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피스ㆍ완화의료 음악치료사가 경험한 인간의 죽음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인간의 죽음은 학술분야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끊임없이 회자되는 영원한 주제이다. 특별히 환자 의 생의 마지막 시간을 음악으로 동반하는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음악치료사에게 죽음에 대한 깊은 숙고 와 이해는 필수적일 것이다. 이 현상학적 연구는 음악치료사가 경험하는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환자의 죽음과 인간의 죽음에 대한 인식을 기술하고, 그 의미와 본질을 탐색한다. 기준표집에 의해 모집된 6 명의 음악치료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각 참여자와 대면 또는 온라인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참여자들 이 임상에서 사용한 음악파일 및 가사 등을 수집하였...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 24; no. 1; pp. 27 - 5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음악치료학회
30.04.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16X 2671-6070 |
DOI | 10.21330/kjmt.2022.24.1.27 |
Cover
Loading…
Summary: | 인간의 죽음은 학술분야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끊임없이 회자되는 영원한 주제이다. 특별히 환자 의 생의 마지막 시간을 음악으로 동반하는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음악치료사에게 죽음에 대한 깊은 숙고 와 이해는 필수적일 것이다. 이 현상학적 연구는 음악치료사가 경험하는 호스피스ㆍ완화의료 환자의 죽음과 인간의 죽음에 대한 인식을 기술하고, 그 의미와 본질을 탐색한다. 기준표집에 의해 모집된 6 명의 음악치료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각 참여자와 대면 또는 온라인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참여자들 이 임상에서 사용한 음악파일 및 가사 등을 수집하였다. 다양한 삼각측량 전략을 활용하며 수집된 자 료를 귀납적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조직적이고, 구조적으로 기술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두려움, 삶 의 과정, 준비, 동행이라는 4개의 핵심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의 죽음에 관한 실존적 질문 을 제기하고 음악치료사들의 관련 경험을 조명함으로써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음악치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임상적 학술적 논의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
---|---|
ISSN: | 1598-916X 2671-6070 |
DOI: | 10.21330/kjmt.2022.24.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