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빅데이터를 이용한 전국 도로 안전성능함수 및 안전등급 개발 연구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도로 유형을 대상으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안전성능함수(safety performance function, SPF)를 개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로에 대한 안전등급을 평가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위험한 도로에 대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 였다. 교통사고 자료를 국가표준 노드 및 링크 체계를 기반으로 전국의 도로에 매칭 하여 종속 변수로 활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 링크 길이, 차로 수 등 기하구조 자료 및 한국교통연구원의 ViewT 교통량 자료, 그리고 사업용 차량에 장착된 운행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韓國ITS學會 論文誌 Vol. 18; no. 5; pp. 34 - 48
Main Authors 권건안, 박상민, 정하림, 권철우, 윤일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ITS학회 31.10.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0774
2384-1729
DOI10.12815/kits.2019.18.5.34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도로 유형을 대상으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안전성능함수(safety performance function, SPF)를 개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로에 대한 안전등급을 평가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위험한 도로에 대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 였다. 교통사고 자료를 국가표준 노드 및 링크 체계를 기반으로 전국의 도로에 매칭 하여 종속 변수로 활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 링크 길이, 차로 수 등 기하구조 자료 및 한국교통연구원의 ViewT 교통량 자료, 그리고 사업용 차량에 장착된 운행기록계를 통한 위험운전행동 건수를 활 용한 4개 시스템의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여 7개 도로 유형별 안전성능함수 를 개발하고, 개발된 안전성능함수를 활용하여 도로유형별로 A, B, C, D 네 개의 안전등급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론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위험도로를 선정하 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교통안전 개선사업의 대상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효과 등을 모 니터링하고 계량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Lis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도로 유형을 대상으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안전성능함수(safety performance function, SPF)를 개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로에 대한 안전등급을 평가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위험한 도로에 대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 였다. 교통사고 자료를 국가표준 노드 및 링크 체계를 기반으로 전국의 도로에 매칭 하여 종속 변수로 활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 링크 길이, 차로 수 등 기하구조 자료 및 한국교통연구원의 ViewT 교통량 자료, 그리고 사업용 차량에 장착된 운행기록계를 통한 위험운전행동 건수를 활 용한 4개 시스템의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여 7개 도로 유형별 안전성능함수 를 개발하고, 개발된 안전성능함수를 활용하여 도로유형별로 A, B, C, D 네 개의 안전등급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론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위험도로를 선정하 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교통안전 개선사업의 대상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효과 등을 모 니터링하고 계량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to develop safety performance functions (SPF) using transportation-related big data for all types of roads in Korea were developed, Seco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measures for relatively dangerous roads by evaluating the safety grade for various roads based on it. The coordinates of traffic accident data are used to match roads across the country based on the national standard node and link system. As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effort uses link length, the number of traffic volume data from ViewT established by the Korea Transport Research Institute, and the number of dangerous driving behaviors based on the digital tachograph system installed on commercial vehicles. Based on the methodology and result of analysis us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transportation safety improvement projects can be properly selected, and the effects can be clearly monitored and quantified.