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교육이 대학생의 이타적 가치, 결과지각 및 책임귀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대학생에 대한 환경교육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친환 경 행동의 대표적인 연구 모형 중 하나인 규범 활성화 이론(Norm Activation Model)을 활용하였다. 또한, 환경교육방법으로는 학습효과가 뛰어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환경에 대한 흥 미 및 교육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환경 관련 강의와 함께 총 7편의 환경영화를 활용한 환경교육 방법을 활용하였다. 총 209명의 대상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 환경교육 을 한 후 환경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Pretes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양교육연구 Vol. 13; no. 2; pp. 241 - 258
Main Authors 황윤성(Hwang, Youn Sung), 조성진(Joh, Seong-Jh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양교육학회 30.04.2019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에 대한 환경교육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친환 경 행동의 대표적인 연구 모형 중 하나인 규범 활성화 이론(Norm Activation Model)을 활용하였다. 또한, 환경교육방법으로는 학습효과가 뛰어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환경에 대한 흥 미 및 교육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환경 관련 강의와 함께 총 7편의 환경영화를 활용한 환경교육 방법을 활용하였다. 총 209명의 대상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 환경교육 을 한 후 환경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에 기초하여 실험 설계하였다. 실험설계는 사전검사로 이타적 가치, 결과지각 및 책 임귀속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을 진행한 후 환경교육을 한 뒤에 사후검사를 하는 것이다. 사 후검사에 사용된 설문지는 사전검사에 사용한 것과 같은 것을 반복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 르면 환경교육은 이타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결과지각, 책임귀속 수준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비록, 청소년기에 친환경에 대 한 가치관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대학에서 지속적인 환경교육을 하면 친환경적인 행동을 형성시 킬 수 있음을 입증했다는 점과 기존 환경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가 주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 행된 데 비해,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환경교육의 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 를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대학생을 위한 환경교육의 필요성과 연구의 한계점 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empirical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university. As an environmental education metho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ethod using 7 environmental movies by the multimedia with excellent learning effect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rest and educational commitment of the learners was utilized. A total of 209 subjec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 was designed based on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o grasp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after conducting environmental education to the experiment grou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had no effect on altruism bu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awareness of consequence, the ascription of responsibility, the personal norms, and the pro-environmental behavior. This study proved that the sustainable environmental education could form pro-environmental behavior, even though the environmental sense of values had not been formed in adolescence, and furthermore, the earlier researches had been mainly focused on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adolescent. KCI Citation Count: 2
AbstractList 본 연구는 대학생에 대한 환경교육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친환 경 행동의 대표적인 연구 모형 중 하나인 규범 활성화 이론(Norm Activation Model)을 활용하였다. 또한, 환경교육방법으로는 학습효과가 뛰어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환경에 대한 흥 미 및 교육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환경 관련 강의와 함께 총 7편의 환경영화를 활용한 환경교육 방법을 활용하였다. 총 209명의 대상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 환경교육 을 한 후 환경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에 기초하여 실험 설계하였다. 실험설계는 사전검사로 이타적 가치, 결과지각 및 책 임귀속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을 진행한 후 환경교육을 한 뒤에 사후검사를 하는 것이다. 사 후검사에 사용된 설문지는 사전검사에 사용한 것과 같은 것을 반복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 르면 환경교육은 이타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결과지각, 책임귀속 수준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비록, 청소년기에 친환경에 대 한 가치관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대학에서 지속적인 환경교육을 하면 친환경적인 행동을 형성시 킬 수 있음을 입증했다는 점과 기존 환경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가 주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 행된 데 비해,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환경교육의 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 를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대학생을 위한 환경교육의 필요성과 연구의 한계점 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empirical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university. As an environmental education metho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ethod using 7 environmental movies by the multimedia with excellent learning effect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rest and educational commitment of the learners was utilized. A total of 209 subjec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 was designed based on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o grasp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after conducting environmental education to the experiment grou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had no effect on altruism bu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awareness of consequence, the ascription of responsibility, the personal norms, and the pro-environmental behavior. This study proved that the sustainable environmental education could form pro-environmental behavior, even though the environmental sense of values had not been formed in adolescence, and furthermore, the earlier researches had been mainly focused on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adolescent. KCI Citation Count: 2
Author 황윤성(Hwang, Youn Sung)
조성진(Joh, Seong-Jhin)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황윤성(Hwang, Youn Sung)
– sequence: 2
  fullname: 조성진(Joh, Seong-Jhi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6121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D1Lw0AAQA9RsNb-h1scBAN3l9xdOpbiR6EgSPeQpDkpkQRbF7eUqoModlCbQis6iItgrC0q6B-6XP6D0To9eDzeClgMwsBbAAXCsaFhjPAiKOAyZ5pOMFkGpU6n5SBksDI3KS6Aw2wYy8m3nPXV6EGNpzC9iLKboeqN1TiGuch6kbrvQplE6jPegHKSyLcv9RTJpAvT5Aqq11N1dyLfI3V2qQZ9mL585GF6fg1V3M1uH3-dnObPEVSDRM6eV8GSsA86XumfRdDY2mxUd7T67natWqlrnsmJxhFlSHiElg2XOVyIJrFdUzQxE9TFts5J03A40l3KdYQFcoWDbcNkjJim0IWtF8H6fBu0heW7LSu0W3_cDy2_bVX2GjWLEsQMk-Tt2rz1j0MntJww9F0vOPLaloEwQoQzhig19B-6voiU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ACYCR
DatabaseName Kyobo Scholar Journals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 Altruistic Value, Awareness of Consequences and Ascription of Responsi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EISSN 2714-1101
EndPage 25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5206482
4010027660554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M~E
P5Y
SSSTE
ACYCR
ID FETCH-LOGICAL-e872-70560fe2594c6b7ffd2ac8fd16f5c1a372d4b703c57301f0cfb1a4866288f3fa3
ISSN 1976-3212
IngestDate Tue Nov 21 21:45:31 EST 2023
Tue Feb 18 15:08:41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Keywords Altruistic Value
책임귀속
pro-environmental behavior
environmental education
친환경 행동
이타적 가치
Ascription of Responsibility
환경교육
Awareness of Consequence
결과지각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2-70560fe2594c6b7ffd2ac8fd16f5c1a372d4b703c57301f0cfb1a4866288f3fa3
PageCount 18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5206482
kyobo_bookcenter_401002766055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9-04-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9-04-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19
  text: 2019-04-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교양교육연구
PublicationYear 2019
Publisher 한국교양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Publisher_xml – name: 한국교양교육학회
– name: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SID ssib004697851
ssib009345133
ssib044738157
Score 1.6867932
Snippet 본 연구는 대학생에 대한 환경교육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친환 경 행동의 대표적인 연구 모형 중 하나인 규범 활성화 이론(Norm Activation Model)을 활용하였다. 또한, 환경교육방법으로는 학습효과가 뛰어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환경에...
