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기록물의 생산 및 처리과정과 보존

이 연구는 조선시대의 기록물 관리에 대한 그 사상적 배경과 문서관리 의식 및 관련된 제도 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본 논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조선시대의 법규정, 제도 등 기본적인 분석요소들은 조선왕조실록, 법전류, 중기류, 각종 고문서 등의 문헌들을 조사하여 즉 사료에 의한 관련 항목들을 분석하였다. 중국의 법률을 적용한 대명률직해와 경국대전 등 각종 법전에서 보이는 공문서의 다양한 작성 서식, 이첩(移牒) 유형, 보존방법 및 보존기간 등의 규정을 알 수 있었다.둘째, 전통시대의 기록물의 수집 및 처리과정은 정확하게...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서지학연구, 0(37) pp. 287 - 323
Main Author 이한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서지학회 30.09.200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246
2671-8758
DOI10.17258/jib.2007..37.287

Cover

Abstract 이 연구는 조선시대의 기록물 관리에 대한 그 사상적 배경과 문서관리 의식 및 관련된 제도 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본 논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조선시대의 법규정, 제도 등 기본적인 분석요소들은 조선왕조실록, 법전류, 중기류, 각종 고문서 등의 문헌들을 조사하여 즉 사료에 의한 관련 항목들을 분석하였다. 중국의 법률을 적용한 대명률직해와 경국대전 등 각종 법전에서 보이는 공문서의 다양한 작성 서식, 이첩(移牒) 유형, 보존방법 및 보존기간 등의 규정을 알 수 있었다.둘째, 전통시대의 기록물의 수집 및 처리과정은 정확하게 실제적인 모습을 알 수는 없으나 예전의 법 규정에 나와 있는 규정들과 현전(現傳)하는 고문서 등에 의하여 기록물의 수집 및 처리과정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기록물의 수집 및 처리과정도 전통시대의 경우 오늘날과 유사한 처리과정을 가지고 있다. 의정부나 가각고 등과 같은 기관에서 기록물의 수집, 처리, 이관, 보관 등으로 현대의 기록물 수집, 처리과정과 비슷한 처리과정을 보여주었다.셋째, 조선시대의 기록물 보관보존의 경우 현대의 기록물보존소와 유사한 가각고가 있었으며, 사고(史庫)를 비롯한 문서고, 호적고 등과 같은 기관들을 중앙에는 물론 지방에 까지 보유하고 있어서 각종 기록물을 생산하고, 관리 보존하여 영구히 후세에 전하려던 노력을 사료와 기록에서 확인하였다. 또 실록이나 각종 문서에서 보존을 위하여 고안되거나 시행된 여러 방안들과 제도를 찾아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houghts on records manage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ves management system in the Joseon Period.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1, Such essential elements as laws and regulations of the Joseon(朝鮮) Period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various codes of laws(法典類), Joong-Gi(重記) that is traditional government records and ancient manuscripts(古文書). By investigating DaeMyungRyul- JikHae(大明律直解) and KyungKookDaeJeon(經國大典) we could learn about the various rules of the forms, communications among government offices, and the period and method of keeping official documents in the Joseon period.2. It is not known exactly how to collect and process records in the old days. The analysis of codes of laws and rules and the existing documents, however, enables us to presume the rough outline of those processes. The methods and processes of records management of such institutions as UeiJeongboo(議政府) or Gaggakgo(架閣庫) in the old days are similar to how to collect, manage, communicate, and preserve records in the present time. 3.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Gagakgo(架閣庫), Sago(史庫), Moonseogo(文書庫), and Hojeokgo(戶籍庫) which are similar to modern archives, and whose primary functions are to create, manage, preserve and transfer records to the future generations. Since there was no central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records were managed by separate local institutions, and therefore, not properly managed.Sillok(實錄) and various other historical records document the methods and systems of preserving records. For instance, when Moonseogo(文書庫) was destroyed by fire, it was relocated to an isolated area, and people were prohibited from living in its neighborhood. KCI Citation Count: 6
