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미용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비교
본 연구는 헤어미용사에 대한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들의 사회적 인식 비교를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 를 위해 대구광역시 및 경북에 거주 중인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 286명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미용사가 선호하는 직업은 개인 샵 운영이다. 그리고 미용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미 적 감각이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직업이라는 높은 인식이 나타났고, 전문대 졸업이 평균학력이며, 5∼10년 정도의 경력이 적절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일반인의 인식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6; no. 2; pp. 177 - 182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1.05.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0358 2384-0366 |
Cover
Abstract | 본 연구는 헤어미용사에 대한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들의 사회적 인식 비교를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 를 위해 대구광역시 및 경북에 거주 중인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 286명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미용사가 선호하는 직업은 개인 샵 운영이다. 그리고 미용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미 적 감각이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직업이라는 높은 인식이 나타났고, 전문대 졸업이 평균학력이며, 5∼10년 정도의 경력이 적절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일반인의 인식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미용사는 전문적인 이론 지식 과 기능이 헤어미용사에게 필요한 자질이며, 미의 선도적인 역할이라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예비미용인 과 일반인은 헤어미용사에게 필요한 자질은 디자인 감각과 창조성이며, 청결과 봉사적인 역할을 감당해야한다는 의식 이 높게 나타났다. 헤어미용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실력이며, 여성헤어미용사를 선호한다는 인식은 동일하게 나타났 다. 셋째, 헤어미용사의 이직 원인으로 임금관련 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초임 급여는 100만원 이상∼150만원 미 만이, 하루 평균 근무시간으로 9∼10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헤어미용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은 미용사, 예비 미용인, 일반인에게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헤어미용사의 사회적 인식이 호전되고 있지만 일반인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
---|---|
AbstractLis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hairdressers, hairdressers-to-be, and ordinary people on hairdressers. For this, 286 hairdressers, hairdressers-to-be, and ordinary people residing in Daegu and Gyeongbuk were surveyed and analyz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preferred by hairdressers is running their own salon. Most of those involved in the beauty industry considered that anyone who has an aesthetic sense can become a hairdresser, the average education level is college, and 5-10 years of experience would be adequate. On the other hand, the majority of the ordinary people thought different. Second, most of the hairdressers thought that professional theoretical knowledge and skills are required for hairdressers and that they have the role of leading beauty. On the other hand, the majority of the hairdressers-to-be and ordinary people considered that what it takes to become hairdressers are design sense and creativity and that they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of cleanliness and service. Meanwhile, all the research subjects shared common ideas that the competence required for hairdressers is skills and female hairdressers are preferred. Third, the most common cause for hairdressers to move from a workplace to another was wage-related issues, and the most answered entry-level salary was between KRW 1 million and 1.5 million and average working hours a day 9-10 hours. Fourth, the research subject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of the occupation of hairdresser. Th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the social perception of hairdressers is improving, ordinary people still need to change their perception. 본 연구는 헤어미용사에 대한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들의 사회적 인식 비교를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및 경북에 거주 중인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 286명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미용사가 선호하는 직업은 개인 샵 운영이다. 그리고 미용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미적 감각이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직업이라는 높은 인식이 나타났고, 전문대 졸업이 평균학력이며, 5~10년 정도의 경력이 적절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일반인의 인식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미용사는 전문적인 이론 지식과 기능이 헤어미용사에게 필요한 자질이며, 미의 선도적인 역할이라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예비미용인과 일반인은 헤어미용사에게 필요한 자질은 디자인 감각과 창조성이며, 청결과 봉사적인 역할을 감당해야한다는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헤어미용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실력이며, 여성헤어미용사를 선호한다는 인식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셋째, 헤어미용사의 이직 원인으로 임금관련 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초임 급여는 100만원 이상~150만원 미만이, 하루 평균 근무시간으로 9~10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헤어미용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은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에게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헤어미용사의 사회적 인식이 호전되고 있지만 일반인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헤어미용사에 대한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들의 사회적 인식 비교를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및 경북에 거주 중인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 286명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미용사가 선호하는 직업은 개인 샵 운영이다. 