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스크린-인터페이스에 관한 매체미학적 고찰

연구배경 우리는 스크린이 현실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수단이 된 모바일 스크린 사회에 살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스크린-인터페이스와 재매개적 특성 및 지각방식에서 기존 미디어와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스크린과 프레임의 개념 및 스크린-인터페이스의 개념을 재정의 하고 그 변화과정을 계보학적으로 분석하며 재매개적 관점에서 표상방식과 구성원리에 대해 논의한다. 아울러 이동성과 촉각적 시각성이라는 관점에서 모바일의 지각적 특성을 살펴본다. 연구결과 1)모바일 스크린은 잠재적으로 대상, 경계, 창문-프레임의 기능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디자인포럼 Vol. 51; pp. 29 - 40
Main Authors 윤현철, Hyun-chul Y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1.05.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3-9205
2586-4777
DOI10.21326/ksdt.2016..51.003

Cover

Abstract 연구배경 우리는 스크린이 현실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수단이 된 모바일 스크린 사회에 살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스크린-인터페이스와 재매개적 특성 및 지각방식에서 기존 미디어와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스크린과 프레임의 개념 및 스크린-인터페이스의 개념을 재정의 하고 그 변화과정을 계보학적으로 분석하며 재매개적 관점에서 표상방식과 구성원리에 대해 논의한다. 아울러 이동성과 촉각적 시각성이라는 관점에서 모바일의 지각적 특성을 살펴본다. 연구결과 1)모바일 스크린은 잠재적으로 대상, 경계, 창문-프레임의 기능을 모두 활용하고 있다. 2)스크린-인터페이스는 감성적 인터페이스이며 인간의 지각방식을 결정하는 적극적 매체이다. 또한 3)투명성과 불투명성을 동시에 가지며 인간의 감각을 증강하고 스펙터클한 경험을 제공하는 신체의 확장이다. 4)모바일은 전체 창, 페이지 슬라이딩, 증강현실, VR 파노라마,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등으로 기존 미디어를 확장, 개조, 흡수, 공격, 차용하며 재매개하고 있다. 5)모바일 이용자는 이중적 이동성을 가진 디지털 산보자이며 선택적 몰입을 한다. 6)모바일 스크린-인터페이스는 가상적 이동성으로 원격현전을 구현하며 사교적 풍부성, 사회적 현실감, 내가 아닌 대상이 이곳에 이전하여 함께 있음, 심리적 몰입, 매체 내 사회적 대상과의 교류에 대한 현전감이 높다. 7) 모바일 스크린-인터페이스의 매체 수용방식은 시각보다 몸이 우선하는 촉각적 시각성이다. 결론 대상, 경계, 창문-프레임의 성격을 모두 갖춘 비물질화된 디지털 프레임인 모바일 스크린-인터페이스는 감성적 인터페이스로서 기존 미디어를 다양한 방식으로 차용, 개조하며 재매개하는 신체의 확장이며 투명-불투명을 넘어 숨겨진 상태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잠재적 인터페이스로서의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이중적 이동성을 갖는 가장 작은 스크린으로써 동시편재성, 선택적 몰입, 촉각적 시각성이라는 매체미학적 특성을 갖고 있다. Background We live in mobile screen society. This study is intended to shed lights on mobile screen-interface and remediation properties and analyze difference from conventional media in perception method. Methods The concept of screen, frame and screen-interface is redefined. And the process of their change is genealogically analyzed. And representation type and composition principle is discussed from the remediation perspective. In addition,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mobile are examined from the mobility and tactile visuality. Result 1)Mobile screen is potentially utilizes all functions of window-frame, boundary and object. 2)Screen-interface is emotional interface, and is an active medium determining human perception method. Besides, 3)It is extension of human body, which provides spectacle experience, augments human senses, and has transparency and opacity at the same time. 4)Mobile remediates conventional media by fidelity, refashion, absorb, aggressive, and borrowing through borderless window, page sliding, augmented reality, VR panorama, multimodal interface, etc. 5)A mobile user is digital flaneur and pays a selective attention. 6)Mobile screen-interface implements telepresence by virtual mobility, and is high in the sense of presence regarding interaction with social actor within medium, psychological engagement, It is here and We are together, social realism, and social richness. 7) The media acceptance type of mobileinterface is tactile visuality. Conclusion A mobile screen-interface, dematerializing digital frame with traits such as object, boundary, window-frame, borrows and remodels the conventional media in various ways as well as remediates and expands the body. It has a potentially interface feature using it alteratively with the hidden condition besides beyond transparent-opaque. It is the smallest screen having dual mobility but also has a media aesthetic property such as simultaneous ubiquitousness, selective immersion, tactile visibility.
