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사고양식의 관계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사고양식에 나타나는 성차를 분석하고, 일상적 창의성과 사고양식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창의성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공과대학생 452명을 대상으로 최종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공과대학생의 사고양식 역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은 사고양식 중 입법적, 지엽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양교육연구 Vol. 11; no. 2; pp. 413 - 448
Main Authors 윤경미(Yun, Kyung-Mi), 황순희(Hwang, Soonh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양교육학회 30.04.2017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3212
2714-110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사고양식에 나타나는 성차를 분석하고, 일상적 창의성과 사고양식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창의성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공과대학생 452명을 대상으로 최종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공과대학생의 사고양식 역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은 사고양식 중 입법적, 지엽적, 외부적, 자유적, 보수적 양식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적, 외부적, 입법적, 지엽적 양식은 창의성과 정적 관계를, 보수적 양식은 창의성과 부적 관계를 가졌다. 넷째,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은 하위변인에 따라 관련된 사고양식이 다소 다른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 공과대학생의 창의성과 사고양식 간의 관계를 직접 논의한 연구가 없는 상황에서 두 요인 간의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기초로 향후 교육에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ity’ and ‘thinking styles’ of engineering students in Korea, and to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related courses and programs. It has been reported that Korean engineering students lack ‘creativity’ compared to those in other disciplines. However,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both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ity and thinking styles in engineering students,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m in terms of the engineering curriculum.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452 engineering students at P University, and especially their everyday creativity and thinking styles have been evaluated. Our findings show that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everyday creativity of engineering student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inking styles. Male students obtained high scores in legislative, external and hierarchical styles. Whereas female students got high scores in hierarchical, legislative and external styl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of subcategories, too. Everyday creativity has been influenced by legislative, local, external, liberal and conservative styles. These findings could be applied to designing creativity related courses in university as well as to their amelioration. KCI Citation Count: 6
Bibliography:G704-SER000001745.2017.11.2.012
ISSN:1976-3212
2714-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