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티브러닝의 효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본 연구는 학습자중심 교수학습법으로 진행되는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학습법의 유형과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교수학습 과정과 교수학습 효과에 어떻게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교수학습 과정이 교수학습 효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교수학습법은 많은 학습자중심 교수학습법 방법들 중 플립러닝, 문제중심학습, 액션러닝의 3개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학습자의 특성은 성별, 학년별, 계열별의 3개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 자료는 2016년도 10...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양교육연구 Vol. 11; no. 1; pp. 475 - 500
Main Authors 임영규(Lim, Young-Kyu), 배은숙(Bae, Eun-Sook), 이경미(Lee, Kyung-Mi), 임삼조(Lim, Sam-Cho), 박일우(Park, Il-W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양교육학회 28.02.2017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3212
2714-1101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자중심 교수학습법으로 진행되는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학습법의 유형과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교수학습 과정과 교수학습 효과에 어떻게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교수학습 과정이 교수학습 효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교수학습법은 많은 학습자중심 교수학습법 방법들 중 플립러닝, 문제중심학습, 액션러닝의 3개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학습자의 특성은 성별, 학년별, 계열별의 3개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 자료는 2016년도 10월 한국 사회과학자료센터의 웹서브를 이용한 전자설문조사로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한글판 이용한 측정도구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정,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 및 교수학습 효과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교수학습법 선호도와 교수학습법에 대한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수학습법에 따른 교수학습과정 및 교수학습 효과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인지도, 선호도, 난이도, 학습량, 지식습득량, 교육목표의 달성도, 만족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교수학습 과정과 교수학습 효과 간의 인과적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교수학습 과정의 교수학습법의 인지도, 선호도, 학습량이 각각 교수학습 효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교수학습법의 난이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teaching-learning effect in survey. The a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is divided into three types of learning-centered instructional learning methods: Flipped Learning, Problem Based Learning, and Action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re classified into thre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ex, grade, and series. The analysis data in this study are collected by electronic questionnaire using the web serve of the Korean Social Science Data Center in October, 2016. The method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ppli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rner characteristic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teaching-learning method and satisfac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 Second, type of teaching-learning method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preference, degree of difficulty, amount of learning, amount of knowledge acquisition, achievement degree of education goal, and satisfac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ird, recognition, preference, and amount of learning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teaching learning effect. However, the difficulty of the teaching-earning method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KCI Citation Count: 10
AbstractList 본 연구는 학습자중심 교수학습법으로 진행되는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학습법의 유형과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교수학습 과정과 교수학습 효과에 어떻게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교수학습 과정이 교수학습 효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교수학습법은 많은 학습자중심 교수학습법 방법들 중 플립러닝, 문제중심학습, 액션러닝의 3개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학습자의 특성은 성별, 학년별, 계열별의 3개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 자료는 2016년도 10월 한국 사회과학자료센터의 웹서브를 이용한 전자설문조사로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한글판 이용한 측정도구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정,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 및 교수학습 효과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교수학습법 선호도와 교수학습법에 대한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수학습법에 따른 교수학습과정 및 교수학습 효과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인지도, 선호도, 난이도, 학습량, 지식습득량, 교육목표의 달성도, 만족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교수학습 과정과 교수학습 효과 간의 인과적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교수학습 과정의 교수학습법의 인지도, 선호도, 학습량이 각각 교수학습 효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교수학습법의 난이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teaching-learning effect in survey. The a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is divided into three types of learning-centered instructional learning methods: Flipped Learning, Problem Based Learning, and Action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re classified into thre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ex, grade, and series. The analysis data in this study are collected by electronic questionnaire using the web serve of the Korean Social Science Data Center in October, 2016. The method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ppli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rner characteristic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teaching-learning method and satisfac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 Second, type of teaching-learning method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preference, degree of difficulty, amount of learning, amount of knowledge acquisition, achievement degree of education goal, and satisfac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ird, recognition, preference, and amount of learning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teaching learning effect. However, the difficulty of the teaching-earning method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KCI Citation Count: 10