AbstractList 이 연구는 조선시대의 기록물 관리에 대한 그 사상적 배경과 문서관리 의식 및 관련된 제도 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본 논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조선시대의 법규정, 제도 등 기본적인 분석요소들은 조선왕조실록, 법전류, 중기류, 각종 고문서 등의 문헌들을 조사하여 즉 사료에 의한 관련 항목들을 분석하였다. 중국의 법률을 적용한 대명률직해와 경국대전 등 각종 법전에서 보이는 공문서의 다양한 작성 서식, 이첩(移牒) 유형, 보존방법 및 보존기간 등의 규정을 알 수 있었다.둘째, 전통시대의 기록물의 수집 및 처리과정은 정확하게 실제적인 모습을 알 수는 없으나 예전의 법 규정에 나와 있는 규정들과 현전(現傳)하는 고문서 등에 의하여 기록물의 수집 및 처리과정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기록물의 수집 및 처리과정도 전통시대의 경우 오늘날과 유사한 처리과정을 가지고 있다. 의정부나 가각고 등과 같은 기관에서 기록물의 수집, 처리, 이관, 보관 등으로 현대의 기록물 수집, 처리과정과 비슷한 처리과정을 보여주었다.셋째, 조선시대의 기록물 보관보존의 경우 현대의 기록물보존소와 유사한 가각고가 있었으며, 사고(史庫)를 비롯한 문서고, 호적고 등과 같은 기관들을 중앙에는 물론 지방에 까지 보유하고 있어서 각종 기록물을 생산하고, 관리 보존하여 영구히 후세에 전하려던 노력을 사료와 기록에서 확인하였다. 또 실록이나 각종 문서에서 보존을 위하여 고안되거나 시행된 여러 방안들과 제도를 찾아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houghts on records manage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ves management system in the Joseon Period.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1, Such essential elements as laws and regulations of the Joseon(朝鮮) Period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various codes of laws(法典類), Joong-Gi(重記) that is traditional government records and ancient manuscripts(古文書). By investigating DaeMyungRyul- JikHae(大明律直解) and KyungKookDaeJeon(經國大典) we could learn about the various rules of the forms, communications among government offices, and the period and method of keeping official documents in the Joseon period.2. It is not known exactly how to collect and process records in the old days. The analysis of codes of laws and rules and the existing documents, however, enables us to presume the rough outline of those processes. The methods and processes of records management of such institutions as UeiJeongboo(議政府) or Gaggakgo(架閣庫) in the old days are similar to how to collect, manage, communicate, and preserve records in the present time. 3.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Gagakgo(架閣庫), Sago(史庫), Moonseogo(文書庫), and Hojeokgo(戶籍庫) which are similar to modern archives, and whose primary functions are to create, manage, preserve and transfer records to the future generations. Since there was no central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 records were managed by separate local institutions, and therefore, not properly managed.Sillok(實錄) and various other historical records document the methods and systems of preserving records. For instance, when Moonseogo(文書庫) was destroyed by fire, it was relocated to an isolated area, and people were prohibited from living in its neighborhood. KCI Citation Count: 6
Author 이한희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한희
  organization: (경북대학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7282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zL1Kw0AAwPFDKhhrH8Atq0PifeYuOJXiR6EgSPaQu9xJrCTQvICom4KT0KGBZnHqEGwHhz5R7x5CUZf_b_sfgl5ZlRqAYwRDxDETp3eFDDGEPAwJD7Hge8DDEUeB4Ez0gIcwZgHDNDoAg7ouJIQI0Zhy4YEz13bueeleFvb1wd99dbZt7Grrmrnvnhr32Pm2e_Pd59x-rHbrrVu-_9S3641rN0dg32T3tR782wfJxXkyugom15fj0XASaB6TQCkpoMxoRKARscwVNxQjriNDmaKGYQkZynmsYyQlyYTKKZGGqjjjmVJakj44-duWM5NOVZFWWfHrbZVOZ-nwJhmnCEOBGSHfu_lhYQ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OI 10.17258/jib.2007..37.287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The Creation, Management Process and Preservation of s in the Joseon Period