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도로 유형을 대상으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안전성능함수(safety performance function, SPF)를 개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로에 대한 안전등급을 평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위험한 도로에 대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교통사고 자료를 국가표준 노드 및 링크 체계를 기반으로 전국의 도로에 매칭 하여 종속 변수로 활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 링크 길이, 차로 수 등 기하구조 자료 및 한국교통연구원의 ViewT 교통량 자료, 그리고 사업용 차량에 장착된 운행기록계를 통한 위험운전행동 건수를 활용한 4개 시스템의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여 7개 도로 유형별 안전성능함수를 개발하고, 개발된 안전성능함수를 활용하여 도로유형별로 A, B, C, D 네 개의 안전등급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론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위험도로를 선정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교통안전 개선사업의 대상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효과 등을 모니터링하고 계량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도로 유형을 대상으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안전성능함수(safety performance function, SPF)를 개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로에 대한 안전등급을 평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위험한 도로에 대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교통사고 자료를 국가표준 노드 및 링크 체계를 기반으로 전국의 도로에 매칭 하여 종속변수로 활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 링크 길이, 차로 수 등 기하구조 자료 및 한국교통연구원의ViewT 교통량 자료, 그리고 사업용 차량에 장착된 운행기록계를 통한 위험운전행동 건수를 활용한 4개 시스템의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여 7개 도로 유형별 안전성능함수를 개발하고, 개발된 안전성능함수를 활용하여 도로유형별로 A, B, C, D 네 개의 안전등급을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론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위험도로를 선정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교통안전 개선사업의 대상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효과 등을 모니터링하고 계량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to develop safety performance functions (SPF) using transportation-related big data for all types of roads in Korea were developed, Seco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measures for relatively dangerous roads by evaluating the safety grade for various roads based on it. The coordinates of traffic accident data are used to match roads across the country based on the national standard node and link system. As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effort uses link length, the number of traffic volume data from ViewT established by the Korea Transport Research Institute, and the number of dangerous driving behaviors based on the digital tachograph system installed on commercial vehicles. Based on the methodology and result of analysis us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transportation safety improvement projects can be properly selected, and the effects can be clearly monitored and quantified. KCI Citation Count: 1
Author 정하림
권건안
권철우
박상민
윤일수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권건안
– sequence: 2
  fullname: 박상민
– sequence: 3
  fullname: 정하림
– sequence: 4
  fullname: 권철우
– sequence: 5
  fullname: 윤일수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1755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kMtKw0AYhQepYK19AReSjQsXiTOZJDOzLMVLtVCQ7sfJTUJrK0k37qtUQSpIUaSCLgoKCikYUPCJMuk7GG0Xh3P-w8e_OKug0Ol2PADWEdSQTpG53Qp6kaZDxDRENVPDxhIo6pgaKiI6K4AiIpiqkBBjBZSjKLAhtnTCINSL4DhNbmeXiSK_L-RNnD19zvqxnPwoecoe32ajsZI999PkQ5HDvnzJr9EgL7L-VF5PZqPXbPCgyHi4qOXdNP26UtJ4LOMcvY_T5H0NLPuiHXnlhZdAc3enWd1X6429WrVSVz1KsCooNByEmWW6DkLUhS4kwqWu8IVjO77tMWQSxIQPqW06AuqUeYRgZtuMuhiZuAS25m87oc9bTsC7Ivj3ky5vhbxy1KxxK9_BQDhnN-dsK4h6Ae-4UZsfVA4bfwtiZFnYtCijMOc25pwnwl7gtD1-FganIjzn2MIs1y_QNo3G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388.3
DOI 10.12815/kits.2019.18.5.34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conomics
Journalism & Communications
DocumentTitleAlternate Development of Safety Performance Functions and Level of Service of Safety on National Roads Using Traffic Big Data
EISSN 2384-1729
EndPage 4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6173413
JAKO201931663568980
363936
GroupedDBID M1Z
.UV
JDI
ACYCR
ID FETCH-LOGICAL-e873-a804c13965dc118d0d07ad8dafacbcfbe915719af08b5ca0289e7739bb98d3153
ISSN 1738-0774
IngestDate Sat Jul 13 03:11:41 EDT 2024
Fri Dec 22 11:58:40 EST 2023
Fri Jun 21 15:40:10 EDT 2024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5
Keywords 교통안전
Level of service of safety
Road
안전등급
Big data
Safety performance function
도로
traffic safety
빅데이터
안전성능함수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3-a804c13965dc118d0d07ad8dafacbcfbe915719af08b5ca0289e7739bb98d3153
Notes KISTI1.1003/JNL.JAKO201931663568980
