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시대의 저널리즘 원칙 - 언론 관련 판결과 인공지능 가이드라인 분석을 중심으로

챗GPT를 필두로 하는 생성형 인공지능의 등장은 저널리즘 관행과 언론 환경에 커다란 변혁을 초래하고 있다. 언론의 주된 업무는 문장과 이미지, 동영상 등 콘텐츠 생성이다. 더욱 빠르고 능숙하게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은 언론 생태계를 뒤흔들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인공지능이 저널리즘 업무 개선에 도움이 되리라는 기대감도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결국 언론이 되짚어보고 의지해야 할 것은 저널리즘 원칙과 언론윤리이다. 저널리즘이 본질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기본으로 돌아가서 언론의 역할과 기능, 한계에 대한 고찰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미디어와 인격권 Vol. 10; no. 2; pp. 1 - 50
Main Author 박아란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언론중재위원회 15.08.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465-9207
2465-9460

Cover

Abstract 챗GPT를 필두로 하는 생성형 인공지능의 등장은 저널리즘 관행과 언론 환경에 커다란 변혁을 초래하고 있다. 언론의 주된 업무는 문장과 이미지, 동영상 등 콘텐츠 생성이다. 더욱 빠르고 능숙하게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은 언론 생태계를 뒤흔들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인공지능이 저널리즘 업무 개선에 도움이 되리라는 기대감도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결국 언론이 되짚어보고 의지해야 할 것은 저널리즘 원칙과 언론윤리이다. 저널리즘이 본질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기본으로 돌아가서 언론의 역할과 기능, 한계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저널리즘 원칙을 되짚어보고, 저널리즘 원칙과 윤리를 구현하는 사법부의 판단을 분석하였다. 언론 관련 국내 판결을 수집하여 살펴본 결과, 저널리즘 원칙에서 강조되는 감시견 기능과 사실 확인 역할은 법원의 언론 관련 판결에서도 중요하게 작동하고 있었다. 즉, 언론의 감시견 기능은 공인에 대한 위법성 조각사유로서 법해석을 통해 강조되고 있었으며, 기자가 사실 확인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을 때 위법성이 조각되어 언론 자유를 보장받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넷 언론 자유에 관한 판결에 비추어볼 때 언론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다고 하여 언론 자유에 대한 보장과 한계가 본질적으로 바뀌지도 않을 것이다. 특히 인공지능 영역에서는 법을 통한 규제뿐만 아니라 자율규제도 중요하다. 입법을 통해 빠른 기술변화를 따라잡기에는 한계가 있기에 유연한 규제로서의 자율규제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자율규제 일환으로 해외에서 발표된 22개의 언론 관련 인공지능 가이드라인과 국내에서 발표된 3개의 언론 인공지능 가이드라인을 수집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언론의 인공지능 가이드라인들은 각각 명칭과 내용, 분량 측면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주요내용으로 (1) 민주주의와 저널리즘 원칙 보호, (2)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범위 제시, (3) 인간의 감독과 사실 확인, (4) 투명성과 라벨링 표시 의무, (5) 타인의 창작물 보호, (6) 공정성과 비편향성, (7) 데이터와 영업비밀 보호 등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언론의 인공지능 준칙과 가이드라인은 그 내용과 제정과정에서 여러 한계도 있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 가이드라인의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인공지능 시대에도 언론이 민주주의 제도의 필수불가결한 요소로서 작동할 것을 강조했다.
