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학습자의 첨삭논평 수용 양상에 관한 고찰

본고는 첨삭의 과정을 세밀하게 살펴보고, 각 세부과정에서 살펴볼 수 있는 요소들을 제시하여 이와 관련한 첨삭과정의 연구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먼저, 다양한 주체들의 첨삭논평에서는 자기, 동료, 교수자, 독자 등이 첨삭논평의 다양한 주체로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이러한 주체들이 글쓰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첨삭논평을 첨삭의 초점과 방식이라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첨삭논평의 전달 방식에서는 다양한 주체의 첨삭논평이 어떻게 글쓰기 학습자에게 전달되는가도 글쓰기 학습자의 수용 양상에 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양교육연구 Vol. 8; no. 6; pp. 271 - 305
Main Author 박준범(Park, Jun-beo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양교육학회 31.12.2014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3212
2714-1101

Cover

Abstract 본고는 첨삭의 과정을 세밀하게 살펴보고, 각 세부과정에서 살펴볼 수 있는 요소들을 제시하여 이와 관련한 첨삭과정의 연구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먼저, 다양한 주체들의 첨삭논평에서는 자기, 동료, 교수자, 독자 등이 첨삭논평의 다양한 주체로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이러한 주체들이 글쓰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첨삭논평을 첨삭의 초점과 방식이라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첨삭논평의 전달 방식에서는 다양한 주체의 첨삭논평이 어떻게 글쓰기 학습자에게 전달되는가도 글쓰기 학습자의 수용 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전달 방식을 살필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때 구체적인 전달 방식은 전달 매체의 형태와 전달 대상의 형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달 매체의 형태는 온라인 형태와 오프라인 형태, 오프라인 형태는 다시 지면과 대면으로 하위 분류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고, 전달 대상의 형태는 개별 형태, 모둠 형태, 전체 형태로 하위 분류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끝으로, 글쓰기 학습자의 첨삭논평 수용 양상에서는 글쓰기 학습자의 수정 원고에 반영된 수용 양상이 제공된 첨삭논평에 의한 것인지, 스스로 반영한 것인지를 구분하여 각각의 수용 양상에서 나타나는 첨삭논평의 유형과 그 이유를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고, 또한 거절된 첨삭논평에 대해서도 어떠한 첨삭논평의 유형인지, 그리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수용한 첨삭논평이라 하더라도 첨삭논평을 제공한 주체들의 의도와 일치하는지를 살피는 것도 중요한 연구 과제임을 밝혔다.이러한 글쓰기 학습자의 첨삭논평 수용 양상을 연구하는 것은 첨삭의 효용성에 대한 보다 면밀한 연구를 위함이다. 지금까지 첨삭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가 특정한 교수법과 관련이 있었다면, 본 연구는 이들 연구의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성과를 제시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d research method about response of writing student on comments of various subject. Feedback is devised comments of various subjects, communication, response of writing student, revision in detail. First, Comments of various subjects are comments what oneself, peer, teacher, reader provide. These comments materialized focus and mode of response. We need study on type of comments that each subjects provide. Second, Communication is to transmit comments from various subject to writing student. It is divided mode of communications media and communications object. There are On-line media and Off-line media in mode of communications media, and Off-line media is divided paper and interview. And there are individual, group, whole case in mode of communications object. Combination of various communication provide different response result of writing student. So this research is very important theme. Third, Response of writing students is that writing student response or reject comments of various subjects and reflect them on their draft. We should analyze type of comments of various subjects and compare with aspect of response of writing student. KCI Citation Count: 8
AbstractList 본고는 첨삭의 과정을 세밀하게 살펴보고, 각 세부과정에서 살펴볼 수 있는 요소들을 제시하여 이와 관련한 첨삭과정의 연구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먼저, 다양한 주체들의 첨삭논평에서는 자기, 동료, 교수자, 독자 등이 첨삭논평의 다양한 주체로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이러한 주체들이 글쓰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첨삭논평을 첨삭의 초점과 방식이라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첨삭논평의 전달 방식에서는 다양한 주체의 첨삭논평이 어떻게 글쓰기 학습자에게 전달되는가도 글쓰기 학습자의 수용 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전달 방식을 살필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때 구체적인 전달 방식은 전달 매체의 형태와 전달 대상의 형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달 매체의 형태는 온라인 형태와 오프라인 형태, 오프라인 형태는 다시 지면과 대면으로 하위 분류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고, 전달 대상의 형태는 개별 형태, 모둠 형태, 전체 형태로 하위 분류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끝으로, 글쓰기 학습자의 첨삭논평 수용 양상에서는 글쓰기 학습자의 수정 원고에 반영된 수용 양상이 제공된 첨삭논평에 의한 것인지, 스스로 반영한 것인지를 구분하여 각각의 수용 양상에서 나타나는 첨삭논평의 유형과 그 이유를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고, 또한 거절된 첨삭논평에 대해서도 어떠한 첨삭논평의 유형인지, 그리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수용한 첨삭논평이라 하더라도 첨삭논평을 제공한 주체들의 의도와 일치하는지를 살피는 것도 중요한 연구 과제임을 밝혔다.