그리고 미용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미적 감각이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직업이라는 높은 인식이 나타났고, 전문대 졸업이 평균학력이며, 5∼10년 정도의 경력이 적절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일반인의 인식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미용사는 전문적인 이론 지식과 기능이 헤어미용사에게 필요한 자질이며, 미의 선도적인 역할이라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예비미용인과 일반인은 헤어미용사에게 필요한 자질은 디자인 감각과 창조성이며, 청결과 봉사적인 역할을 감당해야한다는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헤어미용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실력이며, 여성헤어미용사를 선호한다는 인식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셋째, 헤어미용사의 이직 원인으로 임금관련 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초임 급여는 100만원 이상∼150만원 미만이, 하루 평균 근무시간으로 9∼10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헤어미용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은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에게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헤어미용사의 사회적 인식이 호전되고 있지만 일반인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hairdressers, hairdressers-to-be, and ordinary people on hairdressers. For this, 286 hairdressers, hairdressers-to-be, and ordinary people residing in Daegu and Gyeongbuk were surveyed and analyz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preferred by hairdressers is running their own salon. Most of those involved in the beauty industry considered that anyone who has an aesthetic sense can become a hairdresser, the average education level is college, and 5-10 years of experience would be adequate. On the other hand, the majority of the ordinary people thought different. Second, most of the hairdressers thought that professional theoretical knowledge and skills are required for hairdressers and that they have the role of leading beauty. On the other hand, the majority of the hairdressers-to-be and ordinary people considered that what it takes to become hairdressers are design sense and creativity and that they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of cleanliness and service. Meanwhile, all the research subjects shared common ideas that the competence required for hairdressers is skills and female hairdressers are preferred. Third, the most common cause for hairdressers to move from a workplace to another was wage-related issues, and the most answered entry-level salary was between KRW 1 million and 1.5 million and average working hours a day 9-10 hours. Fourth, the research subject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of the occupation of hairdresser. Th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the social perception of hairdressers is improving, ordinary people still need to change their perception. KCI Citation Count: 1 본 연구는 헤어미용사에 대한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들의 사회적 인식 비교를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 를 위해 대구광역시 및 경북에 거주 중인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 286명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미용사가 선호하는 직업은 개인 샵 운영이다. 그리고 미용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미 적 감각이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직업이라는 높은 인식이 나타났고, 전문대 졸업이 평균학력이며, 5∼10년 정도의 경력이 적절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일반인의 인식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미용사는 전문적인 이론 지식 과 기능이 헤어미용사에게 필요한 자질이며, 미의 선도적인 역할이라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예비미용인 과 일반인은 헤어미용사에게 필요한 자질은 디자인 감각과 창조성이며, 청결과 봉사적인 역할을 감당해야한다는 의식 이 높게 나타났다. 헤어미용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실력이며, 여성헤어미용사를 선호한다는 인식은 동일하게 나타났 다. 셋째, 헤어미용사의 이직 원인으로 임금관련 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초임 급여는 100만원 이상∼150만원 미 만이, 하루 평균 근무시간으로 9∼10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헤어미용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은 미용사, 예비 미용인, 일반인에게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헤어미용사의 사회적 인식이 호전되고 있지만 일반인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
Author | 김광희 김진숙 김은영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김광희 – sequence: 2 fullname: 김은영 – sequence: 3 fullname: 김진숙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9130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9jD1Lw0AAhg-pYK39C5LFwSFwl_tIbgzFj2qhoN2PS-5OjtZUki5uKm526FILxYKDiyC4KNS_ZC__wWDF6XkfeHi3QS0bZnoD1AMcER9ixmr_m0ZboFkUNoGEhIRyhOoAlbMX9_ixel-6-au7e3Ozibca35TTJ6-ycj52z7eeWyzdw8Jbfd1_f052wKaRg0I3_9gA54cHvdax3-ketVtxx9dRiP2EhoYRmqpE6pCZyrhhhqiAJJJImCqsoWKIJEYjwxSjgTScI6MgVTiiuAH2169ZbkQ_tWIo7S8vhqKfi_is1xYcY04xrtq9ddu3xciKTBUDcRKfdgMYQERDFvBqEFZ1u-tOy3xk04EWV7m9lPm1wCGDiOEfIFxolg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M1Z JDI ACYCR |
