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학생용 학습전략 진단 척도의 온라인 활용을 위한 재타당화 연구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용 학습전략 척도(K-Learning Strategy Scale for College)의 온라인 활용을 위 해 학습인지와 학습정서 요인의 문항을 추가하고 재타당화하는 것이다. 전문대학생의 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학습인지, 학습행동, 학습정서의 하위요인을 각각의 항목별로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분석하는 것은 자기성찰과 학 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중요하다. 추가된 문항은 학습인지 요인의 학습정보처리 과정에서의 주의집중을 진단하는 2개 문항과 학습정서 요인의 타인에 대한 불안수준을 진단하는 대인불안 요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8; no. 1; pp. 349 - 359
Main Author 황재규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01.01.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Cover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용 학습전략 척도(K-Learning Strategy Scale for College)의 온라인 활용을 위 해 학습인지와 학습정서 요인의 문항을 추가하고 재타당화하는 것이다. 전문대학생의 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학습인지, 학습행동, 학습정서의 하위요인을 각각의 항목별로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분석하는 것은 자기성찰과 학 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중요하다. 추가된 문항은 학습인지 요인의 학습정보처리 과정에서의 주의집중을 진단하는 2개 문항과 학습정서 요인의 타인에 대한 불안수준을 진단하는 대인불안 요인 2개 문항이다. 연구대상 지역은 전국 5개 지역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불성실 응답 327명을 제외한 923명의 전문대학생이다. 수정된 K-LSS_r 척도는 학습인지(18문항), 학습정서(15문항), 학습행동(19문항)의 3개 영역 하위요소로 구성된 총 52문항의 전문대학생용 학 습전략 진단 척도이며, 본 연구에서 일반화를 위한 신뢰도 검증 결과 척도 전체 Cronbach의 α 계수는 .896이었고, 3 개 요인의 Cronbach의 α 계수는 .876에서 .910이었다. 척도의 반분신뢰도 계수는 전체가 .858이었고 3개 요인의 반분 신뢰도계수는 .792에서 .843이었다. 5개 지역 소재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3주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 결과 는 전체가 .884이었으며, 일반화를 위한 타당도 검증 결과에서 구인타당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AbstractList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용 학습전략 척도(K-Learning Strategy Scale for College)의 온라인 활용을 위 해 학습인지와 학습정서 요인의 문항을 추가하고 재타당화하는 것이다. 전문대학생의 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학습인지, 학습행동, 학습정서의 하위요인을 각각의 항목별로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분석하는 것은 자기성찰과 학 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중요하다. 추가된 문항은 학습인지 요인의 학습정보처리 과정에서의 주의집중을 진단하는 2개 문항과 학습정서 요인의 타인에 대한 불안수준을 진단하는 대인불안 요인 2개 문항이다. 연구대상 지역은 전국 5개 지역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불성실 응답 327명을 제외한 923명의 전문대학생이다. 수정된 K-LSS_r 척도는 학습인지(18문항), 학습정서(15문항), 학습행동(19문항)의 3개 영역 하위요소로 구성된 총 52문항의 전문대학생용 학 습전략 진단 척도이며, 본 연구에서 일반화를 위한 신뢰도 검증 결과 척도 전체 Cronbach의 α 계수는 .896이었고, 3 개 요인의 Cronbach의 α 계수는 .876에서 .910이었다. 척도의 반분신뢰도 계수는 전체가 .858이었고 3개 요인의 반분 신뢰도계수는 .792에서 .843이었다. 5개 지역 소재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3주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 결과 는 전체가 .884이었으며, 일반화를 위한 타당도 검증 결과에서 구인타당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용 학습전략 척도(K-Learning Strategy Scale for College)의 온라인 활용을 위해 학습인지와 학습정서 요인의 문항을 추가하고 재타당화하는 것이다. 전문대학생의 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습인지, 학습행동, 학습정서의 하위요인을 각각의 항목별로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분석하는 것은 자기성찰과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중요하다. 추가된 문항은 학습인지 요인의 학습정보처리 과정에서의 주의집중을 진단하는 2개 문항과 학습정서 요인의 타인에 대한 불안수준을 진단하는 대인불안 요인 2개 문항이다. 연구대상 지역은 전국 5개 지역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불성실 응답 327명을 제외한 923명의 전문대학생이다. 