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주의환기 보상전략 시스템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주의환기 보상전략 시스템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의집중력의 척도로는 세션별 작업 정확도와 작업수행량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가 적용된 후 연구대상자 모두 자율작업 대비 주의집중력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장 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중 주의집중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정확도를 향상하여 학습데이터의 품질을 높일 수 있음을...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ol. 24; no. 2; pp. 119 - 125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30.04.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9-0238 2289-0246 |
DOI | 10.7236/JIIBC.2024.24.2.119 |
Cover
Abstract |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주의환기 보상전략 시스템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의집중력의 척도로는 세션별 작업 정확도와 작업수행량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가 적용된 후 연구대상자 모두 자율작업 대비 주의집중력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장 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중 주의집중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정확도를 향상하여 학습데이터의 품질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발 달장애인의 데이터라벨링 관련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본다. |
---|---|
AbstractList |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주의환기 보상전략 시스템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의집중력의 척도로는 세션별 작업 정확도와 작업수행량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가 적용된 후 연구대상자 모두 자율작업 대비 주의집중력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중 주의집중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정확도를 향상하여 학습데이터의 품질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발달장애인의 데이터라벨링 관련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본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attention redirection compensation strategy system on the data labeling work attention concentration by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ask accuracy and task performance for each session were used as measures of attention concentr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after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ttention concentration was observed in all study subjects compared to self-serving task. These results mean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attention spa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ring data labeling tasks. This study shows that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an improve the quality of learning data by improving the accuracy of data labeling task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s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data labeling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CI Citation Count: 0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attention redirection compensation strategy system on the data labeling work attention concentration by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ask accuracy and task performance for each session were used as measures of attention concentr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after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ttention concentration was observed in all study subjects compared to self-serving task. These results mean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attention spa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ring data labeling tasks. This study shows that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an improve the quality of learning data by improving the accuracy of data labeling task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s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data labeling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주의환기 보상전략 시스템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의집중력의 척도로는 세션별 작업 정확도와 작업수행량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가 적용된 후 연구대상자 모두 자율작업 대비 주의집중력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중 주의집중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정확도를 향상하여 학습데이터의 품질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발달장애인의 데이터라벨링 관련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본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주의환기 보상전략 시스템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의집중력의 척도로는 세션별 작업 정확도와 작업수행량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가 적용된 후 연구대상자 모두 자율작업 대비 주의집중력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장 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중 주의집중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정확도를 향상하여 학습데이터의 품질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발 달장애인의 데이터라벨링 관련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본다. |
Author | 하용만 장종욱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하용만 – sequence: 2 fullname: 장종욱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7533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9kE1LG1EUhi9FoVb9BUK5m24KSed-zMydZRr8SBQEyf4yTu6UIWlSZtx0VzFuooUGLImSCQENcSE0NCop5BflnvyH3jRSOPAeznneF855g1Zq9ZpCaItYWZcy50OxUPiYz1KL8uyisoR4r9AapcLLmJmz8r9n4jXaTJLo2GIW8bjDnTV0CelkNn6C4TfdHGC4nULamV93ZpMR1uNHODuFfkP3njBcdKF5Nz_vQvqI9airLx6gN4CffeM3Fqy_j8xm3jC2dKp_3-vhKYZeC9rnL6EwbMFdS_cH0P6B9a8J_Ono5hWe39zPxlOsnxvQSDfQauhXE7X5ouuotLNdyu9lDg53C_ncQUYJQTK2cJ2QiFCxsEy5bysrMAcqlzhc2EIdU4_4nrf4R5l4Nisz6oiAMjdgxPaEedk6er-MrcWhrASRrPvRP_1Ul5VY5o5KBUks7lqcEQO_W8KVKDmJZK2cVGUxt3-4yCeUcUZdW9jccG-XnPLjkyioKvkljj778VfJuaAOZ38Bge-qvw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M1Z JDI ACYCR |