이러한 글쓰기 학습자의 첨삭논평 수용 양상을 연구하는 것은 첨삭의 효용성에 대한 보다 면밀한 연구를 위함이다. 지금까지 첨삭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가 특정한 교수법과 관련이 있었다면, 본 연구는 이들 연구의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성과를 제시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d research method about response of writing student on comments of various subject. Feedback is devised comments of various subjects, communication, response of writing student, revision in detail. First, Comments of various subjects are comments what oneself, peer, teacher, reader provide. These comments materialized focus and mode of response. We need study on type of comments that each subjects provide. Second, Communication is to transmit comments from various subject to writing student. It is divided mode of communications media and communications object. There are On-line media and Off-line media in mode of communications media, and Off-line media is divided paper and interview. And there are individual, group, whole case in mode of communications object. Combination of various communication provide different response result of writing student. So this research is very important theme. Third, Response of writing students is that writing student response or reject comments of various subjects and reflect them on their draft. We should analyze type of comments of various subjects and compare with aspect of response of writing student. KCI Citation Count: 8
Author 박준범(Park, Jun-beom)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박준범(Park, Jun-beom)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54491$$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D1Lw0AYgA-pYK39D1kcHALvXS55L2MtfhQKgnQ_7uJFSiQHrYtbVQR1sSLVKiqOOgjBD-jgL4rX_2BRpwceHp5FUsltbuZIlSHlPqVAK6RKY4z8gFG2QOr9flcD8ChGEdIqWS0nA3dVlJPCm45u3fmnexy6h7Hn3p7d0ev3ydf04sxzp2N39-K560t3fOhuhl75MZiO7r3y_ckVxRKZT9Ve39T_WSOd9bVOc9Nvb220mo22bwSCz1MFKhRBFKggjBMl0DBQIkwSLZTWwjBMU-QIyJkAzhSjM6HTHcMVgxCDGln52-a9VGZJV1rV_eWulVlPNrY7LUlpiDHArF3-a7MDq63U1maJyfdNT3KgAAwjpMBY8AN49Gml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P5Y
SSSTE
ACYCR
DatabaseName 교보문고스콜라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 Study on Response of Writing Student about Comments of Various Subjects
EISSN 2714-1101
EndPage 305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157900
4010027671022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M~E
P5Y
SSSTE
ACYCR
ID FETCH-LOGICAL-e870-4fa0a58363a359ca87e20a85ccb8abb8e27ff74707428042a217ffbfde4a20573
ISSN 1976-3212
IngestDate Tue Nov 21 21:35:10 EST 2023
Tue Feb 18 15:08:00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6
Keywords 다양한 주체들의 첨삭논평
글쓰기 학습자의 첨삭논평 수용 양상
Response
첨삭 과정
Revision
수정
Feedback
Way of Delivering Comments
첨삭논평 전달 방식
첨삭
Response of Writing Student on Comments
Comments of Various Subject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70-4fa0a58363a359ca87e20a85ccb8abb8e27ff74707428042a217ffbfde4a20573
Notes G704-SER000001745.2014.8.6.009
PageCount 35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157900
kyobo_bookcenter_4010027671022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4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4-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4
  text: 2014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교양교육연구
PublicationYear 2014
Publisher 한국교양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Publisher_xml – name: 한국교양교육학회
– name: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SID ssib004697851
ssib009345133
ssib044738157
Score 1.551051
Snippet 본고는 첨삭의 과정을 세밀하게 살펴보고, 각 세부과정에서 살펴볼 수 있는 요소들을 제시하여 이와 관련한 첨삭과정의 연구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먼저, 다양한 주체들의 첨삭논평에서는 자기, 동료, 교수자, 독자 등이 첨삭논평의 다양한 주체로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이러한 주체들이...