http://journal.kits.or.kr/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93166356898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5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6173413
kisti_ndsl_JAKO201931663568980
earticle_primary_36393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910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9-10-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0
  year: 2019
  text: 201910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韓國ITS學會 論文誌
PublicationTitleAlternate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PublicationYear 2019
Publisher 한국ITS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ITS학회
SSID ssib036279002
ssib053377138
ssib012146223
ssib023739049
ssib004698092
ssib008451679
ssib044738259
Score 2.0822952
Snippe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도로 유형을 대상으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안전성능함수(safety performance function, SPF)를 개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로에 대한 안전등급을 평가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위험한 도로에 대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to develop safety performance functions (SPF) using transportation-related big data for all types of roads in...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도로 유형을 대상으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안전성능함수(safety performance function, SPF)를 개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로에 대한 안전등급을 평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위험한 도로에 대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34
SubjectTerms 전자/정보통신공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관련 이론 및 연구 고찰 1. 관련 이론 고찰 2. 선행 연구 고찰 Ⅲ. 자료 수집 및 구축 1. 변수 선정 2. 자료 수집 및 가공 Ⅳ. 분석테이블 구축 및 기초 통계 분석 1. 분석테이블 구축 2. 기초 통계분석 Ⅴ. 안전성능함수 개발 및 도로안전등급 평가 1. 안전성능함수 개발 2. 도로안전등급 평가 3. 최종 LOSS 검증 결과 및 분석 Ⅵ.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1. 결론 2. 향후 연구과제 ACKNOWLEDGEMENTS REFERENCES
Title 교통 빅데이터를 이용한 전국 도로 안전성능함수 및 안전등급 개발 연구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363936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93166356898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17557
Volume 1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ITS학회 논문지, 2019, 18(5), 85, pp.34-4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xNBFF9qvXgRxa_6URZxTiVx9nPeHHe3CW2lejBCb-t-RUoklZpePHiKUgWpIEWRCnooKCikYEDBvyib_A--mdkkW1pBvWwms799nwnvvZ3dN5p2I87ASDIHKpDZCRYoiVGJKeMVCmkzjjBmObLP7Optd-mevbLmrM2cWCs9tbTViavJk2PfK_kfr-Ic-lW8JfsPnp0QxQkco3_xiB7G41_5mNQ84juEU1JbJODieIHUfOJzAo4YwCLx8VxAOA5sCbLljE88h_jBQukcDjzicQHiSFKd86i4QnHxFiVxqMsppGCMUYgHKMEDycaQaE9wUjQ9iUEkByUmouvHEvAJtyQBZAwE-IIcUeRXXDdmzKQ2SrygnGdP1JgIv9y4O55USnoEJDkQlpAKBYKbkIIRmKziSAKuxHpCpsJWQuIpRAnlSP0sTM4luTrxgylEKsfHtuAgIe4hyIQRCmIKuHKKT8u3ZgxeimkqmjCMJpSpbYiOhpvpgr6MHcVNXZWFqPajR-KbCbIXSGu9I1rNG7xqQNWpjq881DfcwtzTck9oJ03G5AMMq09rpfVsDrS0ng5iv-bpeq0htnsvJY6mxSxeWo_FrIdxOm0cZ9uoaamQxhoCmcpt5Cc2KN5YExrcPCK_SAWLvxFWiaJ0Wsdkr73ZLCV7jTPa6aJK0z2FPavNtDbOafcH_dej5309__ksf9Ubfvg-6vby_V86jobvv4x29_Thx-6g_03Pd7r5J_y2u40Tw-5B_nJ_tPt5uP1Oz3s7xXT-5mDw44U-6O3lPYS-7Q36X89rjXqtESxVig1KKhkwqxIBtROsoFwnTbBOT2lKWZRCGjWjJE6accYNhxk8alKInSQSa_oZQ0PGMYfUwlTjgjbb3mhnlzQ9doym7USQ0IzbNDIjTLyzVGQjpgkpgznt4tg-4SPVhiZUDp7T5qW5wnb6-GG44t26I-xqGaKScAG9PKddRzuGrWQ9FK3kxeeDjbC1GWLBvBxiASPy2Mt_pH9FOzX9aV_VZjubW9k1zMM78bz8Sf0GfBuy3w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5%90%ED%86%B5+%EB%B9%85%EB%8D%B0%EC%9D%B4%ED%84%B0%EB%A5%BC+%EC%9D%B4%EC%9A%A9%ED%95%9C+%EC%A0%84%EA%B5%AD+%EB%8F%84%EB%A1%9C+%EC%95%88%EC%A0%84%EC%84%B1%EB%8A%A5%ED%95%A8%EC%88%98+%EB%B0%8F+%EC%95%88%EC%A0%84%EB%93%B1%EA%B8%89+%EA%B0%9C%EB%B0%9C+%EC%97%B0%EA%B5%AC&rft.jtitle=%ED%95%9C%EA%B5%ADITS%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rft.au=%EA%B6%8C%EA%B1%B4%EC%95%88&rft.au=%EB%B0%95%EC%83%81%EB%AF%BC&rft.au=%EC%A0%95%ED%95%98%EB%A6%BC&rft.au=%EA%B6%8C%EC%B2%A0%EC%9A%B0&rft.date=2019-10-31&rft.issn=1738-0774&rft.volume=18&rft.issue=5&rft.spage=34&rft.epage=48&rft_id=info:doi/10.12815%2Fkits.2019.18.5.34&rft.externalDocID=363936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077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077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077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