Author 임삼조(Lim, Sam-Cho)
임영규(Lim, Young-Kyu)
배은숙(Bae, Eun-Sook)
이경미(Lee, Kyung-Mi)
박일우(Park, Il-Woo)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임영규(Lim, Young-Kyu)
– sequence: 2
  fullname: 배은숙(Bae, Eun-Sook)
– sequence: 3
  fullname: 이경미(Lee, Kyung-Mi)
– sequence: 4
  fullname: 임삼조(Lim, Sam-Cho)
– sequence: 5
  fullname: 박일우(Park, Il-Woo)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0042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T9Lw0Achg-pYKz9DlkcHAL3u7vcXcZS_FMoCJL9uCQXCZEctC5uOsfBpVSKQQURhQ4dFPxM7fU7GKzTszzv8-6jTmUrs4M8IoAFABg6yINI8IASIHuoN5kUCcaMR0KG4CHmpq-bern-uV8_L9Z145pHfzP_cPNPN3vwV1-3m-mT7-o39964lzvfzZar78UB2s311cT0_tlF8clxPDgLRuenw0F_FBgpWCAzMAQDoYxJyiDNM01NqENODWUh0SYSGefSaI4ZxZBSGuUCOCYmE0LqiHbR0TZbjXNVpoWyuvjjpVXlWPUv4qEC2s4Ia93DrVve2MSqxNoyNdW1GSuGAWMi2icsOf0F-Uhf6g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ACYCR
DatabaseName Kyobo Scholar Journals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ctive Learning
EISSN 2714-1101
EndPage 500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333924
4010027668086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M~E
P5Y
SSSTE
ACYCR
ID FETCH-LOGICAL-e874-8d1e20123448341cfda3e5a563e3452ae97d668ea604301c339f71602ed778a93
ISSN 1976-3212
IngestDate Tue Nov 21 21:44:21 EST 2023
Tue Feb 18 15:08:40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Keywords 교수학습 과정
active learning
flipped learning
문제중심학습
action learning
problem based learning
teaching-learning effect
teaching-learning process
플립러닝
교수학습 효과
액션러닝
액티브러닝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4-8d1e20123448341cfda3e5a563e3452ae97d668ea604301c339f71602ed778a93
Notes G704-SER000001745.2017.11.1.015
PageCount 2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333924
kyobo_bookcenter_401002766808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7-02-28
PublicationDateYYYYMMDD 2017-02-28
PublicationDate_xml – month: 02
  year: 2017
  text: 2017-02-28
  day: 28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교양교육연구
PublicationYear 2017
Publisher 한국교양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Publisher_xml – name: 한국교양교육학회
– name: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SID ssib004697851
ssib009345133
ssib044738157
Score 1.6152306
Snippet 본 연구는 학습자중심 교수학습법으로 진행되는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학습법의 유형과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교수학습 과정과 교수학습 효과에 어떻게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교수학습 과정이 교수학습 효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SourceID nrf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475
SubjectTerms 학제간연구
TableOfContents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2. 선행연구 분석 및 연구의 독창성 3. 교과목 유형별 교수학습법 모색 4. 연구 설계 5. 실증 분석 6. 결론
Title 액티브러닝의 효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2766808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00427
Volume 1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교양교육연구, 2017, 11(1), 35, pp.475-500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3LihNBsNnsyYsoKq6PJYh9CiPz6JnpPk4mCesjXhJhb8M8OroEMxCSw3oQPceDl2VlMaggorCHPSj4TZvJP1jVM0kmuuDqpVPp7qqurupHVU8_CLkbC8tOYOLTXDNmGouNWOPQrLTIinpJLN2eGeEB5_ZjZ-cJe7Br725UOqVdS-NRdC9-cea5kv_RKsSBXvGU7D9odkkUIgAG_UIIGobwXDqmTZ8Km3oGbTYor9O6TpsQcsp9BESLegqAJNFQmRtU8BrmFh71uIoCQCjApUKHNI_WGe5_wEw2FX4NE4GCxxDwnIKUp4MRWisQsWDAA1b8srVbRApdZQNMYz3GV6yfSQHagEppUq7KFVCpHNtFPJM_yp-BVqOV9nB_XFrSUELQFUlVZa4AzqkQgFgPZX7CZ6B1wMNYw1PZofpYjknrDaTktVCiUGC-ZQmKggLbe7_jLRjlgOcrARnIwZLRTvhc85-lC7RioQUm79XBdewaS7EvxNE4nxBzLFGolvulyQZMQc0yjfXZyPij1-VTC8tfmCmsFFvXVzP4cl8lOMu4zuDgeypOhVQsA4f-9stm6UO2cMsfgoXFFi_84H_GXDDh1P24S-7Abevvp1EK1tdg2CtZX91L5GLhNlW9vA9cJhv99Aph2cGn-eRk9vPN7MPxbDLNpu-q86Ov2dG37PBt9fT7q_nB-2o2-Zx9mWYfX1ezw5PTH8dXSbfV7Po7WvEKiCa5yzSeGNJEw5_hsrcR95LQknZoO5YE1s1QCjeB-srQwdvrjNiyRM81HN2UievyUFjXyOYgHcjrpJpYptAhkCLRGQxF4PrY4O0YoYwczqzeFtlWFQ3Qv8W90XIYrEl0i9wBCQT9eC_AW9nx92ka9IcB-J73AxAjOBvsxt-o3CQXVs3rFtkcDcfyNli2o2hb6eoXRjd5r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5%A1%ED%8B%B0%EB%B8%8C%EB%9F%AC%EB%8B%9D%EC%9D%98+%ED%9A%A8%EC%9A%A9%EC%97%90+%EA%B4%80%ED%95%9C+%EC%8B%A4%EC%A6%9D%EC%A0%81+%EC%97%B0%EA%B5%AC&rft.jtitle=%EA%B5%90%EC%96%91%EA%B5%90%EC%9C%A1%EC%97%B0%EA%B5%AC&rft.au=%EC%9E%84%EC%98%81%EA%B7%9C%28Lim%2C+Young-Kyu%29&rft.au=%EB%B0%B0%EC%9D%80%EC%88%99%28Bae%2C+Eun-Sook%29&rft.au=%EC%9D%B4%EA%B2%BD%EB%AF%B8%28Lee%2C+Kyung-Mi%29&rft.au=%EC%9E%84%EC%82%BC%EC%A1%B0%28Lim%2C+Sam-Cho%29&rft.date=2017-02-28&rft.pub=%ED%95%9C%EA%B5%AD%EA%B5%90%EC%96%91%EA%B5%90%EC%9C%A1%ED%95%99%ED%9A%8C&rft.issn=1976-3212&rft.volume=11&rft.issue=1&rft.spage=475&rft.epage=500&rft.externalDocID=4010027668086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6-321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6-321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6-321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