수정된 K-LSS_r 척도는 학습인지(18문항), 학습정서(15문항), 학습행동(19문항)의 3개 영역 하위요소로 구성된 총 52문항의 전문대학생용 학습전략 진단 척도이며, 본 연구에서 일반화를 위한 신뢰도 검증 결과 척도 전체 Cronbach의 α 계수는 .896이었고, 3개 요인의 Cronbach의 α 계수는 .876에서 .910이었다. 척도의 반분신뢰도 계수는 전체가 .858이었고 3개 요인의 반분신뢰도계수는 .792에서 .843이었다. 5개 지역 소재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3주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 결과는 전체가 .884이었으며, 일반화를 위한 타당도 검증 결과에서 구인타당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 and revalidate items of learning cognition and learning emotion factors for online use of the K-LSS for junior college. It is important for self-reflection and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to specifically explore and analyze the sub-factors of learning cognition, learning behavior, and learning emotion for each item that can affect the learning strategy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e added items are two items for diagnosing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in the learn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of the learning cognitive factor and two questions about the interpersonal anxiety factor for diagnosing the level of anxiety about others in the learning emotional factor. The study area was conducted in 5 areas nationwide,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23 junior college students excluding 327 respondents who answered insincerity. The K-LSS_r scale is a learning strategy diagnosis scale of 52 questions composed of three sub-elements of learning cognition (18 questions), learning emotion (15 questions), and learning behavior (19 questions), and reliability for generalization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Cronbach's α coefficient of the entire scale was .896,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of the three factors ranged from .876 to .910. The half-segment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scale was .858 in total, and the half-segment reliability coefficients of the three factors ranged from .792 to .843. The test-retest reliability verification result for 3 weeks for 350 Junior college Students in 5 regions was .884, and the validity test for generalization also confirmed that the recruitment validity is significant. KCI Citation Count: 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 and revalidate items of learning cognition and learning emotion factors for online use of the K-LSS for junior college. It is important for self-reflection and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to specifically explore and analyze the sub-factors of learning cognition, learning behavior, and learning emotion for each item that can affect the learning strategy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e added items are two items for diagnosing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in the learn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of the learning cognitive factor and two questions about the interpersonal anxiety factor for diagnosing the level of anxiety about others in the learning emotional factor. The study area was conducted in 5 areas nationwide,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23 junior college students excluding 327 respondents who answered insincerity. The K-LSS_r scale is a learning strategy diagnosis scale of 52 questions composed of three sub-elements of learning cognition (18 questions), learning emotion (15 questions), and learning behavior (19 questions), and reliability for generalization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Cronbach's α coefficient of the entire scale was .896,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of the three factors ranged from .876 to .910. The half-segment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scale was .858 in total, and the half-segment reliability coefficients of the three factors ranged from .792 to .843. The test-retest reliability verification result for 3 weeks for 350 Junior college Students in 5 regions was .884, and the validity test for generalization also confirmed that the recruitment validity is significant.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용 학습전략 척도(K-Learning Strategy Scale for College)의 온라인 활용을 위해 학습인지와 학습정서 요인의 문항을 추가하고 재타당화하는 것이다. 전문대학생의 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습인지, 학습행동, 학습정서의 하위요인을 각각의 항목별로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분석하는 것은 자기성찰과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중요하다. 추가된 문항은 학습인지 요인의 학습정보처리 과정에서의 주의집중을 진단하는 2개 문항과 학습정서 요인의 타인에 대한 불안수준을 진단하는 대인불안 요인 2개 문항이다. 연구대상 지역은 전국 5개 지역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불성실 응답 327명을 제외한 923명의 전문대학생이다. 수정된 K-LSS_r 척도는 학습인지(18문항), 학습정서(15문항), 학습행동(19문항)의 3개 영역 하위요소로 구성된 총 52문항의 전문대학생용 학습전략 진단 척도이며, 본 연구에서 일반화를 위한 신뢰도 검증 결과 척도 전체 Cronbach의 α 계수는 .896이었고, 3개 요인의 Cronbach의 α 계수는 .876에서 .910이었다. 척도의 반분신뢰도 계수는 전체가 .858이었고 3개 요인의 반분신뢰도계수는 .792에서 .843이었다. 5개 지역 소재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3주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 결과는 전체가 .884이었으며, 일반화를 위한 타당도 검증 결과에서 구인타당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Author 황재규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황재규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0848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js1Kw0AUhYMoWGtfQWbjwkUhmcwkd5al-FMtFKT7IZkkElpTSbpxV2hWVnBjsZGmuLNCFyIUKvhEZvIOplZcncO5H_ecPWU76AXullLCOpCqqhvG9r-nsKtUosi3VUJMQpmmlRQuX-JsscruB_k4kcNUPr-htbtbrg-zJZKvcTaaI_mRZA-xTCdITuZZ-iXTFcqTaYHLNEZyGufjKZKzRT4cZKPPPHlE8un9e7nYV3Y8qxu5lT8tK-2T43b9rNpsnTbqtWbVBZNVhWWrYArhOJoAD-NioOcxMKhjEYcyotua7YIwNGYTdR1R8JipMY86gAWmelk52rwNQo93hM97lv-rVz3eCXntst3gjGHTAFawhxu240d9nwdO1OXntYsWVoti0AiACkDVgjvYcK4V9n3RdflN6F9b4S0nKhgm1n8AyzaGy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306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Social Sciences (General)
DocumentTitleAlternate Scale Revalidation Study for Online Use of the Learning Strategy Diagnostic Scale for Junior College
EISSN 2384-0366
EndPage 359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927689
JAKO202208148808850
408672
GroupedDBID M1Z
.UV
JDI
ACYCR
M~E
ID FETCH-LOGICAL-e879-cab087ccdd1c8f22044ff9865da4d5943b1be8c619b40a4d558f9719f5d82c253
ISSN 2384-0358
IngestDate Tue Nov 21 21:42:29 EST 2023
Fri Dec 22 12:03:33 EST 2023
Tue Apr 22 16:20:53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Keywords 학습전략
Junior College
Learning Cognition
Learning Behavior
Learning Emotion
학습인지
전문대학
학습정서
학습행동
Learning strategy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9-cab087ccdd1c8f22044ff9865da4d5943b1be8c619b40a4d558f9719f5d82c253
Notes KISTI1.1003/JNL.JAKO202208148808850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20814880885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1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927689