AbstractList 연구배경 우리는 스크린이 현실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수단이 된 모바일 스크린 사회에 살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스크린-인터페이스와 재매개적 특성 및 지각방식에서 기존 미디어와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스크린과 프레임의 개념 및 스크린-인터페이스의 개념을 재정의 하고 그 변화과정을 계보학적으로 분석하며 재매개적 관점에서 표상방식과 구성원리에 대해 논의한다. 아울러 이동성과 촉각적 시각성이라는 관점에서 모바일의 지각적 특성을 살펴본다. 연구결과 1)모바일 스크린은 잠재적으로 대상, 경계, 창문-프레임의 기능을 모두 활용하고 있다. 2)스크린-인터페이스는 감성적 인터페이스이며 인간의 지각방식을 결정하는 적극적 매체이다. 또한 3)투명성과 불투명성을 동시에 가지며 인간의 감각을 증강하고 스펙터클한 경험을 제공하는 신체의 확장이다. 4)모바일은 전체 창, 페이지 슬라이딩, 증강현실, VR 파노라마,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등으로 기존 미디어를 확장, 개조, 흡수, 공격, 차용하며 재매개하고 있다. 5)모바일 이용자는 이중적 이동성을 가진 디지털 산보자이며 선택적 몰입을 한다. 6)모바일 스크린-인터페이스는 가상적 이동성으로 원격현전을 구현하며 사교적 풍부성, 사회적 현실감, 내가 아닌 대상이 이곳에 이전하여 함께 있음, 심리적 몰입, 매체 내 사회적 대상과의 교류에 대한 현전감이 높다. 7) 모바일 스크린-인터페이스의 매체 수용방식은 시각보다 몸이 우선하는 촉각적 시각성이다. 결론 대상, 경계, 창문-프레임의 성격을 모두 갖춘 비물질화된 디지털 프레임인 모바일 스크린-인터페이스는 감성적 인터페이스로서 기존 미디어를 다양한 방식으로 차용, 개조하며 재매개하는 신체의 확장이며 투명-불투명을 넘어 숨겨진 상태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잠재적 인터페이스로서의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이중적 이동성을 갖는 가장 작은 스크린으로써 동시편재성, 선택적 몰입, 촉각적 시각성이라는 매체미학적 특성을 갖고 있다. Background We live in mobile screen society. This study is intended to shed lights on mobile screen-interface and remediation properties and analyze difference from conventional media in perception method. Methods The concept of screen, frame and screen-interface is redefined. And the process of their change is genealogically analyzed. And representation type and composition principle is discussed from the remediation perspective. In addition,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mobile are examined from the mobility and tactile visuality. Result 1)Mobile screen is potentially utilizes all functions of window-frame, boundary and object. 2)Screen-interface is emotional interface, and is an active medium determining human perception method. Besides, 3)It is extension of human body, which provides spectacle experience, augments human senses, and has transparency and opacity at the same time. 4)Mobile remediates conventional media by fidelity, refashion, absorb, aggressive, and borrowing through borderless window, page sliding, augmented reality, VR panorama, multimodal interface, etc. 5)A mobile user is digital flaneur and pays a selective attention. 6)Mobile screen-interface implements telepresence by virtual mobility, and is high in the sense of presence regarding interaction with social actor within medium, psychological engagement, It is here and We are together, social realism, and social richness. 7) The media acceptance type of mobileinterface is tactile visuality. Conclusion A mobile screen-interface, dematerializing digital frame with traits such as object, boundary, window-frame, borrows and remodels the conventional media in various ways as well as remediates and expands the body. It has a potentially interface feature using it alteratively with the hidden condition besides beyond transparent-opaque. It is the smallest screen having dual mobility but also has a media aesthetic property such as simultaneous u​biquitousness, selective immersion, tactile visibility. KCI Citation Count: 1
