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노인의 인지 수준과 행동심리증상 간 관계에서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와 행동심리증상의 관계 분석 및 일상생 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노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의 2015년 데이터를 활 용하여 이차자료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2015년 장기요양인정신청자 중 2002~2015년 중 치매 상병코드로 1회 이상 진료를 받고 장기요양인정심사 결과 1~5등급 판정을 받은 자를 선별하였 고, 총 12,363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을 위해 전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 31; no. 3; pp. 61 - 71
Main Authors 정지인, 유은영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작업치료학회 30.09.2023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0134
2671-4450

Cover

Abstract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와 행동심리증상의 관계 분석 및 일상생 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노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의 2015년 데이터를 활 용하여 이차자료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2015년 장기요양인정신청자 중 2002~2015년 중 치매 상병코드로 1회 이상 진료를 받고 장기요양인정심사 결과 1~5등급 판정을 받은 자를 선별하였 고, 총 12,363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을 위해 전체 변수에서 인지기능, 행동심리증상, 일 상생활활동 의존도를 추출하였다. 세 주요변인 간 연관성과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 분석을 위 하여 경로모형을 수립하고 각 경로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및 전체 모형의 총효과를 산출하였다. 결과 : 경로분석 결과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의존도 간 효과값은 .616(p < .0001), 인지기능과 행동심 리증상 간 효과값은 .199(p < .0001),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와 행동심리증상 간 효과값은 .039(p = .0005)으로 세 경로 모두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세 변수의 경로모형 총효과값은 .223(p < .0001)이 었으며, 간접효과값은 .024(p = .0005)으로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부분매개효과가 존재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경로모형을 통해 인지기능과 행동심리증상 간의 관계에서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일상생활활동 의존도는 인지기능의 저하가 행동심리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 로 매개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치매 환자의 행동심리증상 완화를 위해 일상생활활동 기능 증진 프 로그램이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본 연구가 중재의 필요성 및 개발의 근거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List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와 행동심리증상의 관계 분석 및 일상생 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노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의 2015년 데이터를 활 용하여 이차자료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2015년 장기요양인정신청자 중 2002~2015년 중 치매 상병코드로 1회 이상 진료를 받고 장기요양인정심사 결과 1~5등급 판정을 받은 자를 선별하였 고, 총 12,363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을 위해 전체 변수에서 인지기능, 행동심리증상, 일 상생활활동 의존도를 추출하였다. 세 주요변인 간 연관성과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 분석을 위 하여 경로모형을 수립하고 각 경로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및 전체 모형의 총효과를 산출하였다. 결과 : 경로분석 결과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의존도 간 효과값은 .616(p < .0001), 인지기능과 행동심 리증상 간 효과값은 .199(p < .0001),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와 행동심리증상 간 효과값은 .039(p = .0005)으로 세 경로 모두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세 변수의 경로모형 총효과값은 .223(p < .0001)이 었으며, 간접효과값은 .024(p = .0005)으로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부분매개효과가 존재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경로모형을 통해 인지기능과 행동심리증상 간의 관계에서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일상생활활동 의존도는 인지기능의 저하가 행동심리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 로 매개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치매 환자의 행동심리증상 완화를 위해 일상생활활동 기능 증진 프 로그램이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본 연구가 중재의 필요성 및 개발의 근거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와 행동심리증상의 관계 분석 및 일상생 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노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의 2015년 데이터를 활 용하여 이차자료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2015년 장기요양인정신청자 중 2002~2015년 중 치매 상병코드로 1회 이상 진료를 받고 장기요양인정심사 결과 1~5등급 판정을 받은 자를 선별하였 고, 총 12,363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을 위해 전체 변수에서 인지기능, 행동심리증상, 일 상생활활동 의존도를 추출하였다. 세 주요변인 간 연관성과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 분석을 위 하여 경로모형을 수립하고 각 경로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및 전체 모형의 총효과를 산출하였다. 