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초점 촬영과 초점후처리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 카메라 앱
이미지 처리 기법을 통해 이미 촬영된 사진의 초점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현재까지 거의 불가능하다. 본 논문은 촬영된 사진 이미지를 사후에 다른 곳으로 초점을 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에 도전하였다. 본 논문은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카메라가 사진을 촬영할 당시부터 여러 초점을 가진 사진을 촬영하여 한 장의 JPEG 파일 속에 저장해두 었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초점을 맞춘 사진을 끌어내는 방식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본 논문은 가까운 곳부터 먼 곳까지 렌즈의 초점 거리를 빠르게 이동시키면서 여러 사진을 촬영하는 기법과...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ol. 24; no. 1; pp. 189 - 196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9.0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9-0238 2289-0246 |
DOI | 10.7236/JIIBC.2024.24.1.189 |
Cover
Abstract | 이미지 처리 기법을 통해 이미 촬영된 사진의 초점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현재까지 거의 불가능하다. 본 논문은 촬영된 사진 이미지를 사후에 다른 곳으로 초점을 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에 도전하였다. 본 논문은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카메라가 사진을 촬영할 당시부터 여러 초점을 가진 사진을 촬영하여 한 장의 JPEG 파일 속에 저장해두 었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초점을 맞춘 사진을 끌어내는 방식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본 논문은 가까운 곳부터 먼 곳까지 렌즈의 초점 거리를 빠르게 이동시키면서 여러 사진을 촬영하는 기법과 카메라의 뷰파인더에 보이는 객체들을 인식하여 객체별로 초점이 맞추어진 여러 사진을 촬영하는 2가지 기법을 구현하였다. 촬영된 여러 사진들은 한 장의 JPEG에 저장하여 기존의 사진 뷰어들과 호환성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 때 이 JPEG 파일은 여러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이전의 연구에서 제안한 All-in-JPEG 형식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이 기술들을 OnePIC 이름의 안드로이 드 앱으로 구현하여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
---|---|
AbstractList | Currently, it is almost impossible to move the focus of a previously taken photo to a different location. This paper challenges a technology that can move the focus of a captured photo to another location after shooting. To achieve this goal, this paper proposed and implemented a method for taking photos with various focuses at the moment the camera took pictures and storing them in a single JPEG file to extract photos focused on the user's preferred location. In this paper, two methods are implemented: taking various photos by quickly moving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from close to far away, and taking various photos focused on each object by recognizing objects in the camera viewfinder. Various photos taken are stored in a single JPEG to maintain compatibility with traditional photo viewers. At this time, this JPEG file used the All-in-JPEG format proposed in previous research to store a variety of images. This paper verified its practicality by implementing these technologies in an Android app named OnePIC. 이미지 처리 기법을 통해 이미 촬영된 사진의 초점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현재까지 거의 불가능하다. 본 논문은 촬영된 사진 이미지를 사후에 다른 곳으로 초점을 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에 도전하였다. 본 논문은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카메라가 사진을 촬영할 당시부터 여러 초점을 가진 사진을 촬영하여 한 장의 JPEG 파일 속에 저장해두었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초점을 맞춘 사진을 끌어내는 방식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본 논문은 가까운 곳부터 먼 곳까지 렌즈의 초점 거리를 빠르게 이동시키면서 여러 사진을 촬영하는 기법과 카메라의 뷰파인더에 보이는 객체들을 인식하여 객체별로 초점이 맞추어진 여러 사진을 촬영하는 2가지 기법을 구현하였다. 촬영된 여러 사진들은 한 장의 JPEG에 저장하여 기존의 사진 뷰어들과 호환성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 때 이 JPEG 파일은 여러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이전의 연구에서 제안한 All-in-JPEG 형식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이 기술들을 OnePIC 이름의 안드로이드 앱으로 구현하여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미지 처리 기법을 통해 이미 촬영된 사진의 초점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현재까지 거의 불가능하다. 본 논문은 촬영된 사진 이미지를 사후에 다른 곳으로 초점을 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에 도전하였다. 본 논문은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카메라가 사진을 촬영할 당시부터 여러 초점을 가진 사진을 촬영하여 한 장의 JPEG 파일 속에 저장해두 었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초점을 맞춘 사진을 끌어내는 방식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본 논문은 가까운 곳부터 먼 곳까지 렌즈의 초점 거리를 빠르게 이동시키면서 여러 사진을 촬영하는 기법과 카메라의 뷰파인더에 보이는 객체들을 인식하여 객체별로 초점이 맞추어진 여러 사진을 촬영하는 2가지 기법을 구현하였다. 