연구배경 우리는 스크린이 현실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수단이 된 모바일 스크린 사회에 살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스크린-인터페이스와 재매개적 특성 및 지각방식에서 기존 미디어와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스크린과 프레임의 개념 및 스크린-인터페이스의 개념을 재정의 하고 그 변화과정을 계보학적으로 분석하며 재매개적 관점에서 표상방식과 구성원리에 대해 논의한다. 아울러 이동성과 촉각적 시각성이라는 관점에서 모바일의 지각적 특성을 살펴본다. 연구결과 1)모바일 스크린은 잠재적으로 대상, 경계, 창문-프레임의 기능을 모두 활용하고 있다. 2)스크린-인터페이스는 감성적 인터페이스이며 인간의 지각방식을 결정하는 적극적 매체이다. 또한 3)투명성과 불투명성을 동시에 가지며 인간의 감각을 증강하고 스펙터클한 경험을 제공하는 신체의 확장이다. 4)모바일은 전체 창, 페이지 슬라이딩, 증강현실, VR 파노라마,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등으로 기존 미디어를 확장, 개조, 흡수, 공격, 차용하며 재매개하고 있다. 5)모바일 이용자는 이중적 이동성을 가진 디지털 산보자이며 선택적 몰입을 한다. 6)모바일 스크린-인터페이스는 가상적 이동성으로 원격현전을 구현하며 사교적 풍부성, 사회적 현실감, 내가 아닌 대상이 이곳에 이전하여 함께 있음, 심리적 몰입, 매체 내 사회적 대상과의 교류에 대한 현전감이 높다. 7) 모바일 스크린-인터페이스의 매체 수용방식은 시각보다 몸이 우선하는 촉각적 시각성이다. 결론 대상, 경계, 창문-프레임의 성격을 모두 갖춘 비물질화된 디지털 프레임인 모바일 스크린-인터페이스는 감성적 인터페이스로서 기존 미디어를 다양한 방식으로 차용, 개조하며 재매개하는 신체의 확장이며 투명-불투명을 넘어 숨겨진 상태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잠재적 인터페이스로서의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이중적 이동성을 갖는 가장 작은 스크린으로써 동시편재성, 선택적 몰입, 촉각적 시각성이라는 매체미학적 특성을 갖고 있다. Background We live in mobile screen society. This study is intended to shed lights on mobile screen-interface and remediation properties and analyze difference from conventional media in perception method. Methods The concept of screen, frame and screen-interface is redefined. And the process of their change is genealogically analyzed. And representation type and composition principle is discussed from the remediation perspective. In addition,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mobile are examined from the mobility and tactile visuality. Result 1)Mobile screen is potentially utilizes all functions of window-frame, boundary and object. 2)Screen-interface is emotional interface, and is an active medium determining human perception method. Besides, 3)It is extension of human body, which provides spectacle experience, augments human senses, and has transparency and opacity at the same time. 4)Mobile remediates conventional media by fidelity, refashion, absorb, aggressive, and borrowing through borderless window, page sliding, augmented reality, VR panorama, multimodal interface, etc. 5)A mobile user is digital flaneur and pays a selective attention. 6)Mobile screen-interface implements telepresence by virtual mobility, and is high in the sense of presence regarding interaction with social actor within medium, psychological engagement, It is here and We are together, social realism, and social richness. 7) The media acceptance type of mobileinterface is tactile visuality. Conclusion A mobile screen-interface, dematerializing digital frame with traits such as object, boundary, window-frame, borrows and remodels the conventional media in various ways as well as remediates and expands the body. It has a potentially interface feature using it alteratively with the hidden condition besides beyond transparent-opaque. It is the smallest screen having dual mobility but also has a media aesthetic property such as simultaneous ubiquitousness, selective immersion, tactile visibility.
Author Hyun-chul Yoon
윤현철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윤현철
– sequence: 2
  fullname: Hyun-chul Yoo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08023$$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j9Lw0Achg-pYK39ArpkdEm83C93uRtL_VcoCNI9XJOLhGgriYubBScH6WBRwUKHoiKCQTt08BM1l-9gtE7vy8vDw7uOKr1-TyG0aWOL2EDYTpwGFxbBNrMsalsYwwqqEsqZ6biuWyk7ATAFwXQN1dM06mLHcYETIFW0m7-95tmdHn8b-mZaDN7z58zU43lxnRW3D3o8K1d9PzQWs6ti9GTkL1P9Ocs_5sXoUU8GxuJrorNsA62G8jRV9f-soc7-Xqd5aLaPDlrNRttULqOmEFIoHxTnuPxClM3tkIrQYT4OcECwwL4gglKOVVc6kkroMsYVBBICAEahhraX2l4SerEfeX0Z_eVJ34sTr3HcaXlO6ea_6NYSjaM09c6T6Ewmlx5QIlzmwg-e228b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21326/ksdt.2016..51.003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모바일 스크린-인터페이스에 관한 매체미학적 고찰