결과 : 경로분석 결과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의존도 간 효과값은 .616(p < .0001), 인지기능과 행동심 리증상 간 효과값은 .199(p < .0001),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와 행동심리증상 간 효과값은 .039(p = .0005)으로 세 경로 모두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세 변수의 경로모형 총효과값은 .223(p < .0001)이 었으며, 간접효과값은 .024(p = .0005)으로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부분매개효과가 존재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경로모형을 통해 인지기능과 행동심리증상 간의 관계에서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일상생활활동 의존도는 인지기능의 저하가 행동심리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 로 매개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치매 환자의 행동심리증상 완화를 위해 일상생활활동 기능 증진 프 로그램이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본 연구가 중재의 필요성 및 개발의 근거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dependence on activity of daily life (ADL), an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in older adult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DL dependence. Methods: A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2015 data from an older adult cohort database (DB) provided by the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ose who received a diagnosis of dementia more than once between 2002 and 2015 and had a grade of 1 to 5 in terms of long-term care service were selected. In addition, a total of 12,363 data were used for analysis. Cognitive function, BPSD, and ADL dependence were extracted. A path model was establish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major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DL dependence, and the direct effects of each path, the total eff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full model were calculated. Results: As a result of a path analysis, the effect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ADL dependence showed a value of .616 (p < .0001), the effect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BPSD was .199 (p < .0001), and the effect between ADL dependence and BPSD was .039 (p = .0005). The total effect of the path model of the three variables was .223 (p < .0001), and the indirect effect was .024 (p = .0005). In addition,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ADL dependence. Conclu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ADL dependence through a path model, the ADL dependence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BPS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program promoting ADL function may be useful for alleviating the BPSD in people with dementia.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the need and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Author 정지인
유은영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정지인
– sequence: 2
  fullname: 유은영
BookMark eNotjc9Kw0AYxBepYK19BQmIx8DuZrPZHKX4Dwpeeg_JZoO1NZGkHnqrNILioZ40lfYglNZDDwV7UOgTJdt3cIuFDwZmft_MPiiFUSh2QBlTC-mEmLAEyghjqkNkkD1QTZKmBw1iIstGrAxi-ZsVs4lWPP7IsbpM28isp8mnTE56-fdKW789F4OhfJkX07mcjmX_QcsXqZYvVZrK91eZjtTTSvmyP14PR-oUr6xMfi6LQbopVRP5YrT--FKFB2A3cNuJqG61Ahpnp43ahV6_Or-sndR1wRDRGQs8jiGkPve5y5hNmWn7hm1zCAPMmU8Rdk2IcEAJR5D4PuSMImp7HvMRRUYFHP3XtqJYuAm_jtpu7NxE93GoVh2CqUGwoo63VDfyIseLohYXYUfEDoGmWrcsihgmijv854Qbd5q8LZy7uHnrxl2HGFTlxh88fpKY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M1Z
P5Y
SSSTE
KROLR
DatabaseName e-articles
Kyobo Scholar Journals
Scholar(스콜라)
Korea Scholar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The Mediating Effect of Activity of Daily Life Depend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Cognition an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EISSN 2671-4450
EndPage 71
ExternalDocumentID 426342
4050067761824
436243
GroupedDBID M1Z
M~E
P5Y
SSSTE
KROLR
ID FETCH-LOGICAL-e814-88fbc2006dcdca8896859d399c00f2c8d612a5012f64c104dd0c86169bb8d1613
ISSN 1226-0134
IngestDate Sat Oct 14 04:10:26 EDT 2023
Tue Feb 18 15:19:53 EST 2025
Fri Oct 13 06:52:26 EDT 2023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3
Keywords 건강보험공단
치매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행동심리증상
Activity of daily life
일상생활활동
Cognition
매개효과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Dementia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14-88fbc2006dcdca8896859d399c00f2c8d612a5012f64c104dd0c86169bb8d1613
PageCount 11
ParticipantIDs koreascholar_journals_426342
kyobo_bookcenter_4050067761824
earticle_primary_43624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30930
2023-09-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3-09-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9
  year: 2023
  text: 202309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대한작업치료학회지
PublicationYear 2023
Publisher 대한작업치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Publisher_xml – name: 대한작업치료학회
– name: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SSID ssib034517918
ssib004697717
ssib039546186
ssib023738689
ssib044750984
Score 1.8450395
Snippet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와 행동심리증상의 관계 분석 및 일상생 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노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의 2015년 데이터를 활 용하여 이차자료분석을...
