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층 구조에 기반을 둔 스마트 홈 시스템를 위한 스마트 센서 프레임워크의 설계

스마트 센싱은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은 인공지능 의 발전과 더불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 센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할 수 있 을 것이다. 그러나 스마트 센서 관련 대부분의 연구는 특정 응용 목적, 예를 들면 보안, 에너지 절약, 감시 등에 집중되 고 있으며, 미래에 필요할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 센서를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는 드믄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센서의 효율적 구성을 위한 계층구조를 가진 컴포넌트 기반의 스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ol. 17; no. 4; pp. 49 - 59
Main Authors 정원호, 김유빈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31.08.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9-0238
2289-0246
DOI10.7236/JIIBC.2017.17.4.49

Cover

Abstract 스마트 센싱은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은 인공지능 의 발전과 더불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 센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할 수 있 을 것이다. 그러나 스마트 센서 관련 대부분의 연구는 특정 응용 목적, 예를 들면 보안, 에너지 절약, 감시 등에 집중되 고 있으며, 미래에 필요할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 센서를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는 드믄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센서의 효율적 구성을 위한 계층구조를 가진 컴포넌트 기반의 스마트 센서 프레임워크가 제안되고, 스마트 홈으로의 응용이 설계, 구현된다. 제안된 방법은 가까운 미래에 등장할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 센서를, 제안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상에서 필요한 컴포넌트의 설계 및 개발을 통해 구성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계 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내부 혹은 외부 계층의 삽입을 통해 스마트 센서의 구성을 확대시킬 수도 있으며, 특히 외 부 장치 계층과의 연결을 통해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의 설계 시, 내부 혹은 외부 모듈별 독립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는 장점을 가진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소규모 스마트 홈 시스템이 설계 구현되었으며, 외부의 서버와 연결되어 다 수의 스마트 홈을 수용, 관리할 수 있는 홈 클라우드까지 설계 구현되었다. 각 계층의 컴포넌트들을 개발, 추가함으로 써, 스마트 카, 스마트 빌딩, 스마트 팩토리 등, 그 응용의 폭을 효율적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List 스마트 센싱은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은 인공지능 의 발전과 더불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 센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할 수 있 을 것이다. 그러나 스마트 센서 관련 대부분의 연구는 특정 응용 목적, 예를 들면 보안, 에너지 절약, 감시 등에 집중되 고 있으며, 미래에 필요할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 센서를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는 드믄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센서의 효율적 구성을 위한 계층구조를 가진 컴포넌트 기반의 스마트 센서 프레임워크가 제안되고, 스마트 홈으로의 응용이 설계, 구현된다. 제안된 방법은 가까운 미래에 등장할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 센서를, 제안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상에서 필요한 컴포넌트의 설계 및 개발을 통해 구성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계 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내부 혹은 외부 계층의 삽입을 통해 스마트 센서의 구성을 확대시킬 수도 있으며, 특히 외 부 장치 계층과의 연결을 통해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의 설계 시, 내부 혹은 외부 모듈별 독립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는 장점을 가진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소규모 스마트 홈 시스템이 설계 구현되었으며, 외부의 서버와 연결되어 다 수의 스마트 홈을 수용, 관리할 수 있는 홈 클라우드까지 설계 구현되었다. 각 계층의 컴포넌트들을 개발, 추가함으로 써, 스마트 카, 스마트 빌딩, 스마트 팩토리 등, 그 응용의 폭을 효율적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센싱은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은 인공지능의 발전과 더불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 센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스마트 센서 관련 대부분의 연구는 특정 응용 목적, 예를 들면 보안, 에너지 절약, 감시 등에 집중되고 있으며, 미래에 필요할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 센서를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는 드믄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센서의 효율적 구성을 위한 계층구조를 가진 컴포넌트 기반의 스마트 센서 프레임워크가 제안되고, 스마트 홈으로의 응용이 설계, 구현된다. 제안된 방법은 가까운 미래에 등장할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 센서를, 제안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상에서 필요한 컴포넌트의 설계 및 개발을 통해 구성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내부 혹은 외부 계층의 삽입을 통해 스마트 센서의 구성을 확대시킬 수도 있으며, 특히 외부 장치 계층과의 연결을 통해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의 설계 시, 내부 혹은 외부 모듈별 독립적인 설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소규모 스마트 홈 시스템이 설계 구현되었으며, 외부의 서버와 연결되어 다 수의 스마트 홈을 수용, 관리할 수 있는 홈 클라우드까지 설계 구현되었다. 각 계층의 컴포넌트들을 개발, 추가함으로써, 스마트 카, 스마트 빌딩, 스마트 팩토리 등, 그 응용의 폭을 효율적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Smart sensing plays a key role in a variety of IoT applications, and its importance is growing more and more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smart sensors cannot be overemphasized. However, most studies related to smart sensors have been focusing on specific application purposes, for example, security, energy saving, monitoring, and there are not much effort on researches on how to efficiently configure various types of smart sensors to be needed in the future. In this paper, a component-based framework with hierarchical structure for efficient construction of smart sensor is proposed and its application to smart home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proposed method shows that various types of smart sensors to be appeared in the near future can be configured through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necessary components within the proposed software framework. In addition, since it has a layered architecture,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sensor can be expanded by inserting the internal or external layer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design the internal and external modules when designing an IoT application service through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layer. A small-scale smart home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using the proposed method, and a home cloud operating as an external layer, is further designed to accommodate and manage multiple smart homes. By developing and thus adding the components of each layer, it will be possible to efficiently extend th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smart cars, smart buildings, smart factories an so on KCI Citation Count: 1
