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커기반 증강현실을 활용한 캐릭터 굿즈 콘텐츠 개발

최근 4차 산업혁멍이 관심을 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최근 증강현실 관련 디바이스들이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증강현실 콘텐츠가 부족한 실정이다. 증강현실은 마커방식과 마커리스 방식이 있는데 마커방식은 마커가 되는 이미지 를 카메라로 비춰서 증강시키는 원리다. 증강현실기술을 캐릭터 굿즈에 접목하여 상품 품질의 제고를 할 수 있는 방 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캐릭터 산업은 매년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캐릭터 굿즈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 다. 캐릭터 아크릴 스탠드는 캐릭터 굿즈 중 하나이며 게임, 웹툰, 애니메이션 캐릭터IP를 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10; no. 3; pp. 953 - 958
Main Author 안찬제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0.06.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DOI10.17703/JCCT.2024.10.3.953

Cover

Abstract 최근 4차 산업혁멍이 관심을 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최근 증강현실 관련 디바이스들이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증강현실 콘텐츠가 부족한 실정이다. 증강현실은 마커방식과 마커리스 방식이 있는데 마커방식은 마커가 되는 이미지 를 카메라로 비춰서 증강시키는 원리다. 증강현실기술을 캐릭터 굿즈에 접목하여 상품 품질의 제고를 할 수 있는 방 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캐릭터 산업은 매년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캐릭터 굿즈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 다. 캐릭터 아크릴 스탠드는 캐릭터 굿즈 중 하나이며 게임, 웹툰, 애니메이션 캐릭터IP를 이용해서 판매하고 있다. 캐릭터 이미지를 마커로 활용하여 캐릭터IP의 특성에 맞는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웹툰 캐릭터를 선 정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하였고, 웹툰 특성에 맞게 음성, 말풍선, 웹툰의 소개를 보여줄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증강현실로 시각적인 정보와 청각적인 정보를 보여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이 연구를 활용하여 다양한 콘텐 츠들을 포함한 제품들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한다.
AbstractList 최근 4차 산업혁멍이 관심을 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최근 증강현실 관련 디바이스들이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증강현실 콘텐츠가 부족한 실정이다. 증강현실은 마커방식과 마커리스 방식이 있는데 마커방식은 마커가 되는 이미지 를 카메라로 비춰서 증강시키는 원리다. 증강현실기술을 캐릭터 굿즈에 접목하여 상품 품질의 제고를 할 수 있는 방 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캐릭터 산업은 매년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캐릭터 굿즈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 다. 캐릭터 아크릴 스탠드는 캐릭터 굿즈 중 하나이며 게임, 웹툰, 애니메이션 캐릭터IP를 이용해서 판매하고 있다. 캐릭터 이미지를 마커로 활용하여 캐릭터IP의 특성에 맞는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웹툰 캐릭터를 선 정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하였고, 웹툰 특성에 맞게 음성, 말풍선, 웹툰의 소개를 보여줄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증강현실로 시각적인 정보와 청각적인 정보를 보여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이 연구를 활용하여 다양한 콘텐 츠들을 포함한 제품들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한다.
Recently,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advancement of augmented reality (AR) devices. However, there is a shortage of AR content. Augmented reality operates through marker-based and markerless methods. The marker-based approach involves using a camera to capture images that serve as markers, enhancing them through AR principles. To address the scarcity of AR cont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character goods, this study proposes integrating AR technology into character goods. The character industry is expanding each year, leading to a diverse range of character goods. Character acrylic stands, among these goods, leverage game, webtoon, and animation character IPs for sales. To enhance the design process, we utilized the character image as a marker, allowing for the creation of content that align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 IP. We selected a webtoon character and developed AR content, incorporating features such as voice, speech bubbles, and an introduction to the webtoon, tailored to the webtoon's characteristic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AR to present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paving the way for a variety of products, including diverse content. We anticipate that utilizing this research will lead to the emergence of products encompassing various contents. 최근 4차 산업혁멍이 관심을 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최근 증강현실 관련 디바이스들이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증강현실 콘텐츠가 부족한 실정이다. 증강현실은 마커방식과 마커리스 방식이 있는데 마커방식은 마커가 되는 이미지를 카메라로 비춰서 증강시키는 원리다. 증강현실기술을 캐릭터 굿즈에 접목하여 상품 품질의 제고를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캐릭터 산업은 매년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캐릭터 굿즈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캐릭터 아크릴 스탠드는 캐릭터 굿즈 중 하나이며 게임, 웹툰, 애니메이션 캐릭터IP를 이용해서 판매하고 있다. 캐릭터 이미지를 마커로 활용하여 캐릭터IP의 특성에 맞는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웹툰 캐릭터를 선정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하였고, 웹툰 특성에 맞게 음성, 말풍선, 웹툰의 소개를 보여줄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증강현실로 시각적인 정보와 청각적인 정보를 보여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이 연구를 활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들을 포함한 제품들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한다.