DEWEY | 306 |
DatabaseName |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Social Sciences (General) |
DocumentTitleAlternate | A Comparison of the Social Perception of Hairdressers |
EISSN | 2384-0366 |
EndPage | 182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9339533 JAKO202015762902046 376016 |
GroupedDBID | M1Z .UV JDI ACYCR M~E |
ID | FETCH-LOGICAL-e873-b57f645cdbae76f57f9f6f4d24ba4a0cd3e0d614bfe1f6d652af991fd05d3853 |
ISSN | 2384-0358 |
IngestDate | Tue Nov 21 21:40:15 EST 2023 Fri Dec 22 11:58:51 EST 2023 Tue Apr 22 16:20:53 EDT 2025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false |
Issue | 2 |
Keywords | 사회적 인식 경제적 지위 occupational status economic status hairdressers 직업적 위상 헤어미용사 social perception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873-b57f645cdbae76f57f9f6f4d24ba4a0cd3e0d614bfe1f6d652af991fd05d3853 |
Notes | KISTI1.1003/JNL.JAKO202015762902046 http://www.ipact.kr/eng/bbs/board.php?bo_table=Recent_Issue_jcct&wr_id=33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015762902046&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PageCount | 6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9339533 kisti_ndsl_JAKO202015762902046 earticle_primary_376016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200531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0-05-31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5 year: 2020 text: 20200531 day: 31 |
PublicationDecade | 2020 |
PublicationTitle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PublicationTitleAlternate | 문화기술의 융합 |
PublicationYear | 2020 |
Publisher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Publisher_xml |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SSID |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sib022502398 |
Score | 1.7247732 |
Snippet | 본 연구는 헤어미용사에 대한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들의 사회적 인식 비교를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 를 위해 대구광역시 및 경북에 거주 중인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 286명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미용사가 선호하는 직업은 개인 샵...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hairdressers, hairdressers-to-be, and ordinary people on hairdressers. For this, 286 hairdressers,... 본 연구는 헤어미용사에 대한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들의 사회적 인식 비교를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및 경북에 거주 중인 미용사, 예비미용인, 일반인 286명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미용사가 선호하는 직업은 개인 샵... |
SourceID | nrf kisti earticle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StartPage | 177 |
SubjectTerms | 과학기술학 |
TableOfContents |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분석
Ⅲ. 연구 결과
1. 헤어미용사의 직업적 위상
2. 헤어미용사의 자격과 자질
3. 헤어미용사의 복지와 경제적 지위
4. 헤어미용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
Ⅳ.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
Title | 헤어미용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비교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376016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015762902046&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91306 |
Volume | 6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문화기술의 융합, 2020, 6(2), , pp.177-182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B-2PXkRv10_ShAHlCUlH5NJ5phkt9Qt1YMVeguZzaQtK7uy3SJ4EBVv9tCLFooFD14EwYtC_SP8R9zs_-CbSTaJsuLHJZmZffN2Jm94-b3Jm_cQuilRiJAnc3tmHOuEO6bODcL1xBAGIdyz057c71i_S1cfkO6ms9lofKt5Le2N-XLvydxzJf8jVWgDucpTsv8g2ZIpNEAZ5AtXkDBc_0rGuNPGzMU-wZ0QM4oDKATYX8GBp1p87DNZ8Czsh6rFxcxoSSIvlD4Osr-DWdiqUbVlP0-R-wYATfUbaxc8vQDKikPAsAf_5-MAOBi_AbkS1irH9lEe9BPWWh7rQ7TG5aa-2pbohmHpr624MjVAX06KmWpYbVwFiqyRqNEVBQ975lwS31WjhQl4mFUO5nku6bXH8WBL3xaivgdilZ_vZ6oScAfRDTsPAr8s6m15TpeZrqe1JW3V9LZZ5JLJIYCZ50P6OTr3L2_N0pex66_dk2MywXKzmDxrTBfQgm1Kpbv-tDNTbpbcvnOqT9qWTWT0RrOqq_SrpXIkxCUOq5QvwHKXMpVOtJytBFDF4gPbShocOwCRBqO0BpE2zqDThdg1P6c9ixr94TnUzA-Aa8VLZFe7VUQ6v30emdPD99mbz5NPJ9nRh-zFx-zwQJvsP5u-fqtBbXq0n717rmXHJ9mrY23y9eX3LwcX0P2Vzka4qhc5PHThubbOHTelxOklPBYuTaHGUpqSxCI8JrHRS2xhJIAQeSrMlCbUseIULJY0MZzEBiR5ES0OhgNxGWnCTjn0A7QOEJ9yh5PYAmtdmGBxxHBvokuzZxE9ygO1RMrhizbRkno00SDZfRjNEVcT3YBnFvV7O5EMti7vW8OoP4rApLwTMduWLthX_sTlKjpVLc1raHE82hPXAbCO-ZJaCD8A5JJ-rA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7%A4%EC%96%B4%EB%AF%B8%EC%9A%A9%EC%82%AC%EC%97%90+%EB%8C%80%ED%95%9C+%EC%82%AC%ED%9A%8C%EC%A0%81+%EC%9D%B8%EC%8B%9D+%EB%B9%84%EA%B5%90&rft.jtitle=Journal+of+the+convergence+on+culture+technology+%3A+JCCT&rft.au=%EA%B9%80%EA%B4%91%ED%9D%AC&rft.au=%EA%B9%80%EC%9D%80%EC%98%81&rft.au=%EA%B9%80%EC%A7%84%EC%88%99&rft.au=Kim%2C+Kwang-hee&rft.date=2020-05-31&rft.issn=2384-0358&rft.eissn=2384-0366&rft.volume=6&rft.issue=2&rft.spage=177&rft.epage=182&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2015762902046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