Smart sensing plays a key role in a variety of IoT applications, and its importance is growing more and more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smart sensors cannot be overemphasized. However, most studies related to smart sensors have been focusing on specific application purposes, for example, security, energy saving, monitoring, and there are not much effort on researches on how to efficiently configure various types of smart sensors to be needed in the future. In this paper, a component-based framework with hierarchical structure for efficient construction of smart sensor is proposed and its application to smart home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proposed method shows that various types of smart sensors to be appeared in the near future can be configured through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necessary components within the proposed software framework. In addition, since it has a layered architecture,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sensor can be expanded by inserting the internal or external layer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design the internal and external modules when designing an IoT application service through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layer. A small-scale smart home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using the proposed method, and a home cloud operating as an external layer, is further designed to accommodate and manage multiple smart homes. By developing and thus adding the components of each layer, it will be possible to efficiently extend th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smart cars, smart buildings, smart factories an so on. 스마트 센싱은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은 인공지능의 발전과 더불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 센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스마트 센서 관련 대부분의 연구는 특정 응용 목적, 예를 들면 보안, 에너지 절약, 감시 등에 집중되고 있으며, 미래에 필요할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 센서를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는 드믄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센서의 효율적 구성을 위한 계층구조를 가진 컴포넌트 기반의 스마트 센서 프레임워크가 제안되고, 스마트 홈으로의 응용이 설계, 구현된다. 제안된 방법은 가까운 미래에 등장할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 센서를, 제안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상에서 필요한 컴포넌트의 설계 및 개발을 통해 구성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내부 혹은 외부 계층의 삽입을 통해 스마트 센서의 구성을 확대시킬 수도 있으며, 특히 외부 장치 계층과의 연결을 통해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의 설계 시, 내부 혹은 외부 모듈별 독립적인 설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소규모 스마트 홈 시스템이 설계 구현되었으며, 외부의 서버와 연결되어 다수의 스마트 홈을 수용, 관리할 수 있는 홈 클라우드까지 설계 구현되었다. 각 계층의 컴포넌트들을 개발, 추가함으로써, 스마트 카, 스마트 빌딩, 스마트 팩토리 등, 그 응용의 폭을 효율적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Author 정원호
김유빈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정원호
– sequence: 2
  fullname: 김유빈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5815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pNkM1Kw0AUhQdRsNa-gAvJxoWL1sxPJjPLWvxpFQTpfkjSGQmtrSTduBQilOpCoWLFKAqKmy4KInThEzWTdzBaEeHCudzzcQ_3LoH5dqctAViBZslGmG7UqtXNSgmZ0C5lRUqEz4EcQowXTUTo_F-P2SIohKHvmtiEnFBCc6A5fY_05MOYfoz081jfXhnTyTgZD_VDZCTXA0P3X5K3XtqfGOldz9AXcTZIz-Pk9dPQcZTexP8IHX3qKDbSQZQ89fRjpO8v07ORfhhmzkuWswwWlNMKZeFX86C-vVWv7Bb3D3aqlfJ-UTKbFhExmVTK4w70GkhRSiyXWdDiUCEslWUp6jGkuOVQx2PQ5Q2lslMkhq6LpbRxHqzP1rYDJZqeLzqO_6NHHdEMRPmwXhWQI8ItmrFrM7bph11ftBthS9TKewffz0SUYG4yRgjJuNUZJ52g63stKU4C_9gJTgU2bcoZ_gJzuZN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004
DOI 10.7236/JIIBC.2017.17.4.49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Computer Science
DocumentTitleAlternate A Design of Smart Sensor Framework for Smart Home System Bsed on Layered Architecture
EISSN 2289-0246
EndPage 59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924956
JAKO201726439088444
307698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M1Z
.UV
JDI
ACYCR
M~E
ID FETCH-LOGICAL-e876-2408effc9a1cd2f6645b851591f23ef55f6c82f95a6ac81b9dff646e31bb3ee73
ISSN 2289-0238
IngestDate Tue Nov 21 21:46:01 EST 2023
Fri Dec 22 11:58:37 EST 2023
Tue Apr 22 16:21:10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4
Keywords Smart Sensor
Component-Based Framework
Smart Home
Layered Architecture
IoT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6-2408effc9a1cd2f6645b851591f23ef55f6c82f95a6ac81b9dff646e31bb3ee73
Notes KISTI1.1003/JNL.JAKO201726439088444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726439088444&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1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924956
kisti_ndsl_JAKO201726439088444
earticle_primary_30769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708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7-08-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17
  text: 201708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PublicationTitleAlternat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PublicationYear 2017
Publisher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SSID ssib030194646
ssib053377388
ssib023738960
ssib044745939
ssib021620247
ssib036278198
ssib022331885
Score 1.9983994
Snippet 스마트 센싱은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은 인공지능 의 발전과 더불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 센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할 수 있 을 것이다. 그러나 스마트 센서 관련 대부분의 연구는 특정 응용...