AbstractList 챗GPT를 필두로 하는 생성형 인공지능의 등장은 저널리즘 관행과 언론 환경에 커다란 변혁을 초래하고 있다. 언론의 주된 업무는 문장과 이미지, 동영상 등 콘텐츠 생성이다. 더욱 빠르고 능숙하게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은 언론 생태계를 뒤흔들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인공지능이 저널리즘 업무 개선에 도움이 되리라는 기대감도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결국 언론이 되짚어보고 의지해야 할 것은 저널리즘 원칙과 언론윤리이다. 저널리즘이 본질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기본으로 돌아가서 언론의 역할과 기능, 한계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저널리즘 원칙을 되짚어보고, 저널리즘 원칙과 윤리를 구현하는 사법부의 판단을 분석하였다. 언론 관련 국내 판결을 수집하여 살펴본 결과, 저널리즘 원칙에서 강조되는 감시견 기능과 사실 확인 역할은 법원의 언론 관련 판결에서도 중요하게 작동하고 있었다. 즉, 언론의 감시견 기능은 공인에 대한 위법성 조각사유로서 법해석을 통해 강조되고 있었으며, 기자가 사실 확인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을 때 위법성이 조각되어 언론 자유를 보장받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넷 언론 자유에 관한 판결에 비추어볼 때 언론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다고 하여 언론 자유에 대한 보장과 한계가 본질적으로 바뀌지도 않을 것이다. 특히 인공지능 영역에서는 법을 통한 규제뿐만 아니라 자율규제도 중요하다. 입법을 통해 빠른 기술변화를 따라잡기에는 한계가 있기에 유연한 규제로서의 자율규제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자율규제 일환으로 해외에서 발표된 22개의 언론 관련 인공지능 가이드라인과 국내에서 발표된 3개의 언론 인공지능 가이드라인을 수집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언론의 인공지능 가이드라인들은 각각 명칭과 내용, 분량 측면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주요내용으로 (1) 민주주의와 저널리즘 원칙 보호, (2)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범위 제시, (3) 인간의 감독과 사실 확인, (4) 투명성과 라벨링 표시 의무, (5) 타인의 창작물 보호, (6) 공정성과 비편향성, (7) 데이터와 영업비밀 보호 등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언론의 인공지능 준칙과 가이드라인은 그 내용과 제정과정에서 여러 한계도 있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 가이드라인의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인공지능 시대에도 언론이 민주주의 제도의 필수불가결한 요소로서 작동할 것을 강조했다. The ris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epitomized by ChatGPT, is transforming journalism and the media landscape. Generative AI, which can rapidly and skillfully create content such as text, images, and videos, presents both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journalism. Concerns arise over potential disruptions to the journalism ecosystem, while expectations grow that it could enhance journalistic practices. In this evolving landscape, journalistic principles and ethics are paramount for maintaining the integrity of the media. This study revisits these principles and examines judicial decisions that reflect journalistic ethics. Legal interpretations have underscored the press's watchdog role, justifying exceptions to illegality for public figures. When journalists diligently perform fact-checking, press freedom has been upheld. Moreover, court rulings on internet press freedom indicate that the core guarantees and limitations of press freedom remain unchanged despite the media's use of AI technology.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both legal regulation and ethical self-regulation in the AI era. As laws struggle to keep pace with rapid technological advancements, flexible self-regulation becomes increasingly essential.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22 foreign and 3 domestic media AI guidelines. Despite variations in title, content, and scope, the main themes across these guidelines include: (1) protecting democracy and journalistic principles, (2) defining the scope of generative AI applications, (3) ensuring human oversight and fact-checking, (4) maintaining transparency and labeling obligations, (5) safeguarding creative works, (6) promoting fairness and unbiasedness, and (7) protecting data and trade secrets. This study also identifies various issues in the content and implementation of media AI guidelines and proposes improvements. It emphasizes that the press must continue to function as a vital component of the democratic system, even in the AI era.