SourceID nrf
kyobo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271
SubjectTerms 학제간연구
TableOfContents 들어가는 말 Ⅱ. 첨삭 과정의 개념 Ⅲ. 다양한 주체들의 첨삭논평 Ⅳ. 첨삭논평의 전달 방식 Ⅴ. 글쓰기 학습자의 첨삭논평 수용 양상 Ⅵ. 맺음말
Title 글쓰기 학습자의 첨삭논평 수용 양상에 관한 고찰
URI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2767102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54491
Volume 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교양교육연구, 2014, 8(6), 26, pp.271-305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i9QwNMzuyYsoKq4fSxFzGipt07TJse10WYX1NMLeSvolMjADw-5hPciqCOrFFVldRcWjHoTBD9iDv8fDmPkPvqTtbBWF0UtJX15fX_LS5L3XlxeELrup8FNfHe5i28R0Hasw4SvKTZaLwieZzXip_JAb1731G-61TbrZ6XxvRS1tb6VXstt_3FfyP1IFGMhV7ZL9B8nOiQIAyiBfuIKE4bqQjHEc4JCpYIU4wpzg0KohodXFcQ9zijlXdQygVCPFmFfYUMu6qhQ6OGAaCQo9HIeYURxG6nm2hhnXSIwBun4uwEEF4h7mtq4joI5qiA_Eu5oFVzNVcRBVIIID_WZgMrTaOrGupQ1fFdU2JMJBQ75uIMVBpMYGA_XYa_kyFPOAwnVTg4qHUDWwOuG48W7Y8xyK9Xicc9pQ7y3G07yHe6pfWNSa4UH_MolTx24XGub46sV27VWpZ_LqZJhaKSAWPVowmyCB39bRXzJ2D7Jbyc1RMhgnYJdcTVRKI25ZS2iJ2Go23rgTt_4tgyXf-jfLidscuqPuXdcHrUqnrJ3zDpbUYGeUjkAhGo7LlkLUP4GO15aMEVTD8iTqDEanUDg93JXPJtPDiTHbfykff5Vv9-SbA0N-ei_vffzx4NvsySNDPjyQrz4Y8vlTef-ufLFnTL_szvZfG9PP7-Rkchr11-J-tG7Wx3SYBUz2plsKS1BGPCII5ZlgfuFYgtEsS5lIU1Y4flmC0aqcMAyWCAFGcFmmZV64wlHpOM-g5eFoWJxFBlUbxfOMZZ6fu8wRXOWzzGlKUkIEFFbQqm52ogxQFbxcjBPXUkmEfU9pys4KugT9oTv_70I4twjSeXTsaDheQMtb4-3iIqifW-mqlt5PXY9o9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8%80%EC%93%B0%EA%B8%B0+%ED%95%99%EC%8A%B5%EC%9E%90%EC%9D%98+%EC%B2%A8%EC%82%AD%EB%85%BC%ED%8F%89+%EC%88%98%EC%9A%A9+%EC%96%91%EC%83%81%EC%97%90+%EA%B4%80%ED%95%9C+%EA%B3%A0%EC%B0%B0&rft.jtitle=%EA%B5%90%EC%96%91%EA%B5%90%EC%9C%A1%EC%97%B0%EA%B5%AC%2C+8%286%29&rft.au=%EB%B0%95%EC%A4%80%EB%B2%94&rft.date=2014-12-31&rft.pub=%ED%95%9C%EA%B5%AD%EA%B5%90%EC%96%91%EA%B5%90%EC%9C%A1%ED%95%99%ED%9A%8C&rft.issn=1976-3212&rft.eissn=2714-1101&rft.spage=271&rft.epage=305&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15790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6-321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6-321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6-321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