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N을 활용한 외국어 수업 사례 연구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자가 학습을 유도하고, 수업에서 다루지 못한 문제들을 해결하며, 교 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 학습도구로서 자기성찰노트(SRN)를 실시 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대한민국에 소재한 K 대학에서 2016 년 1학기와 2학기에 공통 교양영어 영역과 일본어 수업에 SRN을 시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몇 가 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양영어 영역과 일본어 수업에서 학습 시간의 경우는 주당 1-3시간 정도의 학습시간을 투자 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수업 중 이해...
Saved in:
Published in | 교양교육연구 Vol. 12; no. 3; pp. 279 - 30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교양교육학회
30.06.2018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6-3212 2714-1101 |
Cover
Abstract |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자가 학습을 유도하고, 수업에서 다루지 못한 문제들을 해결하며, 교 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 학습도구로서 자기성찰노트(SRN)를 실시 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대한민국에 소재한 K 대학에서 2016 년 1학기와 2학기에 공통 교양영어 영역과 일본어 수업에 SRN을 시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몇 가 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양영어 영역과 일본어 수업에서 학습 시간의 경우는 주당 1-3시간 정도의 학습시간을 투자 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수업 중 이해되지 않는 부분으로는 문법 부분을 들고 있었다. 이 경 우 학습자에게 개별적인 피드백 혹은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 중 보충설명을 실시하여 학생 들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다만 각 교과목의 상황에 따라 세부적인 적용 방식은 수정이 필요 하였으므로 영어의 경우는 1학기에 비해 2학기에는 SRN의 점수 배점을 줄이고 시행 방식도 온 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변경하였으며 일본어의 경우는 영어와는 반대로 2학기에는 SRN의 점수 배점을 늘여서 실시하였다.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진행된 SRN을 통해, 교수자는 학습자 개개인이 자신의 학습을 관찰 하고 점검하며 보다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학 습 현황을 파악하면서 적절한 피드백을 제시하는 등 학습자와의 소통을 통해 상호 보완적인 학 습이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행할 수 있었다. 학습자 또한 SRN을 통해 학습에 대한 동 기를 부여받고 보다 진지한 자세로 수업에 임하였다. 즉 SRN과 같이 자기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 는 학습 도구는 교육의 대상인 학습자들뿐만 아니라 그들을 가르치는 교수자 입장에서도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results of utilizing the self-reflection notes (SRN) in foreign language courses to induce learners’ self-study, to settle problems that are not covered in class, and to facilitate active interactions between an instructor and students. In tandem with this aim, the researchers conducted the SRN in English courses and Japanese courses at K university located in South Korea in the 1st and 2nd semesters of 2016.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In the Academic English classes and the Japanese language classes, students invested an average of 1-3 hours per week in studying for the given course and admitted that the grammatical aspects were the most difficult for them. In this case, the researchers attempted to offer individual feedback to each student or to provide additional explanations to all the students to help them better understand what they had previously learned. Meanwhile, the researchers modified specific applic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each course.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English courses, the score of the SRN was reduced in the second semester, and the mode of the SRN was also changed from online to offline. In the case of the Japanese courses, however, the score of the SRN was increased in the second semester. Through the online and offline SRN, the researchers identified that the students checked their learning process for themselves during the course, tried to enhance their language competence, and were motivated to learn more based on these reflections. The questionnaires about the SRN conducted at the end of each semester show the students’ positive sentiments toward the SRN and contain their suggestions to improve the SRN. Further, a learning tool such as the SRN, which offers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on, can be of significant help not only to the students but also to the instructor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KCI Citation Count: 2 |