챗GPT를 필두로 하는 생성형 인공지능의 등장은 저널리즘 관행과 언론 환경에 커다란 변혁을 초래하고 있다. 언론의 주된 업무는 문장과 이미지, 동영상 등 콘텐츠 생성이다. 더욱 빠르고 능숙하게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은 언론 생태계를 뒤흔들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인공지능이 저널리즘 업무 개선에 도움이 되리라는 기대감도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결국 언론이 되짚어보고 의지해야 할 것은 저널리즘 원칙과 언론윤리이다. 저널리즘이 본질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기본으로 돌아가서 언론의 역할과 기능, 한계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저널리즘 원칙을 되짚어보고, 저널리즘 원칙과 윤리를 구현하는 사법부의 판단을 분석하였다. 언론 관련 국내 판결을 수집하여 살펴본 결과, 저널리즘 원칙에서 강조되는 감시견 기능과 사실 확인 역할은 법원의 언론 관련 판결에서도 중요하게 작동하고 있었다. 즉, 언론의 감시견 기능은 공인에 대한 위법성 조각사유로서 법해석을 통해 강조되고 있었으며, 기자가 사실 확인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을 때 위법성이 조각되어 언론 자유를 보장받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넷 언론 자유에 관한 판결에 비추어볼 때 언론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다고 하여 언론 자유에 대한 보장과 한계가 본질적으로 바뀌지도 않을 것이다. 특히 인공지능 영역에서는 법을 통한 규제뿐만 아니라 자율규제도 중요하다. 입법을 통해 빠른 기술변화를 따라잡기에는 한계가 있기에 유연한 규제로서의 자율규제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자율규제 일환으로 해외에서 발표된 22개의 언론 관련 인공지능 가이드라인과 국내에서 발표된 3개의 언론 인공지능 가이드라인을 수집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언론의 인공지능 가이드라인들은 각각 명칭과 내용, 분량 측면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주요내용으로 (1) 민주주의와 저널리즘 원칙 보호, (2)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범위 제시, (3) 인간의 감독과 사실 확인, (4) 투명성과 라벨링 표시 의무, (5) 타인의 창작물 보호, (6) 공정성과 비편향성, (7) 데이터와 영업비밀 보호 등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언론의 인공지능 준칙과 가이드라인은 그 내용과 제정과정에서 여러 한계도 있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 가이드라인의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인공지능 시대에도 언론이 민주주의 제도의 필수불가결한 요소로서 작동할 것을 강조했다.
챗GPT를 필두로 하는 생성형 인공지능의 등장은 저널리즘 관행과 언론 환경에 커다란 변혁을 초래하고 있다. 언론의 주된 업무는 문장과 이미지, 동영상 등 콘텐츠 생성이다. 더욱 빠르고 능숙하게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은 언론 생태계를 뒤흔들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인공지능이 저널리즘 업무 개선에 도움이 되리라는 기대감도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결국 언론이 되짚어보고 의지해야 할 것은 저널리즘 원칙과 언론윤리이다. 저널리즘이 본질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기본으로 돌아가서 언론의 역할과 기능, 한계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저널리즘 원칙을 되짚어보고, 저널리즘 원칙과 윤리를 구현하는 사법부의 판단을 분석하였다. 언론 관련 국내 판결을 수집하여 살펴본 결과, 저널리즘 원칙에서 강조되는 감시견 기능과 사실 확인 역할은 법원의 언론 관련 판결에서도 중요하게 작동하고 있었다. 즉, 언론의 감시견 기능은 공인에 대한 위법성 조각사유로서 법해석을 통해 강조되고 있었으며, 기자가 사실 확인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을 때 위법성이 조각되어 언론 자유를 보장받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넷 언론 자유에 관한 판결에 비추어볼 때 언론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다고 하여 언론 자유에 대한 보장과 한계가 본질적으로 바뀌지도 않을 것이다. 특히 인공지능 영역에서는 법을 통한 규제뿐만 아니라 자율규제도 중요하다. 입법을 통해 빠른 기술변화를 따라잡기에는 한계가 있기에 유연한 규제로서의 자율규제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자율규제 일환으로 해외에서 발표된 22개의 언론 관련 인공지능 가이드라인과 국내에서 발표된 3개의 언론 인공지능 가이드라인을 수집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언론의 인공지능 가이드라인들은 각각 명칭과 내용, 분량 측면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주요내용으로 (1) 민주주의와 저널리즘 원칙 보호, (2)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범위 제시, (3) 인간의 감독과 사실 확인, (4) 투명성과 라벨링 표시 의무, (5) 타인의 창작물 보호, (6) 공정성과 비편향성, (7) 데이터와 영업비밀 보호 등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언론의 인공지능 준칙과 가이드라인은 그 내용과 제정과정에서 여러 한계도 있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 가이드라인의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인공지능 시대에도 언론이 민주주의 제도의 필수불가결한 요소로서 작동할 것을 강조했다. The ris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epitomized by ChatGPT, is transforming journalism and the media landscape. Generative