최근 4차 산업혁멍이 관심을 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최근 증강현실 관련 디바이스들이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증강현실 콘텐츠가 부족한 실정이다. 증강현실은 마커방식과 마커리스 방식이 있는데 마커방식은 마커가 되는 이미지를 카메라로 비춰서 증강시키는 원리다. 증강현실기술을 캐릭터 굿즈에 접목하여 상품 품질의 제고를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캐릭터 산업은 매년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캐릭터 굿즈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캐릭터 아크릴 스탠드는 캐릭터 굿즈 중 하나이며 게임, 웹툰, 애니메이션 캐릭터IP를 이용해서 판매하고 있다. 캐릭터 이미지를 마커로 활용하여 캐릭터IP의 특성에 맞는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웹툰 캐릭터를 선정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하였고, 웹툰 특성에 맞게 음성, 말풍선, 웹툰의 소개를 보여줄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증강현실로 시각적인 정보와 청각적인 정보를 보여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이 연구를 활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들을 포함한 제품들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한다. Recently,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advancement of augmented reality (AR) devices. However, there is a shortage of AR content. Augmented reality operates through marker-based and markerless methods. The marker-based approach involves using a camera to capture images that serve as markers, enhancing them through AR principles. To address the scarcity of AR cont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character goods, this study proposes integrating AR technology into character goods. The character industry is expanding each year, leading to a diverse range of character goods. Character acrylic stands, among these goods, leverage game, webtoon, and animation character IPs for sales. To enhance the design process, we utilized the character image as a marker, allowing for the creation of content that align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 IP. We selected a webtoon character and developed AR content, incorporating features such as voice, speech bubbles, and an introduction to the webtoon, tailored to the webtoon's characteristic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AR to present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paving the way for a variety of products, including diverse content. We anticipate that utilizing this research will lead to the emergence of products encompassing various contents.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안찬제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안찬제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8359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D9Lw0AAxQ-pYK39BIJkcRFS73KX5DKWoLa1UJDsR_7cSWhNJeniXkFw6VKokoJDqTgIWYSiiN8nuXwHqxWn93j83hveLqhEw4gDsI9gA5kmxMcd23YaGtRIYx3hhqXjLVDVMCUqxIZR-fc63QH1JAk9SIhJdAuhKmgVz3fyY5GvsiKbKXI5z7NpORvL-4Wcj5XyIZWPL-U0VeT7pFi-luNMyd--5PJOkZ-z8nYiV09KnqVFlu6BbeEOEl7_0xpwTk8cu6V2e2dtu9lVOaWaSgITexB7ASFE90yBzYATiKkQhm9R6LvC8ijRfGjRAHu-hwTSMDZcw-O-ZgiOa-BoMxvFgvX9kA3d8Fcvh6wfs-aF02YI6hBb62INHG7gfpiMQhYFyYB1mue9n6-QaegmRRBacM0dbDjuxqPQH3B2HYdXbnzDiK4hi-JvKQ9-eQ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306
DOI 10.17703/JCCT.2024.10.3.953
DatabaseName e-articl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Social Sciences (General)
DocumentTitleAlternate Development of Character Goods Content Utilizing Marker-based Augmented Reality
EISSN 2384-0366
EndPage 95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503912
JAKO202417657810090
452198
GroupedDBID M1Z
.UV
JDI
ACYCR
ID FETCH-LOGICAL-e882-4d73b03bd4445b7f37de4038ff6c980caf9b842c098d3bcb1f12336a6bec26fe3
ISSN 2384-0358
IngestDate Sat Jul 26 03:11:42 EDT 2025
Thu Jul 04 05:32:09 EDT 2024
Tue Apr 22 16:20:53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3
Keywords AR
실감콘텐츠
증강현실
캐릭터 굿즈
Character goods
Immersive Content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82-4d73b03bd4445b7f37de4038ff6c980caf9b842c098d3bcb1f12336a6bec26fe3
Notes KISTI1.1003/JNL.JAKO202417657810090
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1765781009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503912
kisti_ndsl_JAKO202417657810090
earticle_primary_45219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24
  text: 2024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PublicationTitleAlternate 문화기술의 융합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국제문화기술진흥원
Publisher_xml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SSID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core 1.8738141
Snippet 최근 4차 산업혁멍이 관심을 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최근 증강현실 관련 디바이스들이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증강현실 콘텐츠가 부족한 실정이다. 증강현실은 마커방식과 마커리스 방식이 있는데 마커방식은 마커가 되는 이미지 를 카메라로 비춰서 증강시키는 원리다. 증강현실기술을 캐릭터 굿즈에...