EISSN 2671-8758
EndPage 323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208253
GroupedDBID ACYCR
ALMA_UNASSIGNED_HOLDINGS
M~E
ID FETCH-LOGICAL-e793-ccb80ba4630f89bdc7f4217e6f45c4f52b051d79e91bb3a8cd43bf4c9a7acceb3
ISSN 1225-5246
IngestDate Thu Jan 02 03:22:13 ES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793-ccb80ba4630f89bdc7f4217e6f45c4f52b051d79e91bb3a8cd43bf4c9a7acceb3
Notes G704-000060.2007..37.002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72828
PageCount 3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20825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070930
PublicationDateYYYYMMDD 2007-09-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9
  year: 2007
  text: 200709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00
PublicationTitle 서지학연구, 0(37)
PublicationYear 2007
Publisher 한국서지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서지학회
SSID ssib001149478
ssib006781272
ssib022229402
ssib044760735
Score 1.383176
Snippet 이 연구는 조선시대의 기록물 관리에 대한 그 사상적 배경과 문서관리 의식 및 관련된 제도 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본 논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조선시대의 법규정, 제도 등 기본적인 분석요소들은 조선왕조실록, 법전류, 중기류, 각종 고문서 등의 문헌들을 조사하여 즉 사료에...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287
SubjectTerms 문헌정보학
Title 조선시대 기록물의 생산 및 처리과정과 보존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7282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서지학연구, 2007, 0(37), , pp.287-323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b9MwNCrjwgWBAAEDFCF8qlIS24ljcWraTANpnIq0W2W7DhqTWqnqLhwQAm4gcULagUrrhdMOFduBw_4OlyU_gmcnbcP40ECVrBfnvZeXPOt9uPaz4zzwY0YE1tTDmA08KpTwpM99L8skyE20EPaMpa2n0eYz-mQ73G40vtdWLe1NZEu9_O2-kv_RKvSBXs0u2X_Q7JIpdAAM-oUWNAztuXSM0g5qByjxDRBT1C6BBPEOShMUA-w3UdpGSWyREoPNuxbooKRjsOGSx01LR-w9ADBgNw0WEMUb9maCAc0SRobW8CQVB3gqD5c9JR1AdCEdrQfAlaS8pGRmoUXaNfScW2mYFRR4heYxoH8fmco5tQmLSmjDvyTsWKCLqiqSiykMtlhvUQ26GnrJvvtXWQBowxesGW2wSZBQV1OZ2vbhiAVg6cuy8AvjXLn20s-Tcp_zLy6E4dDsi3ixI8sCly3CWkvKernuM270p4Ldu2qn_3zU3x33IS153A-wycTJBeciZsyuJth6la6iVshS61XVIH4I8Go7MzZHrtNVlTZKWQSG2SzOXb559X-9kf3hWckhahqOs1rU1LviXK7SHbddjt2rTmN3dM15VMzmxbuD4v3n_MNr9_TbPJ9N88OTYrrvFm-nxZu5m88_usXX_fzL4enRSXHwCVo3PzouZsfXnd5G2utsetUhHp4G0-8pJWNfChoRP4u5HCiWUciCdZTRUNEsxBK8woBxzQMpiTBHaRGZUcUFE0ppSW44a8PRUN90XKqECuCHtVaAIHmogkxQLgUZYM3jW859eE_76f-sgtvnQVp3Lq2G6R1nbTLe03ch9pzIe1ZzPwBKAGmS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1%B0%EC%84%A0%EC%8B%9C%EB%8C%80+%EA%B8%B0%EB%A1%9D%EB%AC%BC%EC%9D%98+%EC%83%9D%EC%82%B0+%EB%B0%8F+%EC%B2%98%EB%A6%AC%EA%B3%BC%EC%A0%95%EA%B3%BC+%EB%B3%B4%EC%A1%B4&rft.jtitle=%EC%84%9C%EC%A7%80%ED%95%99%EC%97%B0%EA%B5%AC%2C+0%2837%29&rft.au=%EC%9D%B4%ED%95%9C%ED%9D%AC&rft.date=2007-09-30&rft.pub=%ED%95%9C%EA%B5%AD%EC%84%9C%EC%A7%80%ED%95%99%ED%9A%8C&rft.issn=1225-5246&rft.eissn=2671-8758&rft.spage=287&rft.epage=323&rft_id=info:doi/10.17258%2Fjib.2007..37.28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20825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524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524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524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