AI, which can rapidly and skillfully create content such as text, images, and videos, presents both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journalism. Concerns arise over potential disruptions to the journalism ecosystem, while expectations grow that it could enhance journalistic practices. In this evolving landscape, journalistic principles and ethics are paramount for maintaining the integrity of the media. This study revisits these principles and examines judicial decisions that reflect journalistic ethics. Legal interpretations have underscored the press's watchdog role, justifying exceptions to illegality for public figures. When journalists diligently perform fact-checking, press freedom has been upheld. Moreover, court rulings on internet press freedom indicate that the core guarantees and limitations of press freedom remain unchanged despite the media's use of AI technology.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both legal regulation and ethical self-regulation in the AI era. As laws struggle to keep pace with rapid technological advancements, flexible self-regulation becomes increasingly essential.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22 foreign and 3 domestic media AI guidelines. Despite variations in title, content, and scope, the main themes across these guidelines include: (1) protecting democracy and journalistic principles, (2) defining the scope of generative AI applications, (3) ensuring human oversight and fact-checking, (4) maintaining transparency and labeling obligations, (5) safeguarding creative works, (6) promoting fairness and unbiasedness, and (7) protecting data and trade secrets. This study also identifies various issues in the content and implementation of media AI guidelines and proposes improvements. It emphasizes that the press must continue to function as a vital component of the democratic system, even in the AI era. KCI Citation Count: 0
Author 박아란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박아란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710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pVjM1Kw0AUhQepYK19AkFmLQRmJjOTZFmKP4WCIN2HJE0ktLaSuNBdFlnZLiqCKCbQglYXXRRbpUKfKDO-g8EqIndx7uH7OJug0Ol23DVQJJQzxaAcFX5_grQNUA5D30aUakzFnBfBhUwX2exNPkfi6gnKXiL6kUzvoBxGIh6I8USO8_IwkB_3UIHydiFGQ5jNIzF8gZ_9QfY6zWZL-G8km-YLc3GTiHSZAyjeYxmnMo2hfLyWvYlMlmKUbIF1z2qHbvknS6Cxv9eoHir1o4NatVJXXE3HCndcZGHLsJntcIRVJz_DsnWdas2mypDNPUp1pHoe0yilNsOGY1OP55VoHiNqCeyuZjuBZ7Yc3-xa_needM1WYFaOGzUTI6ZzQnEub6_klh-G5lngn1rBpUkxxpSxnO6sqGsF577Tdv8MxgnR1S8sIpT7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HZB
Q5X
ACYCR
DatabaseName e-articles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인공지능 시대의 저널리즘 원칙 - 언론 관련 판결과 인공지능 가이드라인 분석을 중심으로
Journalistic Principles in the AI Era - Analyzing Court Decisions and Media Guidelines
EISSN 2465-9460
EndPage 50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586241
4111455
456228
GroupedDBID M1Z
M~E
HZB
Q5X
ACYCR
ID FETCH-LOGICAL-e781-6ce0a1a9b5bc6013c3c39ab8847dd350b6f44803ff57444b519cb4f6f5727f523
ISSN 2465-9207
IngestDate Thu May 01 03:20:35 EDT 2025
Wed Aug 20 02:13:45 EDT 2025
Wed Oct 30 05:09:05 EDT 2024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Keywords AI Guideline
저널리즘 원칙
Generative AI
생성형 인공지능
Watchdog
인공지능 가이드라인
언론 자유
Freedom of the Press
Journalism Principle
감시견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781-6ce0a1a9b5bc6013c3c39ab8847dd350b6f44803ff57444b519cb4f6f5727f523
Notes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7107
PageCount 50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586241