A Media Aesthetic Study on the Screen - Interface of Mobile
EISSN 2586-4777
EndPage 40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409285
3529767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ID FETCH-LOGICAL-e765-99a9ec3e8809202e181f59f46c0d0d2090c9295580eba4a5a3b668e3da3d33653
ISSN 2233-9205
IngestDate Tue Nov 21 21:47:42 EST 2023
Thu Aug 21 02:14:07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765-99a9ec3e8809202e181f59f46c0d0d2090c9295580eba4a5a3b668e3da3d33653
Notes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G704-000594.2016..51.006
PageCount 1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409285
kiss_primary_3529767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605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6-05-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5
  year: 2016
  text: 201605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한국디자인포럼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디자인포럼
PublicationYear 2016
Publisher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SSID ssib044738232
ssib027980826
Score 1.5942377
Snippet 연구배경 우리는 스크린이 현실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수단이 된 모바일 스크린 사회에 살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스크린-인터페이스와 재매개적 특성 및 지각방식에서 기존 미디어와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스크린과 프레임의 개념 및 스크린-인터페이스의 개념을 재정의...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29
SubjectTerms frame
Interface
Mobile
remediation
Screen
디자인
모바일
스크린
인터페이스
재매개
프레임
Title 모바일 스크린-인터페이스에 관한 매체미학적 고찰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52976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08023
Volume 5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디자인포럼, 2016, 0(51), , pp.29-40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xNBdGjrxYsoVaxfrOCewsbJzux8HDebhCrUU4Telv0UCaQlTS8exIInD-LBooKBHoqKCAbNoQd_UbP5D76Z3U22VaEVwvLy3pu3782bnXlvdmYWoXskJFyGoWNJyolFCUutgMepZQcCk5Am0ITU3uGNR2z9MX246WwuLbPKqqXdYViPnv11X8n_eBVw4Fe1S_Ycnp0LBQTA4F-4gofheiYfm-2m6bqmKxTQxKakZtszZctsejUFCaABqgXhoul6mpsBX82qlXxCU6kqrIC2KUVJohUJgOGmxFDMVQShuaVjSnUfkMoLrqatywGmU8hWTFKRXAxa5AKI-qO4Mfyq0fFcqmZzTLelZIFVhWGgHj6peaewS8L9PNVcMETMTqMyv6H5vaIewDpRKuri6oxHg5Uv64s2en5dXA00taW5UkQXn1cCAC6QFn0vBE3EkjbOX7gnOc4RzKK8-OpM0d_LSuSQnzt1ekyyId9X8yO9nVit3W2wet1p1DEmixG4XHVwamA-cQR4L3rqP9nyewMfEp0HPqTlUJ3L6ILNuV6esPG8XfajNpcCV9JGCo-hsPW3-uZ25fvHtG73_9AMwhPIXnYg3OoP0kq41b2MLhV5kuHmjf4KWuptraLO9OuX6fhtNvplZK8OZ3vfpp_GhmVko6PZy_Hs9ftsNAF89u6NcTx5Mdv_aEw_H2Y_JtPvR7P9D9nBnnH88yAbj6-ibqfd9dat4kMgVsIZdCMykElEEhhqQHU7gaA0dWRKWYRjHNtY4giCfMcROAkDGjgBCRkTCYkDEhPCHHINrfS3-sl1ZFAiqB1QGZEAU5aKkPM05I1EcJlgEodraFVZ7m_nR734kJ5AvM7X0F2oCe2Df_rixhl4bqKLiwZ9C60MB7vJbQhqh-Ed7cHfJO9-0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AA%A8%EB%B0%94%EC%9D%BC+%EC%8A%A4%ED%81%AC%EB%A6%B0+-+%EC%9D%B8%ED%84%B0%ED%8E%98%EC%9D%B4%EC%8A%A4%EC%97%90+%EA%B4%80%ED%95%9C+%EB%A7%A4%EC%B2%B4%EB%AF%B8%ED%95%99%EC%A0%81+%EA%B3%A0%EC%B0%B0&rft.jtitle=%ED%95%9C%EA%B5%AD%EB%94%94%EC%9E%90%EC%9D%B8%ED%8F%AC%EB%9F%BC%2C+0%2851%29&rft.au=%EC%9C%A4%ED%98%84%EC%B2%A0&rft.date=2016-05-31&rft.pub=%ED%95%9C%EA%B5%AD%EB%94%94%EC%9E%90%EC%9D%B8%ED%8A%B8%EB%A0%8C%EB%93%9C%ED%95%99%ED%9A%8C&rft.issn=2233-9205&rft.eissn=2586-4777&rft.spage=29&rft.epage=40&rft_id=info:doi/10.21326%2Fksdt.2016..51.00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409285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33-920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33-920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33-920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