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버스를 위한 배터리 자동 교환-충전인프라 배치 최적화 모형개발 및 적용 사례 분석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문제가 심각한 위기로 인식되어지면서 세계 각국에서는 전 산업분야에 걸쳐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국내 에너지 부문 CO2 배출량의 약 20%를 차지하는 수송 분야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전기자동차 보급 확산이 필수적이다. 최근 정부에서 전기자동차 보급 활성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긴 충전시간과 배터리의 가격에 의한 비싼 차량가격, 짧고 불규칙한 운행거리와 부족한 충전인프라 등으로 인하여 향후 전기자동차의 보급 확대는 매우 불투명한 상태이다. 이러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韓國ITS學會 論文誌 Vol. 12; no. 1; pp. 121 - 135
Main Authors 김승지, 김원규, 김병종, 임현섭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ITS학회 28.02.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Table of Contents:
  •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Ⅱ. 문헌고찰 1. Set covering problem의 분석 2. Set covering problem과 관련된 문헌조사 Ⅲ. 전기버스를 위한 배터리 자동교환충전시설 위치 선정 1. 변수 정의 및 분석 대상 설정 2. 일반적인 Set covering model 적용 3. 시설의 용량과 규모를 고려한 Set covering model 적용 4. 교통거점과 시설의 용량 및 규모를 고려한 Set covering model 적용 Ⅳ.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1. 결론 2.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