE5JeXl7wweS95eSHkRmTGYPrYejWOpayyFD4i5XE1TTlLo4AHaYCXk9fvWq177M4G31g60Sp5LW0Nwlr05Jf3Sv5FqpAHcsVbsn8h2TlRyIA0yBe-IGH4HkvG1HOpa1EhqNegkkNilXoOddF5AbMElDUQ5HDqNlYVCnIZ9ZoIl40CzqnTRJQwqMsKVFNVLIhyTLiSSqFImVBUgGxsaUoAs6AQUIq6MNGFYsoeU7wwoFpWhedMlHj4c8uzWlIlnCnYsbE5mC34lKTQS9sbipS34MFRAwMEhb6AuNgRV_HrrFFXKNoAYeU9EYOVjndwFv-vDpTXBYnrgnp0EZZNlWdYMMWtevHuyez_b5Y0iSKS7tE1ytBNE706Ow830ZfXYDXDqum1Wc1yQPAjC_UPIcE70QP_fs_v9H0wfG77GHGjbhmgjJw0bFs5LKw_9Urn1xJUkbmiaWA8K8nnii1jNp4HKxeMWU-LG2aK25s_8Yqq23Tag1XXedwLe6CcdftpSTlrnyGnp1aV5hTYs2Sp0ztHbmUH2_l4W5vsvc5fjbIP37R8Z3g43tEm-5-z51-0fHeUj1_mX99l70da_nZvsv9Jyz6-OXzxLDsY5sPd86S95rUbrer0vZBqgnZiCsYN2DPCjE0ZgBlQB9XciiKRpnFsQomwhB6IWKRWaOk6kzpobdyI7YRFTE943bxAlru9bnKJaFYQmgmPJO4PsTSph2YQJ7aMrEAmnAVRhVycdd9_VESF8VXkTFEhK2o0fLSR0b866ftgE2FAcDD-wbypkOswTEp8vxHj5WOhrpBTi9l_lSwP-lvJNdCRB-GKEv933imSZ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B6%88%EC%95%88+%EA%B0%90%EC%86%8C%EB%A5%BC+%EC%9C%84%ED%95%9C+%EA%B5%AD%EB%82%B4+%EC%9D%8C%EC%95%85%EC%B9%98%EB%A3%8C+%EC%97%B0%EA%B5%AC+%EB%A9%94%ED%83%80%EB%B6%84%EC%84%9D&rft.jtitle=%ED%95%9C%EA%B5%AD%EC%9D%8C%EC%95%85%EC%B9%98%EB%A3%8C%ED%95%99%ED%9A%8C%EC%A7%80%2C+26%281%29&rft.au=%EC%9E%84%EC%84%A0%EC%98%81&rft.au=%EB%B0%B0%EB%AF%B8%ED%98%84&rft.date=2024-04-30&rft.pub=%ED%95%9C%EA%B5%AD%EC%9D%8C%EC%95%85%EC%B9%98%EB%A3%8C%ED%95%99%ED%9A%8C&rft.issn=1598-916X&rft.eissn=2671-6070&rft.spage=23&rft.epage=51&rft_id=info:doi/10.21330%2Fkjmt.2024.26.1.2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470622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916X&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916X&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916X&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