촬영된 여러 사진들은 한 장의 JPEG에 저장하여 기존의 사진 뷰어들과 호환성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 때 이 JPEG 파일은 여러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이전의 연구에서 제안한 All-in-JPEG 형식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이 기술들을 OnePIC 이름의 안드로이 드 앱으로 구현하여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미지 처리 기법을 통해 이미 촬영된 사진의 초점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현재까지 거의 불가능하다. 본 논문은 촬영된 사진 이미지를 사후에 다른 곳으로 초점을 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에 도전하였다. 본 논문은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카메라가 사진을 촬영할 당시부터 여러 초점을 가진 사진을 촬영하여 한 장의 JPEG 파일 속에 저장해두었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초점을 맞춘 사진을 끌어내는 방식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본 논문은 가까운 곳부터 먼 곳까지 렌즈의 초점 거리를 빠르게 이동시키면서 여러 사진을 촬영하는 기법과 카메라의 뷰파인더에 보이는 객체들을 인식하여 객체별로 초점이 맞추어진 여러 사진을 촬영하는 2가지 기법을 구현하였다. 촬영된 여러 사진들은 한 장의 JPEG에 저장하여 기존의 사진 뷰어들과 호환성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 때 이 JPEG 파일은 여러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이전의 연구에서 제안한 All-in-JPEG 형식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이 기술들을 OnePIC 이름의 안드로이드 앱으로 구현하여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Currently, it is almost impossible to move the focus of a previously taken photo to a different location. This paper challenges a technology that can move the focus of a captured photo to another location after shooting. To achieve this goal, this paper proposed and implemented a method for taking photos with various focuses at the moment the camera took pictures and storing them in a single JPEG file to extract photos focused on the user’s preferred location. In this paper, two methods are implemented: taking various photos by quickly moving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from close to far away, and taking various photos focused on each object by recognizing objects in the camera viewfinder. Various photos taken are stored in a single JPEG to maintain compatibility with traditional photo viewers. At this time, this JPEG file used the All-in-JPEG format proposed in previous research to store a variety of images. This paper verified its practicality by implementing these technologies in an Android app named OnePIC. KCI Citation Count: 0 |
Author | 김유진 이재문 김경미 박채원 유송연 정인환 황기태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박채원 – sequence: 2 fullname: 김경미 – sequence: 3 fullname: 유송연 – sequence: 4 fullname: 김유진 – sequence: 5 fullname: 황기태 – sequence: 6 fullname: 정인환 – sequence: 7 fullname: 이재문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5736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9kM1Kw1AQhS-iYK19AkGycSOk5v7fLGvxJ7VQkO4vSZpIaE0l6cadQhelLnShUJCCi2oRuqjaRQWfqLl9B6MRYeAMh2-GM7MBVsN26AGwBY0iR5jtVSxrv1xEBiLFtGARCnMF5BASpp56bPW_x2IdFOI4cAxsQJMwwnKgltyM1Kynnu40NZuowfXi40vLjOVjV70PkpeJtphPk_6zGna1xfRKjbua6o-ScW_Zny9vp5r6nCWv98kwnXt42wRrvt2KvcKf5kH98KBePtartSOrXKrqnhBQJz7iJqU-Eybi1HEdhwmOqOFBHzds23E4TNMKFyGfNCDjrpEymHEm0uNM38R5sJutDSNfNt1Atu3gV8_ashnJ0mndktAgEHECU3gng5tB3Alk2IhbslI6qf28zBCUckYZETTltjPOs6NO4LY8eREF53Z0KQnBAlL8DQ_kgck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M1Z JDI ACYCR |
DEWEY | 004 |
DOI | 10.7236/JIIBC.2024.24.1.189 |
DatabaseName | 학술교육원 E-Article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Computer Science |
DocumentTitleAlternate | Camera App of Smartphone with Multi-Focus Shooting and Focus Post-processing Functions |
EISSN | 2289-0246 |
EndPage | 196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0412741 JAKO202408557656485 443815 |
GroupedDBID | ALMA_UNASSIGNED_HOLDINGS M1Z .UV JDI ACYCR |
ID | FETCH-LOGICAL-e881-4f27955f689275bcbb687250e1f3daabb712388c22f4d167c0bcb367681899f93 |
ISSN | 2289-0238 |
IngestDate | Wed May 01 06:01:11 EDT 2024 Thu Apr 04 09:50:06 EDT 2024 Tue Apr 22 16:21:12 EDT 2025 |
IsDoiOpenAccess | true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true |
Issue | 1 |
Keywords | Smartphone Camera Focus Movement JPEG Multi-Focus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881-4f27955f689275bcbb687250e1f3daabb712388c22f4d167c0bcb367681899f93 |