kiss_primary_4111455
earticle_primary_45622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40815
PublicationDateYYYYMMDD 2024-08-15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24
  text: 20240815
  day: 15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미디어와 인격권
PublicationTitleAlternate 미디어와 인격권
PublicationYear 2024
Publisher 언론중재위원회
Publisher_xml – name: 언론중재위원회
SSID ssib044753166
ssib040271881
Score 1.8793529
Snippet 챗GPT를 필두로 하는 생성형 인공지능의 등장은 저널리즘 관행과 언론 환경에 커다란 변혁을 초래하고 있다. 언론의 주된 업무는 문장과 이미지, 동영상 등 콘텐츠 생성이다. 더욱 빠르고 능숙하게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은 언론 생태계를 뒤흔들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SourceID nrf
kiss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
SubjectTerms AI Guideline
Freedom of the Press
Generative AI
Journalism Principle
Watchdog
감시견
생성형 인공지능
신문방송학
언론 자유
인공지능 가이드라인
저널리즘 원칙
TableOfContents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사법부와 저널리즘 원칙의 구현 1. 언론윤리와 저널리즘 원칙 2. 판결에 나타난 언론 역할과 언론 자유의 한계 Ⅲ. 언론과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 Ⅳ. 언론의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가이드라인 1. 해외 생성형 인공지능 관련 가이드라인 2. 국내 생성형 인공지능 관련 원칙과 가이드라인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Title 인공지능 시대의 저널리즘 원칙 - 언론 관련 판결과 인공지능 가이드라인 분석을 중심으로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56228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1145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7107
Volume 1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미디어와 인격권, 2024, 10(2), 21, pp.1-50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B_anryIUj_qFwGd05KSTGYmmWOSbqlCPa3Q27LJJiKFVmoFEZE97Mn2UBFEcRda0Oqhh2KrVNi_aDP-D76ZyX5VkSq7hMl7My_vNy-beW82bwahOz6naZLy3IbBJ7CplwV2wxeunfhek6W8SRxf5Q4v3-dLD-i9FbYyNf1iPLtkM5lPn_8xr-R_rAo0sKvKkv0Hyw6FAgHKYF84goXheCYb42qMxQKOAlwNceThiClK6KvXF6oRDkIcsooiBREWsSbFmqebiUDzQmdQnWKhCyHHYaxZfFBJRJoX40hgISq2IXJ9aWjggpSKVoKWwkBqqJouqEuqpsAjOHIGmsaVMyofqkZDnUE-8IRXwlGUeCiookgRV0AUZqqohhdQAxVIbtkfBiGIieISgojHPXVNXCwBCqq-JWRTEKDUKQwEh0IXuAIN967rgP9OxiZbtIIOFhoqHAMDp4rNPlOD6RdC1XyySUDVP5jfe3sCDggYwjHgS3uBkUPQZfS0J5QzWxCzBfB8NkajZsOFcoRxx1wVs2Tv5CLipwb3iWXEV9NH9Yfr9dWNOgRLd-vgWqv0IHcaTXuuGiOWX1YHz2LqEPBaRjnJal1Iz9V__Q81Vf5bee-DQwPxzhNw0NY28jEHrXYBnS8jKys0VS-iqdX1WfRMdk_6R9_k51bx6pMltzrFdkt231lyt1W0d4r9A7kPJx925I_3lm3JtyfF3q7VP24Vu1-sn9s7_a-H_aOeNSGkfwgSjos3naLbA4ZVfG_Ldld225b8-FpuHchOr9jrXEK1xWotXrLLzUbszA9cm6eZ03AbImHw5IKwKIWPaCQBOG_NpsechOeUBo6X58ynlCYQ-KQJzTmcEj9nxLuMZtbW17KryCIiZ27OIQ5rMvVegVApWMQDx96HaCRL59CVQbfVH5slZepqHoIEc2hW9eKICo4IZWwO3YZe1db7ixWvnanWdXRudBffQDObG0-zm-BWbya3tP1_AbOvsAA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D%B8%EA%B3%B5%EC%A7%80%EB%8A%A5+%EC%8B%9C%EB%8C%80%EC%9D%98+%EC%A0%80%EB%84%90%EB%A6%AC%EC%A6%98+%EC%9B%90%EC%B9%99+-+%EC%96%B8%EB%A1%A0+%EA%B4%80%EB%A0%A8+%ED%8C%90%EA%B2%B0%EA%B3%BC+%EC%9D%B8%EA%B3%B5%EC%A7%80%EB%8A%A5+%EA%B0%80%EC%9D%B4%EB%93%9C%EB%9D%BC%EC%9D%B8+%EB%B6%84%EC%84%9D%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B%AF%B8%EB%94%94%EC%96%B4%EC%99%80+%EC%9D%B8%EA%B2%A9%EA%B6%8C%2C+10%282%29&rft.au=%EB%B0%95%EC%95%84%EB%9E%80&rft.date=2024-08-15&rft.pub=%EC%96%B8%EB%A1%A0%EC%A4%91%EC%9E%AC%EC%9C%84%EC%9B%90%ED%9A%8C&rft.issn=2465-9207&rft.eissn=2465-9460&rft.spage=1&rft.epage=50&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58624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465-9207&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465-9207&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465-9207&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