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향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속담과 수수께끼

행동경제학은(Behavior Economics)은 인간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한다고 가정하는 전통경제학을 부정하고, 경제학에 심리학 기반의 인지적 원리를 적용하여 개인의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하기 위해 발전해 왔 다. 개인은 의사결정에 있어서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보와 시간이 부족하며,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인지적 능력 에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인간의 합리성이란 제한된 합리성일 수밖에 없다.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해 인간은 최선의 선택을 하지 못하고 자신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만족할 만한 수준에서 사 고를 멈추고 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3; no. 4; pp. 35 - 42
Main Authors 김경섭, 김정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0.11.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DOI10.17703/JCCT.2017.3.4.35

Cover

Abstract 행동경제학은(Behavior Economics)은 인간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한다고 가정하는 전통경제학을 부정하고, 경제학에 심리학 기반의 인지적 원리를 적용하여 개인의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하기 위해 발전해 왔 다. 개인은 의사결정에 있어서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보와 시간이 부족하며,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인지적 능력 에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인간의 합리성이란 제한된 합리성일 수밖에 없다.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해 인간은 최선의 선택을 하지 못하고 자신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만족할 만한 수준에서 사 고를 멈추고 단순한 모형이나 대략적인 추측에 의존하여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이 단순화되는 의사결정 과정에 작용 하는 것이 바로 휴리스틱(Heuristic)이다. 휴리스틱은 기존 경험이나 특정 정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의사결정이나 행 동에 편향(Bias)이 생기게 된다. 구비문학은 언어 대중의 어림짐작과 사고의 편향성에 기반을 두고 전승되어 온 특징이 있기에, 행동경제학의 휴리스 틱과 편향의 개념을 구비문학에 접합해 논의할 여지는 충분하다. 이 글은 대중의 사고유형과 행동양식을 단문으로 표 현한 속담, 민속적인 언어 놀이인 수수께끼를 휴리스틱에 기반한 편향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그 결과 속담은 인간 행 동에서 드러나는 편향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측면이 강했던 반면, 수수께끼는 편향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면이 더 우 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List 행동경제학은(Behavior Economics)은 인간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한다고 가정하는 전통경제학을 부정하고, 경제학에 심리학 기반의 인지적 원리를 적용하여 개인의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하기 위해 발전해 왔 다. 개인은 의사결정에 있어서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보와 시간이 부족하며,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인지적 능력 에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인간의 합리성이란 제한된 합리성일 수밖에 없다.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해 인간은 최선의 선택을 하지 못하고 자신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만족할 만한 수준에서 사 고를 멈추고 단순한 모형이나 대략적인 추측에 의존하여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이 단순화되는 의사결정 과정에 작용 하는 것이 바로 휴리스틱(Heuristic)이다. 휴리스틱은 기존 경험이나 특정 정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의사결정이나 행 동에 편향(Bias)이 생기게 된다. 구비문학은 언어 대중의 어림짐작과 사고의 편향성에 기반을 두고 전승되어 온 특징이 있기에, 행동경제학의 휴리스 틱과 편향의 개념을 구비문학에 접합해 논의할 여지는 충분하다. 이 글은 대중의 사고유형과 행동양식을 단문으로 표 현한 속담, 민속적인 언어 놀이인 수수께끼를 휴리스틱에 기반한 편향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그 결과 속담은 인간 행 동에서 드러나는 편향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측면이 강했던 반면, 수수께끼는 편향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면이 더 우 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Behavior Economics, a branch of social sciences, which seeks to find the answers about why man sometimes does absurd economy-related things, came into existence through combining economics and psychology. To the contrary of the traditional economics', behavior economics has developed by explaining how man makes economy-related choices by means of applying their own cognitive principles. Individuals lack the information on the goods and services in the market, and don't know how to make best use of the obtained information, failing to achieve maximum utility. Therefore, man's rationality is meant to be confined to bounded rationality. It is the very Heuristic that does work in the process of this simplified decision making process. Heuristic utilizes established empirical notion and specific information, and that's why there can be cognitive biases sometimes leading to inaccurate judgment. As Oral Literature is basically based on heavy guesswork and perceptual biases of general public, it is imperative to contemplate oral literature in the framework of Heuristic of behavior economics. This thesis deals with thinking types and behavioral patterns of the short-piece proverbs, folklore language-game riddles on the basis of personal or public memory. As a result, it is evident that proverbs point out biases arising from human behaviors, while riddles make full or active use of biases. 행동경제학은(Behavior Economics)은 인간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한다고 가정하는 전통경제학을 부정하고, 경제학에 심리학 기반의 인지적 원리를 적용하여 개인의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하기 위해 발전해 왔다. 개인은 의사결정에 있어서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보와 시간이 부족하며,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인지적 능력에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인간의 합리성이란 제한된 합리성일 수밖에 없다.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해 인간은 최선의 선택을 하지 못하고 자신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만족할 만한 수준에서 사고를 멈추고 단순한 모형이나 대략적인 추측에 의존하여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이 단순화되는 의사결정 과정에 작용하는 것이 바로 휴리스틱(Heuristic)이다. 휴리스틱은 기존 경험이나 특정 정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의사결정이나 행동에 편향(Bias)이 생기게 된다. 