SourceID koreascholar
kyobo
earticle
SourceType Aggregation Database
Publisher
StartPage 61
TableOfContents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분석자료 및 선정기준 2. 주요 변수 3. 통계분석 Ⅲ. 연구 결과 1. 분석자료의 선별 2. 분석자료의 일반적 특성 및 주요 변수의특성 3.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4. 주요 변수 간 경로분석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서론 Ⅱ. 연구 방법 1. 분석자료 및 선정기준 2. 주요 변수 3. 통계분석 Ⅲ. 연구 결과 1. 분석자료의 선별 2. 분석자료의 일반적 특성 및 주요 변수의특성 3.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4. 주요 변수 간 경로분석 Ⅳ. 고찰 Ⅴ. 결론
서 론 Ⅱ. 연구 방법 1. 분석자료 및 선정기준 2. 주요 변수 3. 통계분석 Ⅲ. 연구 결과 1. 분석자료의 선별 2. 분석자료의 일반적 특성 및 주요 변수의특성 3.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4. 주요 변수 간 경로분석 Ⅳ. 고 찰 Ⅴ. 결 론
Title 치매 노인의 인지 수준과 행동심리증상 간 관계에서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36243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50067761824
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6342
Volume 3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B-6PXkRxa9qLTk4F5dIkpkkM8dsuqUI9bRCb0s-QQpdWduDHqTSFRQP9aRb6R6E0nrooWAPCv2LdtP_wfcms9kUFFQI2bdvXn7zMm_I_GYymSHkgccS247jzMxTGUEHhUtTOpE0obXxoxxHPiIcGlh74q0-5Y_X3fW5xsParKXtrfhR8uq335X8T1RBB3HFr2T_IbIVKChAhvjCGSIM57-KMW2HtCWpFLTdooFPA95ESbi0JTBNLs8EKZqXVGAuLKUSQiGAiuO8h3ZAW4y2QkiDqzwqpMJcoVIqa8gpVPl5SghRAFRMYsBLmwrAooKXUg1TcOWBT6WlzDmVYeVUWCFoATGXMVMZ1gTtSbO6K-WBjfmUaToTfcO6WLRPGimggahus87OFUSoHAYzV9kDVptKW3sORXupzBnaa2OpwUVYle-0OiuFhVbTlCoWdROprMoUbSJoudfMdGTGYdNpJFVjAtTWBIrN662NbvOe1QcjVNNRrkmvSYhvz9rnatYkB7LBWYM0mI1P9LXX7dr7aeDxs46qg-tVebN9BBjHldhmLIRJl-NGCdP_uOqjJdX23JXTyM50zQZSttHDbyTK8Rbox2287MV1Ita5Rq7qHpQRlBddJ3MbvRukX_wcTo4PjcnbH8UIjqGBP8c7RvFuWBzujL-fGxef3k_29osPJ5Ojk-JoVOy-McanA2N8BqmD4vPHYnAAF52DvtgdXewfwAH2oBoWX88mewMEhSzGpwcXX74B4E3SWWl3wlVTbydiZsLmphB5nOAAWpqkSSSE9IQrU-DniWXlTiJS4PqRC0-n3OOJbfE0tRLh2Z6MY5FCv4jdIvObvc3sDjESgdMbMteRacSzJIsZy5iTs4jbvvD8fIHcnhZd93m5aEy3DN4CWayXZFc_TF50cd8E7iyQJVWyXexh4-zsrN-FHhVSSh_i5fC7f0S-R67M6uAimd_qb2f3gS9vxUuqqvwCExmkh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B9%98%EB%A7%A4+%EB%85%B8%EC%9D%B8%EC%9D%98+%EC%9D%B8%EC%A7%80+%EC%88%98%EC%A4%80%EA%B3%BC+%ED%96%89%EB%8F%99%EC%8B%AC%EB%A6%AC%EC%A6%9D%EC%83%81+%EA%B0%84+%EA%B4%80%EA%B3%84%EC%97%90%EC%84%9C+%EC%9D%BC%EC%83%81%EC%83%9D%ED%99%9C%ED%99%9C%EB%8F%99+%EC%9D%98%EC%A1%B4%EB%8F%84%EC%9D%98+%EB%A7%A4%EA%B0%9C%ED%9A%A8%EA%B3%BC&rft.jtitle=%EB%8C%80%ED%95%9C%EC%9E%91%EC%97%85%EC%B9%98%EB%A3%8C%ED%95%99%ED%9A%8C%EC%A7%80&rft.au=%EC%A0%95%EC%A7%80%EC%9D%B8&rft.au=%EC%9C%A0%EC%9D%80%EC%98%81&rft.date=2023-09-30&rft.issn=1226-0134&rft.volume=31&rft.issue=3&rft.spage=61&rft.epage=71&rft.externalDocID=43624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013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013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013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