Smart sensing plays a key role in a variety of IoT applications, and its importance is growing more and more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스마트 센싱은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은 인공지능의 발전과 더불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 센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스마트 센서 관련 대부분의 연구는 특정 응용...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49
SubjectTerms 컴퓨터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스마트 센서 프레임워크 1. 스마트 센서와 계층구조 2. 센서의 추상화: 센서 추상화 계층(SAL) 3. 감지 계층과 서비스 계층 Ⅲ. 센서허브와 홈 클라우드 IV. SmSF 기반의 스마트 홈 시스템설계 1. 스마트 홈 시스템 블록 구조 2. 컴포넌트의 구성적 임베딩 V. 소규모 스마트 홈 시스템 구현 VI. 결론 및 향후연구 References
Title 계층 구조에 기반을 둔 스마트 홈 시스템를 위한 스마트 센서 프레임워크의 설계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307698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726439088444&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58152
Volume 1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2017, 17(4), , pp.49-59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NLT14kUUv-pHCeKcytYkO5OZOSbpSltRLxV6C5tsRsqWrdT24kEQIpTqQaFixa0oVLz0UJBCD_1F3ex_8L2Z7G78wg9Ysi9v3ry8j2TmvWTyYlk3IdERburwGhM-JCgtTmEcbHo1p05933OaEJPrBbL3_LkHdGGJLY2Nr1RWLW2sJzPpk1--V_I_XgUc-BXfkv0Hzw6ZAgJg8C9swcOw_Ssfk0ZAwjoRlDQiEgoSsmmNYiSIEBW4JHQQkJxIx7QJjQpxK4VumwUG04iSLpEIRUQEJKCICjgRQDWLmFBMIyQloAwVdIkq5EDFNAb6MRJGmgj2hW6T2PYH7po2jEpAk0NHqjkAuaPJgWej1FmGRESagVuqDNrIISc8SmmhahA-lGZgrNmyZ2iEoaWJEOClrQKpefpoU6TxsaOxAYhVMpQaCEAmbU_BtC4hihZqwVHh4fMhjXCwo9FEGj7gIDEiAQElrkYxlgyM69AD1ds1EAKU958Ho7rn4Ro1z5S0GU5BvHKp0cp8Ysq5lpGJKZ3-45zHPf1RnoX5-TDCpYp8Bn50ZtDzu1riMKD7UoxbpzzO9aKGu08bg9HXc-Ha9EbJpYc1r-QoeYaZQNJKMTqIfDiEk8PRm1JOmRzVmIU8ggMH_UnIgc7mrTWU-NbP8mI4WF5KkCli-rQMAV9nTVUCvsWz1pkyU7MDQ3vOGmuvnrfaJ1_z4ujQPjncLz4dFG9f2SdHB72DnWI3t3uvt-1ia6_3ZbO_dWT3323axYsuIPrPu73Px3bRzftvuhWKIj8u8q7d3857HzeLD3nx_mX_2X6xuwMte3CcC9bi7cZiNFcrv1dSyyCmwOeUIlMqlU03bXnK9ylLBKYLrvLqmWJM-anwlGRNv5lCtihbSoE9s7qbJPUs4_WL1kRntZNdtmyVUXz8ryBbYDQTmXB9BYlMK1GcN5PMmbQuDUwVPzJVaWLj20lrSlsu7rQer8QLwZ37aGIP8w6IJyilk9YNMGncTpdjrCyP_w9X4_ZaDPnzfKxvxzD_ym_5X7VOj87qa9bE-tpGdh3C8vVkSp9N3wDlYrU1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3%84%EC%B8%B5+%EA%B5%AC%EC%A1%B0%EC%97%90+%EA%B8%B0%EB%B0%98%EC%9D%84+%EB%91%94+%EC%8A%A4%EB%A7%88%ED%8A%B8+%ED%99%88+%EC%8B%9C%EC%8A%A4%ED%85%9C%EB%A5%BC+%EC%9C%84%ED%95%9C+%EC%8A%A4%EB%A7%88%ED%8A%B8+%EC%84%BC%EC%84%9C+%ED%94%84%EB%A0%88%EC%9E%84%EC%9B%8C%ED%81%AC%EC%9D%98+%EC%84%A4%EA%B3%84&rft.jtitle=%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D%86%B5%EC%8B%A0%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rft.au=%EC%A0%95%EC%9B%90%ED%98%B8&rft.au=%EA%B9%80%EC%9C%A0%EB%B9%88&rft.date=2017-08-31&rft.issn=2289-0238&rft.volume=17&rft.issue=4&rft.spage=49&rft.epage=59&rft_id=info:doi/10.7236%2FJIIBC.2017.17.4.49&rft.externalDocID=30769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9-023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9-023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9-023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