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스피치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피치 능력이 현대 사회에서 주요한 자질로서 평가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스피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스피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들 스스로가 인지하는 본인의 현재 스피치 능력은 ‘보통(3.18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피치 교육이 본인에게 ‘필요(4점)’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보리치(Borich) 공식과 허쉬코비츠(Hershkowitz)의 임계함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대학생들은 ‘청중과의 상호작용’, ‘청중 참여를 유도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양교육연구 Vol. 7; no. 4; pp. 407 - 448
Main Authors 양소정(Yang, So Jung), 이주헌(Lee, Joo H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양교육학회 31.08.2013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3212
2714-110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피치 능력이 현대 사회에서 주요한 자질로서 평가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스피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스피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들 스스로가 인지하는 본인의 현재 스피치 능력은 ‘보통(3.18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피치 교육이 본인에게 ‘필요(4점)’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보리치(Borich) 공식과 허쉬코비츠(Hershkowitz)의 임계함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대학생들은 ‘청중과의 상호작용’, ‘청중 참여를 유도하는 진행’, ‘적절한 질문과 효과적인 답변’, ‘생동감 있는 어조’, ‘발음의 정확성’, ‘질문에 대한 불안감 관리’, ‘창의성’ 항목에 대한 스피치 교육을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학년별 스피치 교육요구도 순위는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스피치 능력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관련 교육과정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핵심 교육내용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cognition of which the speech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primary qualification, the educational needs of speech to improve the speech competence of Korean students is examined. As its results, it is proved that the current state of speech competence which the students think by themselves is ‘moderate(3.18 points)’ and the necessary state which they think is ‘necessary(4 points)’. Also, by considering comprehensively the critical functions of the Borich formula and Hershcowitz formula, it is verified that the preferential contents of speech education are ‘interaction with audience’, ‘hosting with drawing the audience's participation', ‘appropriate asking and effective answering’, ‘vivid voice’, ‘precision of pronunciation’, ‘mind control of anxiety for questions’, and 'creativity'. Finally, it is resulted that the educational needs for speech are par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rades. Based on those results, to improve the speech competence of the college students, the most important core educational contents which should be considered most preferentially in speech curriculum are positively verified. KCI Citation Count: 8
Bibliography:G704-SER000001745.2013.7.4.004
http://www.kagedu.or.kr
ISSN:1976-3212
2714-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