kisti_ndsl_JAKO202208148808850
earticle_primary_408672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2-01
PublicationDateYYYYMMDD 2022-01-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1
  year: 2022
  text: 2022-0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PublicationTitleAlternate 문화기술의 융합
PublicationYear 2022
Publisher 국제문화기술진흥원
Publisher_xml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SSID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sib022502398
Score 1.7799152
Snippet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용 학습전략 척도(K-Learning Strategy Scale for College)의 온라인 활용을 위 해 학습인지와 학습정서 요인의 문항을 추가하고 재타당화하는 것이다. 전문대학생의 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학습인지, 학습행동, 학습정서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 and revalidate items of learning cognition and learning emotion factors for online use of the K-LSS for junior college. It...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용 학습전략 척도(K-Learning Strategy Scale for College)의 온라인 활용을 위해 학습인지와 학습정서 요인의 문항을 추가하고 재타당화하는 것이다. 전문대학생의 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습인지, 학습행동, 학습정서의...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349
SubjectTerms 과학기술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학습전략 2. 전문대학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Title 전문대학생용 학습전략 진단 척도의 온라인 활용을 위한 재타당화 연구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08672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20814880885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08487
Volume 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문화기술의 융합, 2022, 8(1), , pp.349-359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dGh78iKKX_WjBHFOJSUfM5uZY5JNqfXrskJvIZtkpK5spbYXD1LonqzgxWJXusWbFfYgQqGCv8jN_gffTGZ3s0Whegmz7715eR_DzHuzkzcI3bPshGaJQ01Kcs8kSZ6ZSS1zTTvLU0ixqaxGKU9bPK6tPCWra3RtZvZh5dTS9lZzKX39x-9K_serAAO_yq9k_8GzY6YAgDb4F57gYXiey8c4CrFvYUZwFGA_xAGTDRbK4wtRHXOKOZc0zMW8Lhvcxz5fnMb5OKBTjHgEkEUF8jSIAXumQIGj-gFoWeFCyZmXOM6ASnGo4yDUuICV7-OYh2MRNI6Rsl-oWJVChSUokvoACESXyigRAj7ipPt5OACcUkCXkHw-MszYHrqDImOKHt7GpLbTsofKDEoGkA8GHpMlrCobJZqVFr6UD3h60LW6deI4Z7ZORgLWtZGlGc4nnTZ_XYrpKx9xsK01mbshECKm5ZZV6ZfyKqxWXS_csl6rDj1cXRx9qir4mdV6qi54K12Pn23Erc0Ysp_7MecOZI98Fs26tpzzH72JRnOrI3cP6eQfdZjGrWrpR8clspikPfmtboMdz9WEeIRydZ31WDcZv-mxD6mdzHfWIUJrb4pKhNa4hC7q1MrwS9rLaKa1cQXFxefOoH86eLcz3O8Wu73i01dDtt6eSMTRiVF86Qz2jo3ie3fwvlP0Dozi4HjQ-1n0To1h9xDIi17HKA47w_1DozjqD3d3Bns_ht0PRvHx26-T_lXUWI4a4YqpLxUxc-ZxM02aFvPSNMvslAmwCiFCcNA0S0hGOXGbdjNnac3mTWJJEGWCezYXNGNO6lD3Gpprb7TzG8gQNOEiSYUtXEEEy5mdE2inJHMsAYnrPLo-Mk_8siwdExOL1TzALChrxe3s1Yt41X_wRI5OCM7lasoYtebRXTCjcu_f3XzzPES30IXJyL-N5rY2t_M7EEZvNRfU-PgNGvOlK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0%84%EB%AC%B8%EB%8C%80%ED%95%99%EC%83%9D%EC%9A%A9+%ED%95%99%EC%8A%B5%EC%A0%84%EB%9E%B5+%EC%A7%84%EB%8B%A8+%EC%B2%99%EB%8F%84%EC%9D%98+%EC%98%A8%EB%9D%BC%EC%9D%B8+%ED%99%9C%EC%9A%A9%EC%9D%84+%EC%9C%84%ED%95%9C+%EC%9E%AC%ED%83%80%EB%8B%B9%ED%99%94+%EC%97%B0%EA%B5%AC&rft.jtitle=%EB%AC%B8%ED%99%94%EA%B8%B0%EC%88%A0%EC%9D%98+%EC%9C%B5%ED%95%A9%2C+8%281%29&rft.au=%ED%99%A9%EC%9E%AC%EA%B7%9C&rft.date=2022-01-01&rft.pub=%EA%B5%AD%EC%A0%9C%EB%AC%B8%ED%99%94%EA%B8%B0%EC%88%A0%EC%A7%84%ED%9D%A5%EC%9B%90&rft.issn=2384-0358&rft.eissn=2384-0366&rft.spage=349&rft.epage=359&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9927689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