구비문학은 언어 대중의 어림짐작과 사고의 편향성에 기반을 두고 전승되어 온 특징이 있기에, 행동경제학의 휴리스틱과 편향의 개념을 구비문학에 접합해 논의할 여지는 충분하다. 이 글은 대중의 사고유형과 행동양식을 단문으로 표현한 속담, 민속적인 언어 놀이인 수수께끼를 휴리스틱에 기반한 편향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그 결과 속담은 인간 행동에서 드러나는 편향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측면이 강했던 반면, 수수께끼는 편향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면이 더 우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행동경제학은(Behavior Economics)은 인간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한다고 가정하는 전통경제학을 부정하고, 경제학에 심리학 기반의 인지적 원리를 적용하여 개인의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하기 위해 발전해 왔 다. 개인은 의사결정에 있어서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보와 시간이 부족하며,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인지적 능력 에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인간의 합리성이란 제한된 합리성일 수밖에 없다. 제한된 합리성으로 인해 인간은 최선의 선택을 하지 못하고 자신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만족할 만한 수준에서 사 고를 멈추고 단순한 모형이나 대략적인 추측에 의존하여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이 단순화되는 의사결정 과정에 작용 하는 것이 바로 휴리스틱(Heuristic)이다. 휴리스틱은 기존 경험이나 특정 정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의사결정이나 행 동에 편향(Bias)이 생기게 된다. 구비문학은 언어 대중의 어림짐작과 사고의 편향성에 기반을 두고 전승되어 온 특징이 있기에, 행동경제학의 휴리스 틱과 편향의 개념을 구비문학에 접합해 논의할 여지는 충분하다. 이 글은 대중의 사고유형과 행동양식을 단문으로 표 현한 속담, 민속적인 언어 놀이인 수수께끼를 휴리스틱에 기반한 편향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그 결과 속담은 인간 행 동에서 드러나는 편향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측면이 강했던 반면, 수수께끼는 편향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면이 더 우 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Behavior Economics, a branch of social sciences, which seeks to find the answers about why man sometimes does absurd economy-related things, came into existence through combining economics and psychology. To the contrary of the traditional economics', behavior economics has developed by explaining how man makes economy-related choices by means of applying their own cognitive principles. Individuals lack the information on the goods and services in the market, and don't know how to make best use of the obtained information, failing to achieve maximum utility. Therefore, man's rationality is meant to be confined to bounded rationality. It is the very Heuristic that does work in the process of this simplified decision making process. Heuristic utilizes established empirical notion and specific information, and that's why there can be cognitive biases sometimes leading to inaccurate judgment. As Oral Literature is basically based on heavy guesswork and perceptual biases of general public, it is imperative to contemplate oral literature in the framework of Heuristic of behavior economics. This thesis deals with thinking types and behavioral patterns of the short-piece proverbs, folklore language-game riddles on the basis of personal or public memory. As a result, it is evident that proverbs point out biases arising from human behaviors, while riddles make full or active use of biases. KCI Citation Count: 4
Author 김정래
김경섭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경섭
– sequence: 2
  fullname: 김정래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8933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D9Lw1AUxR-iYK39AC6SxcEh8b5_eS84leCf1kJBsj9i8yKhNZWki5uCiCBKF7VDBRdHp1Yo2E-Upt_B1IpwuOfA_XEvnA20GndjjdAWBgsLAXSv7rqeRQALi1rMonwFlQiVzARq26v_mct1VEnT6AwYE4w7GJfQ_vxpMn_5yN8GRja-zt_7-Ws_vx0as9HEmD8Ps6_PxSq_e5w9jLPR1MjvB4Wy78HsZrqJ1kK_k-rKn5eRd3jgucdmo3lUc6sNU0tBTCcgEHDHx7xFfRuAYBxSrLUOGOYcy0CGEmwCgLkoBpPAbWyDI4hTAODQMtpdno2TULVbker60a-fd1U7UdVTr6YIZpxzUrA7S7Ydpb1IxUHaUfXqSXPRDQjMqYDFp4LbXnLaT3pRq6PVZRJd-MmVophLm9IfUDBxhg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306
DOI 10.17703/JCCT.2017.3.4.35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Social Sciences (General)
DocumentTitleAlternate The Significance of Korean Proverb and Riddle in the sense of Bias
EISSN 2384-0366
EndPage 42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2145552
JAKO201707153702001
315863
GroupedDBID M1Z
.UV
JDI
ACYCR
ID FETCH-LOGICAL-e872-9d20d59a15c3a600211f31eeed415518d8f806200157001480561609729415093
ISSN 2384-0358
IngestDate Sun Mar 09 07:51:24 EDT 2025
Fri Dec 22 12:03:35 EST 2023
Tue Apr 22 16:20:53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4
Keywords 행동경제학
휴리스틱
Proverb
Riddle
Bias
편향
Behavior Economics
수수께끼
속담
Heuristic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2-9d20d59a15c3a600211f31eeed415518d8f806200157001480561609729415093
Notes KISTI1.1003/JNL.JAKO201707153702001
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707153702001&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8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2145552
kisti_ndsl_JAKO201707153702001
earticle_primary_31586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711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7-11-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11
  year: 2017
  text: 201711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PublicationTitleAlternate 문화기술의 융합
PublicationYear 2017
Publisher 국제문화기술진흥원
Publisher_xml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SSID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core 1.6395869
Snippet 행동경제학은(Behavior Economics)은 인간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한다고 가정하는 전통경제학을 부정하고, 경제학에 심리학 기반의 인지적 원리를 적용하여 개인의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하기 위해 발전해 왔 다. 개인은 의사결정에 있어서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보와...