Recently,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advancement of augmented reality (AR) devices....
최근 4차 산업혁멍이 관심을 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최근 증강현실 관련 디바이스들이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증강현실 콘텐츠가 부족한 실정이다. 증강현실은 마커방식과 마커리스 방식이 있는데 마커방식은 마커가 되는 이미지를 카메라로 비춰서 증강시키는 원리다. 증강현실기술을 캐릭터 굿즈에...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953
SubjectTerms 과학기술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캐릭터 굿즈 2. 증강현실 Ⅲ. 캐릭터 굿즈 콘텐츠 설계 및 개발 1. 캐릭터 굿즈를 위한 증강현실 프레임 설계 2. AR 콘텐츠 개발 Ⅳ. 캐릭터 굿즈 콘텐츠 개발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Title 마커기반 증강현실을 활용한 캐릭터 굿즈 콘텐츠 개발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52198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1765781009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83592
Volume 1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문화기술의 융합, 2024, 10(3), , pp.953-95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NNR68SKKX_WjBHROZddkM5PM4CnJbqmV6mWF3kImH1IqW6ntxYOnFQpeeimssgUPpeJB2ItQFPH_7Gb_g-9NZnejFamyEHbfe3kf85I3780mbwzjXiqpw2nMakwKWaNcurU4FnYNJqcsixnLMw_fHV577K48pavrbH3u3IPKU0u7O7KevPrjeyX_41WAgV_xLdl_8OyUKQDgO_gXjuBhOJ7Jx6QVEN8jnJNWSAL4TknLJwEngYUoOAq-hDjfJaKpcABipNUEBOEUUbw8LUQCTpcUThARKpBPfKEgDCCKU-AToZgDS7-JOGATWEuKOSPBshbHS8GBkoRUTJ0Xona-JreUmFLPsJolK_6KVGtTtStEe31Lq6wNBEYB05qCynDd2BbkztVlZEXGJoNloQBUdSpbL3006OQ5PX2xasvQWE1-VvXQNVTRNInPlPyAlNuWlrEXEhmQ5pRd5etZFeZW470oOx3r1EGU9KdmJQ_CKu64HYbtOtpRx7WS-vTcag_w3-bmX7qAbyYb0bOtaHM7glrnYWRjKx-BO2yfb3ieekZh7XVrEkwbuFzIZn-hNxyK3SLt2W-13es0GFPqUSZmwR7KAM8VavvS6WDorl1ozv3TxmA6p28FqPSw_NmAhK2znVcStvYl46KutEy_pL1szG1uXTFWRh_3im9Hw5PBaNAzi-PD4eBg3OsWb4-Kw645ftcv3n8aH_TN4uv-6PjzuDswh19-FMd7ZvG9N36zX5x8MIeD_mjQv2q0l1vtcKWmNxOpZVhE0tRzpOXIlFLKpJc7XppRy-F57iaCW0mcC8lpI7EETx2ZSDuHlM5xYxdiXMPNM-eaMd_Z6mQ3DFNanptyO8lY7NHctqUbZxlL4eNKzIcXjOuTcYhelC1jIgpZsuALxqIalqiTvnwerfqPnuAA2p4L06YNxY61YNyF8VKO_ovDb56J6pZxYXbP3Dbmd7Z3szuQQO_IRXWh_ATUr5xI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A7%88%EC%BB%A4%EA%B8%B0%EB%B0%98+%EC%A6%9D%EA%B0%95%ED%98%84%EC%8B%A4%EC%9D%84+%ED%99%9C%EC%9A%A9%ED%95%9C+%EC%BA%90%EB%A6%AD%ED%84%B0+%EA%B5%BF%EC%A6%88+%EC%BD%98%ED%85%90%EC%B8%A0+%EA%B0%9C%EB%B0%9C&rft.jtitle=%EB%AC%B8%ED%99%94%EA%B8%B0%EC%88%A0%EC%9D%98+%EC%9C%B5%ED%95%A9%2C+10%283%29&rft.au=%EC%95%88%EC%B0%AC%EC%A0%9C&rft.date=2024-06-30&rft.pub=%EA%B5%AD%EC%A0%9C%EB%AC%B8%ED%99%94%EA%B8%B0%EC%88%A0%EC%A7%84%ED%9D%A5%EC%9B%90&rft.issn=2384-0358&rft.eissn=2384-0366&rft.spage=953&rft.epage=958&rft_id=info:doi/10.17703%2FJCCT.2024.10.3.95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503912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