Notes | KISTI1.1003/JNL.JAKO202408557656485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08557656485&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PageCount | 8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412741 kisti_ndsl_JAKO202408557656485 earticle_primary_443815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240229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4-02-29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2 year: 2024 text: 20240229 day: 29 |
PublicationDecade | 2020 |
PublicationTitl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
PublicationTitleAlternat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
PublicationYear | 2024 |
Publisher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
Publisher_xml | – name: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
SSID | ssib030194646 ssib053377388 ssib023738960 ssib044745939 ssib021620247 ssib036278198 |
Score | 2.2469087 |
Snippet | 이미지 처리 기법을 통해 이미 촬영된 사진의 초점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현재까지 거의 불가능하다. 본 논문은 촬영된 사진 이미지를 사후에 다른 곳으로 초점을 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에 도전하였다. 본 논문은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카메라가 사진을 촬영할 당시부터 여러 초점을... Currently, it is almost impossible to move the focus of a previously taken photo to a different location. This paper challenges a technology that can move the... |
SourceID | nrf kisti earticle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StartPage | 189 |
SubjectTerms | 컴퓨터학 |
TableOfContents |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관련 연구
1. 멀티 이미지 저장 기법
2. 이미지 처리 기법
3. 스마트폰 카메라 제어 기법
III. OnePIC 앱
1. OnePIC 앱 개요
2. 다초점 촬영
3. 다초점 이미지 저장
4. 초점 후처리
IV. OnePIC 앱 구현
1. OnePIC 앱 시작
2. 거리별 다초점 촬영과 원하는 사진 얻기
3. 객체별 다초점 촬영과 원하는 사진 얻기
V. 결론
References |
Title | 다초점 촬영과 초점후처리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 카메라 앱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443815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408557656485&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57365 |
Volume | 24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2024, 24(1), , pp.189-196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vV3Na9RAFA-lHvQiil_1owR0TmXXzex8HpPslrZSe6nQW0iyiUhlK7W9eBCFHko96EGhIAUP1SL0ULWHCv5F3fR_8L2Z7G6sRaoHYQmzb9_7zXtvkp33wswbx7mTpbFKZSZqKYO_QCa4rGmR57W4w9NOnKey2cT9zrP3xdQDNrPAF0ZGz1ZWLa2uJPX02Yn7Sv5lVIEG44q7ZP9iZAegQIA2jC9cYYTheqoxJu2AqID4jLRDEkBUqLDh49qFiZLkh9jQCiJG0vZJ0CRBOPE7O2m3iAYwi0RRALB9AfITRk6RoGG684nPDWQLuO1vDVwugUjSkkLDxQyCNL20kBLYxiQIWA00KoFMmmjTAMxSO81J4FUDZ6MgJzo0PXLit0olSlTW1w8aEhvwFXBRFzDCMzwCBZESoNEloDYNnyjsGOSh49AoFRpoa1UD70TKsKhV5dVJ2Y3m1hyvdB_4UTeGPD4aig7y0bFBy4CDE9SQJUS7_EZFW6BIwD4BpcJr_F19bUOZ2QY_nBz-g9eGMwmluC6O2jI69axKY9XZy7OnOZWBkGePGj4-x0pqDgGamZ4OwjpaVoePVx_IViuaH4s0fqlpvpg-ih4uRYvLEWRu05GHhd8klqA4Q6U0Ky5mn7f7UwP1BHY1iJQpFuTSw8wepinNKpXyICyTEOsOphbGJON6WAAXkhwJCOa8yr5zbE0yNO_uCcZhsFo-6JDHYnL3CMLR7nJeCUfnLzjnyzzS9S3vRWdkcemSM9d7tV3srxcf3rjF_m6x-fLw2w_XEo7erxVfN3ufdt3Dg73exsdia8093HtR7Ky5xcZ2b2f9aOPg6PWeW3zf731-29sCuXdfLjvzk-35cKpWnphSy5TyaiynUnOeC6Wp5EmaJEJJyHEyL2924jhJJMSpSqWU5qzjCZk2gAdLNkLUrnWum1ec0e5SN7vmuFIwnlOdpSzhTFAeN0Qnz5TQNNHNWOgx52rfHdETWxcnYlgukI8548Y7Ubfz9HE049-bo7aOIpeQOzIFDLfBbWb8_3AfXD8V1w3n3PDhuumMriyvZrcgS1hJxs398xM43ND1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B%A4%EC%B4%88%EC%A0%90+%EC%B4%AC%EC%98%81%EA%B3%BC+%EC%B4%88%EC%A0%90%ED%9B%84%EC%B2%98%EB%A6%AC+%EA%B8%B0%EB%8A%A5%EC%9D%84+%EA%B0%80%EC%A7%84+%EC%8A%A4%EB%A7%88%ED%8A%B8%ED%8F%B0+%EC%B9%B4%EB%A9%94%EB%9D%BC+%EC%95%B1&rft.jtitle=%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D%86%B5%EC%8B%A0%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2C+24%281%29&rft.au=%EB%B0%95+%EC%B1%84%EC%9B%90&rft.au=%EA%B9%80%EA%B2%BD%EB%AF%B8&rft.au=%EC%9C%A0%EC%86%A1%EC%97%B0&rft.au=%EA%B9%80%EC%9C%A0%EC%A7%84&rft.date=2024-02-29&rft.pub=%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D%86%B5%EC%8B%A0%ED%95%99%ED%9A%8C&rft.issn=2289-0238&rft.eissn=2289-0246&rft.spage=189&rft.epage=196&rft_id=info:doi/10.7236%2FJIIBC.2024.24.1.189&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412741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9-0238&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9-0238&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9-0238&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