---|---|
AbstractList |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자가 학습을 유도하고, 수업에서 다루지 못한 문제들을 해결하며, 교 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 학습도구로서 자기성찰노트(SRN)를 실시 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대한민국에 소재한 K 대학에서 2016 년 1학기와 2학기에 공통 교양영어 영역과 일본어 수업에 SRN을 시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몇 가 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양영어 영역과 일본어 수업에서 학습 시간의 경우는 주당 1-3시간 정도의 학습시간을 투자 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수업 중 이해되지 않는 부분으로는 문법 부분을 들고 있었다. 이 경 우 학습자에게 개별적인 피드백 혹은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 중 보충설명을 실시하여 학생 들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다만 각 교과목의 상황에 따라 세부적인 적용 방식은 수정이 필요 하였으므로 영어의 경우는 1학기에 비해 2학기에는 SRN의 점수 배점을 줄이고 시행 방식도 온 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변경하였으며 일본어의 경우는 영어와는 반대로 2학기에는 SRN의 점수 배점을 늘여서 실시하였다.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진행된 SRN을 통해, 교수자는 학습자 개개인이 자신의 학습을 관찰 하고 점검하며 보다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학 습 현황을 파악하면서 적절한 피드백을 제시하는 등 학습자와의 소통을 통해 상호 보완적인 학 습이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행할 수 있었다. 학습자 또한 SRN을 통해 학습에 대한 동 기를 부여받고 보다 진지한 자세로 수업에 임하였다. 즉 SRN과 같이 자기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 는 학습 도구는 교육의 대상인 학습자들뿐만 아니라 그들을 가르치는 교수자 입장에서도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results of utilizing the self-reflection notes (SRN) in foreign language courses to induce learners’ self-study, to settle problems that are not covered in class, and to facilitate active interactions between an instructor and students. In tandem with this aim, the researchers conducted the SRN in English courses and Japanese courses at K university located in South Korea in the 1st and 2nd semesters of 2016.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In the Academic English classes and the Japanese language classes, students invested an average of 1-3 hours per week in studying for the given course and admitted that the grammatical aspects were the most difficult for them. In this case, the researchers attempted to offer individual feedback to each student or to provide additional explanations to all the students to help them better understand what they had previously learned. Meanwhile, the researchers modified specific applic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each course.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English courses, the score of the SRN was reduced in the second semester, and the mode of the SRN was also changed from online to offline. In the case of the Japanese courses, however, the score of the SRN was increased in the second semester. Through the online and offline SRN, the researchers identified that the students checked their learning process for themselves during the course, tried to enhance their language competence, and were motivated to learn more based on these reflections. The questionnaires about the SRN conducted at the end of each semester show the students’ positive sentiments toward the SRN and contain their suggestions to improve the SRN. Further, a learning tool such as the SRN, which offers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on, can be of significant help not only to the students but also to the instructor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KCI Citation Count: 2 |
Author | 장진영(Jang, Jinyoung) 김령희(Kim, Younghee)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김령희(Kim, Younghee) – sequence: 2 fullname: 장진영(Jang, Jinyoung)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5847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otjk9LwzAcQINMsM59h148eCjm1yRNcxzDP4OhMHsvTZpIqTTQevEmouAX0DmZB4_CBA8O_Ewz-w5W5-ldHo-3jTqVrfQG8kIONADA0EEeCB4FJIRwC_WappAY00jwmIGH9s_GJ-7l1l9NZ-75bfUw8930a7l4d4-fvrt_cpM7393Mv1-vfTf5WC7mO2jTZBeN7v2zi5LDg2RwHIxOj4aD_ijQMYeAC8NCRTjOVCSVynVuWA5a44wwwjmnkmMuSE65jMCEMjOSKgNACAtxe066aG-drWqTlqpIbVb88dymZZ32x8kwpVgIQX7d3bVbXllpU2ltqXR1qevWANzmoghozMgPcNNbnA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Copyright |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