Behavior Economics, a branch of social sciences, which seeks to find the answers about why man sometimes does absurd economy-related things, came into...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35
SubjectTerms 과학기술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속담에 나타난 휴리스틱과 편향 Ⅲ. 수수께끼에 나타난 휴리스틱과 편향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Title 편향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속담과 수수께끼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315863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707153702001&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89330
Volume 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문화기술의 융합, 2017, 3(4), , pp.35-42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xNBFB_aetCL-G38KIs4oISN2d2Z3Rk8ZZOVmlo9WKG3ZT-lRJKSpgc9iIKIIEovag8VvHj01AoF-xelyf_ge7ObzdIW_ICweZl588jMG968mX3ze4TcFCw1Ii5iPY0jrjMLdBGGGAIFe4kgciwWGnjBeemhvfCEtVf4yszsyVLU0sYgrEUvjr1X8j9ahTLQK96S_QfNFkKhAGjQLzxBw_D8Kx1Tr0WFR12BhLRpg1OvSSXQokq9BnUZBjJAUQPDGVSdkxOCUdkEJpe6FgioKgkcylQ7Thutsijgt6loIbtwUSwyQbtmVieAq0RAnasI4DZonjv7qAOMLq8Keu9ngKAwDzMckKQ6KA781ZFFu9ksYrmVeKn6BYRJ3VbenSmwZIkl6zrHvyI9Kou43TyJ9OJzsHX646S3dqiinfSg4kGQlE9FYKXN0RgnxhM8EabXrQwWvpaUy7IsLxPrb5UmOStZ8gxEJfcJMgCwI6uNA-YSM2nDIGCQoFOzaqw2aVhG9j604hZxkO3G4iNsCH4et5w6xrfNkhOm46iIg6WX3sQ0mnj4x6cvxE2LIfajMf2tkrcWppUxh3E5Nd3g1Du2VMlIi5HJ3_FjJ-4c7gK6Zvm0hl0bbmVWwfnq9tOS87V8hpzOJ43WyHjPkplO7xypZFfLtXx5Wtdu5Rjqt8-Tu-OPe-PP30dft7Th7qvRt83Rl83Rm23tYGdPG3_aHv78gVWjtx8O3u8Od_a10bst-Ax_bR283r9Alu95y80FPc8ToifCMXUZm_WYy8DgkRXga2bDSC0jAeePKbzBWKSibuPYYi4H2P7jptlG2CoJDHVpXSRz3V43uUy0NAgCaQqROBIWt4CHPAnjiPE0ENJJpFMhlybD4q9laDC-ZXBhWxUyr0bJ78brz_xj9FohN2D4_E606iOiO34_7fmdvg_71vu-yhfAzSt_knKVnJrO9mtkbtDfSK6DVzwI59V8-Q215pmA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8E%B8%ED%96%A5%EC%9D%98+%EA%B4%80%EC%A0%90%EC%97%90%EC%84%9C+%EB%B3%B8+%ED%95%9C%EA%B5%AD%EC%9D%98+%EC%86%8D%EB%8B%B4%EA%B3%BC+%EC%88%98%EC%88%98%EA%BB%98%EB%81%BC&rft.jtitle=Journal+of+the+convergence+on+culture+technology+%3A+JCCT&rft.au=%EA%B9%80%EA%B2%BD%EC%84%AD&rft.au=%EA%B9%80%EC%A0%95%EB%9E%98&rft.au=Kim%2C+Kyung-Seop&rft.au=Kim%2C+Jeong-Lae&rft.date=2017-11-30&rft.issn=2384-0358&rft.eissn=2384-0366&rft.volume=3&rft.issue=4&rft.spage=35&rft.epage=42&rft_id=info:doi/10.17703%2FJCCT.2017.3.4.35&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170715370200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