SourceID nrf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241
SubjectTerms 학제간연구
TableOfContent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고찰 3. 연구방법 및 절차 4. 연구결과 및 해석 5. 결론 및 논의
Title 환경교육이 대학생의 이타적 가치, 결과지각 및 책임귀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2766055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61216
Volume 1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교양교육연구, 2019, 13(2), 48, pp.241-25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NLQ9eRFFxfpRgjinNZKPSTJzTHZTaqFerNBbyNdUXdjg0iJ6kC1VD6JY8KNbaEUP4kVwrS0q6B_KZv-DbybZ3fiF1UsymXnvzbx58_HezOSNJJ3HQZBgMyFKbAamgq0oVGgMHY8FVI-Yxiwz4obiwmVr7iqeXzKXJiafVk4tra6EF6M7v_2v5H-kCnEgV_6X7D9IdkQUIiAM8oUnSBieB5Ix8hqIUkQJ8hzk6shtiICJqIq8OqJ15Ggi0EAuriHPRaTOjzZwNJNjQhoxeHIBREltBM6BII0ISo4KGmdNEFfLKFfkCwIa5q2KgIHcusCwBVyBoIm8eWhWZOBqiJgiJw8RLKDskiyxECmKYwMXAs-ZRS4ZZ8m5cBDFRVEJUBf8WMgxq3gO52HMa71WJpblNFHpdPLGsCqrFWchqv2hKn-lAM21FIRDh7BY8II5pzqZu1UuyvOhFYZq_kHHqIK0q44xyurDgDqfimWvK0naWlbmr4lVnOpCjVbdc-Jda8TvsIyNg3E2ahEQcKCZVCYrUCUVQ9d-nM2MSq_Vq1NT4WCs1HL0wmH-T77Gwdjm6xQW2LgmnpQmDY1fR7Fw16tshFO7upFMDTy8IYh_Y2yDCij8645KB2Zf83YapqC9tdqsor0tHpEOl2aX7BR96Kg00UyPSTcHW91s91u2v5Fvv8539uT-o87g-Va-vpPvdGWIGKx38ldrctbr5F-6F-Rst5d9_Jq_7WS9NbnfeyLnH-7nL-9lnzr5g8f55obcf_8ZAPsPn8l5d23w4g2Py_aA5racb_ay_XfHpcVZb7E-p5RXkCgJscH0BPNAZYluUhxZoc1YrAcRYbFmMRjDAsPWYxzCnBmZfKJkasRCLcDE4nd4M4MFxglpqpW2kpOSHGAcW9wdpo65T04VzBKVMZWRGMeJkZBpaUbUks-Na34wO2n7P4hjWjoH1ec3o-s-dwnP38up32z7YPhe8k0dbAuin_obldPSoXHbPCNNrbRXk7OgVq-EM0LQ3wF01aqS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9%98%EA%B2%BD%EA%B5%90%EC%9C%A1%EC%9D%B4+%EB%8C%80%ED%95%99%EC%83%9D%EC%9D%98+%EC%9D%B4%ED%83%80%EC%A0%81+%EA%B0%80%EC%B9%98%2C+%EA%B2%B0%EA%B3%BC%EC%A7%80%EA%B0%81+%EB%B0%8F+%EC%B1%85%EC%9E%84%EA%B7%80%EC%86%8D%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rft.jtitle=%EA%B5%90%EC%96%91%EA%B5%90%EC%9C%A1%EC%97%B0%EA%B5%AC&rft.au=%ED%99%A9%EC%9C%A4%EC%84%B1%28Hwang%2C+Youn+Sung%29&rft.au=%EC%A1%B0%EC%84%B1%EC%A7%84%28Joh%2C+Seong-Jhin%29&rft.date=2019-04-30&rft.pub=%ED%95%9C%EA%B5%AD%EA%B5%90%EC%96%91%EA%B5%90%EC%9C%A1%ED%95%99%ED%9A%8C&rft.issn=1976-3212&rft.volume=13&rft.issue=2&rft.spage=241&rft.epage=258&rft.externalDocID=4010027660554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6-321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6-321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6-321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