Copyright_xml |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
DBID | P5Y SSSTE ACYCR |
DatabaseName | 교보문고 스콜라 Scholar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ocumentTitleAlternate | A Case Study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the Self-Reflection Notes |
EISSN | 2714-1101 |
EndPage | 302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4099931 4010027661485 |
GroupedDBID | ALMA_UNASSIGNED_HOLDINGS M~E P5Y SSSTE ACYCR |
ID | FETCH-LOGICAL-e871-79f52c370ac6bccdedf5d1ee0a3537774b70793d47b61f2bafb4cf11335202713 |
ISSN | 1976-3212 |
IngestDate | Tue Nov 21 21:07:52 EST 2023 Tue Feb 18 15:08:40 EST 2025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false |
Issue | 3 |
Keywords | 학습법 자기성찰노트(SRN) self-reflection note (SRN) reflexive thinking learning method 학습도구 foreign language education 외국어교육 learning tool 성찰적 사고 교수법 teaching method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871-79f52c370ac6bccdedf5d1ee0a3537774b70793d47b61f2bafb4cf11335202713 |
PageCount | 24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4099931 kyobo_bookcenter_4010027661485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18-06-30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8-06-30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6 year: 2018 text: 2018-06-30 day: 30 |
PublicationDecade | 2010 |
PublicationTitle | 교양교육연구 |
PublicationYear | 2018 |
Publisher | 한국교양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
Publisher_xml | – name: 한국교양교육학회 – name: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
SSID | ssib004697851 ssib009345133 ssib044738157 |
Score | 1.659902 |
Snippet |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자가 학습을 유도하고, 수업에서 다루지 못한 문제들을 해결하며, 교 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 학습도구로서 자기성찰노트(SRN)를 실시 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대한민국에 소재한 K 대학에서 2016 년... |
SourceID | nrf kyobo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StartPage | 279 |
SubjectTerms | 학제간연구 |
TableOfContents |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자기 성찰 노트(Self-Reflection Note) 구성 4. 공통 교양영어 영역 수업에서의 SRN 적용 사례 5. 글로벌 영역(일본어) 수업에서의 SRN 적용 사례 6. 결론 및 제언 |
Title | SRN을 활용한 외국어 수업 사례 연구 |
URI |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2766148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58471 |
Volume | 12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교양교육연구, 2018, 12(3), 43, pp.279-302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Pi9QwFA_jnryIouLquhQxp6GatGmbHDudyirsHnSEvQ1t0ogMTGGYPehhWUTBL6DrynrwKKzgwQW_hF9k7X4HX9LOTNc_MHopmV-mr8l7Ifm99uUFodtCBDJSKnSFn4GDoqXn5koWrlCeVkJpGtlgzM2tcOMxe7AdbHc631tRSzvT_I58_sd9Jf9jVcDArmaX7D9Ydi4UACiDfeEKFobrUjZ-9HALpwkWfcxZF6d9LAQWiYViHAuLBIB0LSRwj-M0xr0Ax32LhLjHbB3nWHALRZgHNeThGET1cEwxJ92mskdmEpI2rW1AQRqxgp5FEiPlNwnGvNQDitt-22trhQnAMM8mpmy60ceLJJFWUorjwBRiaDGzCMf1sSyzlxiUzyLummE310dLC8u0u76rbkeMedKayIFmub7XhGgXFvMiylygO7Q9YddH2TRrv0-8xbo4iwX4Zbk8k5h7JJ8On5TD0WQI7sf9ITN82-zqP-dTM-lu7qatT8jgsLc-wQqfzc7WMb8Zi4A82cy087aDwzR6VuYl8J7xRLd4z-AiutA4LE5cj75LqDMqL6O7MPKqDy-d04PD6v2n0zeHTnXw7eT4c_X2q1O9flftv3KqF0c_Pu451f6Xk-OjK2hwLx0kG25z9IZbgAftRkIHnvQjkskwl1IVSgeKFgXJ_MCPwGPIbWJFxaI8pNrLM50zqSk1G_gIqNm_ilbG5bi4hhzOMpIRrkkGt0nNuJQmgZIWhEit_GwVrds-Do1TaQKSiwmo0SQGjgx15MEqugWdt5r-u8avL_OnG-j8YuytoZXpZKe4CZRymq9bU_0E9VZYcg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SRN%EC%9D%84+%ED%99%9C%EC%9A%A9%ED%95%9C+%EC%99%B8%EA%B5%AD%EC%96%B4+%EC%88%98%EC%97%85+%EC%82%AC%EB%A1%80+%EC%97%B0%EA%B5%AC&rft.jtitle=%EA%B5%90%EC%96%91%EA%B5%90%EC%9C%A1%EC%97%B0%EA%B5%AC%2C+12%283%29&rft.au=%EA%B9%80%EB%A0%B9%ED%9D%AC&rft.au=%EC%9E%A5%EC%A7%84%EC%98%81&rft.date=2018-06-30&rft.pub=%ED%95%9C%EA%B5%AD%EA%B5%90%EC%96%91%EA%B5%90%EC%9C%A1%ED%95%99%ED%9A%8C&rft.issn=1976-3212&rft.eissn=2714-1101&rft.spage=279&rft.epage=302&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4099931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6-3212&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6-3212&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6-3212&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