DEWEY | 004 |
DOI | 10.7236/JIIBC.2024.24.2.119 |
DatabaseName |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Computer Science |
DocumentTitleAlternate | Effect Analysis of a Artificial Intelligence Attention Redirection Compensation Strategy System on the Data Labeling Work Attention Concentration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EISSN | 2289-0246 |
EndPage | 125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0470431 JAKO202412343275854 448264 |
GroupedDBID | ALMA_UNASSIGNED_HOLDINGS M1Z .UV JDI ACYCR |
ID | FETCH-LOGICAL-e881-5876f18fe3fd24a5e0c228e7164858eb291a992024d1953d3268c237c31598723 |
ISSN | 2289-0238 |
IngestDate | Wed May 22 07:06:04 EDT 2024 Wed Jun 05 02:20:54 EDT 2024 Tue Apr 22 16:21:12 EDT 2025 |
IsDoiOpenAccess | true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true |
Issue | 2 |
Keywords | Attention redirection strategy developmental disability data labeling artificial intelligence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881-5876f18fe3fd24a5e0c228e7164858eb291a992024d1953d3268c237c31598723 |
Notes | KISTI1.1003/JNL.JAKO202412343275854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12343275854&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PageCount | 7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470431 kisti_ndsl_JAKO202412343275854 earticle_primary_448264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240430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4-04-30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4 year: 2024 text: 20240430 day: 30 |
PublicationDecade | 2020 |
PublicationTitl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
PublicationTitleAlternat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
PublicationYear | 2024 |
Publisher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
Publisher_xml | – name: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
SSID | ssib030194646 ssib053377388 ssib023738960 ssib044745939 ssib021620247 ssib036278198 |
Score | 2.2530951 |
Snippet |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주의환기 보상전략 시스템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의집중력의 척도로는 세션별 작업 정확도와 작업수행량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가 적용된 후 연구대상자 모두 자율작업 대비 주의집중력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attention redirection compensation strategy system on the data labeling work attention... |
SourceID | nrf kisti earticle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StartPage | 119 |
SubjectTerms | 컴퓨터학 |
TableOfContents | 요약
Abstract
Ⅰ. 서론
II. 본문
III. 연구 결과
IⅤ. 결론
References |
Title | 인공지능 주의환기 보상전략 시스템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448264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12343275854&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75335 |
Volume | 24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2024, 24(2), , pp.119-125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vV3NT9RAFG8QL16Mxi_8IE20J7LrdnbaTo_T3SWAQS-YcGt2t60hmEURLh6MxOUCmkiiAQ1LSITAwUQiYDDhL6Kz_4PvzcyylRCDHkw2zez0vd-8j3bnvdnpq2Hci5PISQou7mqMijma0DjHWJXk4jj2ohrBIlq43jH60B16TEfGnfGe3ueZXUuzM7V8_eWpz5X8i1ehD_yKT8n-hWePQaED2uBfOIKH4XgmH1uVkuWXrYBZFW4FRStwsId7uH2hEliMW9wZkF1wrqSpfaCGoy8bHJmDwgCSIwBFIlaE-FKyFSxG8ZRfAWyJxOCLREJwikjM0T0oCVVIBdkVIDVX5yogimw4iNqVW4sk2VgZOTtIEpt2hMMuCRkQizNsoJr2gAb3pbw-dJ2usLSKIgKpsRGgHFomOKVG4YNaqECZR9rQR6UAhsuBlaFLSk9X2qeER7-cjfMlgzIMR7fwckZnrZeEh4anTcZ9CeVa3JY0rvYnk6JqQF-LwpQEYHxlFjBzwLrehxuHUEgeSGalpwOhrM7leMqMpS5JxlWcILyiDezs8hChmX-68Ib-D-p2ZyxCcP8dUeV68nG2j2ZnSVvPkirgstWT7yfnco_Ilw2NDA8HpTxqlsdP_pg3Wzn9RETzW-30yfpE-GQqnJwOIUMcDrE0CRaUOmecJ54nd3aMvqp0piBiuzjUcUROsPCX311BgOnQp5mKfBD-eRBTH09hlHrU8buFdiGZ8gBBvhezYxxV-wzVu3-KchgU6x8UyJcxiZyAsLcxnWTC3rFLxkWdr5pc0V42eianrhhvRevgaHdfbL1OFzZN8eVQtFban1aODnbMdHdPvJkT6810bd8Ui6tiYaM9vypae2a6s5oufhVrm-LjOvADi5m-24Ez7SawtQ7T79vp1pwp1pbE8rwGFVtLYmMpXd8Uy-_N9NuB-LmSLnww25-3j3YPzfRHUzRbV42xwcpYaSinX-uSixmzcw7EX4nNkriYRIRWnbhQB9PEuG7DHBbXiG9XfR9tEuFf_BHkl6wOfqgXIfNiYLZrRm9jqhHfMMykGBGPuDWXAXM1qlWr-PJ0F-alar1WrSd9xvWOLcNnqnhPSCmDHLDP6JemDRvRi6fhCH_wCAeEKJ4WCa6gAMFdsLm8eP5wEd08E9Ut40L3zrxt9M5Mz8Z3IJWZqfXLi-8X_FcO2Q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D%B8%EA%B3%B5%EC%A7%80%EB%8A%A5+%EC%A3%BC%EC%9D%98%ED%99%98%EA%B8%B0+%EB%B3%B4%EC%83%81%EC%A0%84%EB%9E%B5+%EC%8B%9C%EC%8A%A4%ED%85%9C%EC%9D%B4+%EB%B0%9C%EB%8B%AC%EC%9E%A5%EC%95%A0%EC%9D%B8%EC%9D%98+%EB%8D%B0%EC%9D%B4%ED%84%B0+%EB%9D%BC%EB%B2%A8%EB%A7%81+%EC%9E%91%EC%97%85+%EC%A3%BC%EC%9D%98%EC%A7%91%EC%A4%91%EB%A0%A5%EC%97%90+%EB%AF%B8%EC%B9%98%EB%8A%94+%ED%9A%A8%EA%B3%BC+%EB%B6%84%EC%84%9D&rft.jtitle=%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D%86%B5%EC%8B%A0%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2C+24%282%29&rft.au=%ED%95%98%EC%9A%A9%EB%A7%8C&rft.au=%EC%9E%A5%EC%A2%85%EC%9A%B1&rft.date=2024-04-30&rft.pub=%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D%86%B5%EC%8B%A0%ED%95%99%ED%9A%8C&rft.issn=2289-0238&rft.eissn=2289-0246&rft.spage=119&rft.epage=125&rft_id=info:doi/10.7236%2FJIIBC.2024.24.2.119&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470431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9-0238&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9-0238&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9-0238&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