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을 모티브로 한 칠보 프레임 디자인 개발 연구

현대 공예디자인작품에는 다양한 기법과 작가 개인의 스타일로 표현된 작품들이 많으며 작가들의 작품 의도나 개성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표현기법들이 수많은 작가에 의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질이 좋고, 개성이 강한 작품을 소유함으로써 작품의 소유 욕구에 대한 만족감이 극대화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칠보의 대중성을 위하여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칠보 공예 프레임을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며 프레임 개발의 모티브는 꽃을 주제로 하여 칠보의 색감이 잘 표현될 수 있도록 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디자인포럼 Vol. 47; pp. 341 - 348
Main Authors 고민지, Koh Min-ji, 안일훈, Ahn Il-h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0.05.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3-9205
2586-4777
DOI10.21326/ksdt.2015..47.029

Cover

Abstract 현대 공예디자인작품에는 다양한 기법과 작가 개인의 스타일로 표현된 작품들이 많으며 작가들의 작품 의도나 개성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표현기법들이 수많은 작가에 의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질이 좋고, 개성이 강한 작품을 소유함으로써 작품의 소유 욕구에 대한 만족감이 극대화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칠보의 대중성을 위하여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칠보 공예 프레임을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며 프레임 개발의 모티브는 꽃을 주제로 하여 칠보의 색감이 잘 표현될 수 있도록 연구 하였다. 또한, 칠보의 표현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칠보의 색채를 적절히 표현하여 감각적 감성을 칠보의 표현기법으로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먼저 칠보 프레임 개발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칠보의 대중성을 위하여 기존 칠보 제품을 분석하여 전통적인 디자인을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응용하여 보았으며, 칠보의 화려하고 다양한 색감을 표현하기 위하여 꽃이라는 모티브를 접목해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아이디어 전개로 꽃의 디자인을 캐드로 제작하여 프레임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레임에 다양한 색상을 시뮬레이션하여 칠보 작업 후의 모습을 계획하고, 개발된 프레임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신구 디자인 프로세서를 연구하였다. 또한, 작품 제작 후에는 디자인 및 색상표현 등의 분석을 통하여 장단점을 접목, 보완하여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칠보공예의 화려한 색감과 프레임을 연구하고 정형화된 디자인과 일률적인 디자인 시장에서 현대적인 디자인으로의 변화를 추구하고, 다양한 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침체한 공예 시장의 활성화와 칠보 공예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을 높여 칠보의 대중화와 기법의 활용으로 현대 공예 디자인 산업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These days, there are a lot of works with various skills and styles and the various expressive techniques are developed to deliver the intension or personality of artists. The customers can have the maximum satisfaction through the possession of special and high-quality goods.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design of cloisonne enamel frame in order to popularize the cloisonne enamel craft. As for the frame development, it expressed the color of cloisonne enamel through the motif of flower and studied the cloisonne enamel craft with modern design sense through the development of cloisonne enamel frame. Expressing the color of cloisonne enamel as well as the expressive technique of cloisonne enamel, it is to maximize the effect of sensibility. First, it discovered the necessity of cloisonne enamel development, and for the popularization of cloisonne enamel, it changed the traditional design into a modern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cloisonne enamel goods. In order to express the luxurious and various colors of cloisonne enamel, it designed with a flower motif. As for the idea development process, it made the flower design by CAD for the development of frame, and substituted the various colors for the developed frame in order to plan the looking after cloisonne frame works, and researched the design processor which can be used variously with the developed frame. After the production of works, it studied abou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rough the analysis of design and color expression.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luxurious colors of cloisonne enamel and its frame for the popularization of cloisonne enamel craft in order to show the various modern designs in the formal and monotonous design market, and furthermore, it is to be helpful for the popularization of cloisonne enamel, the use of techniques and the modern design industry by the increase of interest in cloisonne enamel.
AbstractList 현대 공예디자인작품에는 다양한 기법과 작가 개인의 스타일로 표현된 작품들이 많으며 작가들의 작품 의도나 개성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표현기법들이 수많은 작가에 의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질이 좋고, 개성이 강한 작품을 소유함으로써 작품의 소유 욕구에 대한 만족감이 극대화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칠보의 대중성을 위하여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칠보 공예 프레임을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며 프레임 개발의 모티브는 꽃을 주제로 하여 칠보의 색감이 잘 표현될 수 있도록 연구 하였다. 또한, 칠보의 표현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칠보의 색채를 적절히 표현하여 감각적 감성을 칠보의 표현기법으로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먼저 칠보 프레임 개발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칠보의 대중성을 위하여 기존 칠보 제품을 분석하여 전통적인 디자인을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응용하여 보았으며, 칠보의 화려하고 다양한 색감을 표현하기 위하여 꽃이라는 모티브를 접목해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아이디어 전개로 꽃의 디자인을 캐드로 제작하여 프레임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레임에 다양한 색상을 시뮬레이션하여 칠보 작업 후의 모습을 계획하고, 개발된 프레임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신구 디자인 프로세서를 연구하였다. 또한, 작품 제작 후에는 디자인 및 색상표현 등의 분석을 통하여 장단점을 접목, 보완하여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칠보공예의 화려한 색감과 프레임을 연구하고 정형화된 디자인과 일률적인 디자인 시장에서 현대적인 디자인으로의 변화를 추구하고, 다양한 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침체한 공예 시장의 활성화와 칠보 공예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을 높여 칠보의 대중화와 기법의 활용으로 현대 공예 디자인 산업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These days, there are a lot of works with various skills and styles and the various expressive techniques are developed to deliver the intension or personality of artists. The customers can have the maximum satisfaction through the possession of special and high-quality goods.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design of cloisonne enamel frame in order to popularize the cloisonne enamel craft. As for the frame development, it expressed the color of cloisonne enamel through the motif of flower and studied the cloisonne enamel craft with modern design sense through the development of cloisonne enamel frame. Expressing the color of cloisonne enamel as well as the expressive technique of cloisonne enamel, it is to maximize the effect of sensibility. First, it discovered the necessity of cloisonne enamel development, and for the popularization of cloisonne enamel, it changed the traditional design into a modern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cloisonne enamel goods. In order to express the luxurious and various colors of cloisonne enamel, it designed with a flower motif. As for the idea development process, it made the flower design by CAD for the development of frame, and substituted the various colors for the developed frame in order to plan the looking after cloisonne frame works, and researched the design processor which can be used variously with the developed frame. After the production of works, it studied abou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rough the analysis of design and color expression.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luxurious colors of cloisonne enamel and its frame for the popularization of cloisonne enamel craft in order to show the various modern designs in the formal and monotonous design market, and furthermore, it is to be helpful for the popularization of cloisonne enamel, the use of techniques and the modern design industry by the increase of interest in cloisonne enamel.
현대 공예디자인작품에는 다양한 기법과 작가 개인의 스타일로 표현된 작품들이 많으며 작가들의 작품 의도나 개성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표현기법들이 수많은 작가에 의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질이 좋고, 개성이 강한 작품을 소유함으로써 작품의 소유 욕구에 대한 만족감이 극대화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칠보의 대중성을 위하여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칠보 공예 프레임을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며 프레임 개발의 모티브는 꽃을 주제로 하여 칠보의 색감이 잘 표현될 수 있도록 연구 하였다. 또한, 칠보의 표현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칠보의 색채를 적절히 표현하여 감각적 감성을 칠보의 표현기법으로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먼저 칠보 프레임 개발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칠보의 대중성을 위하여 기존 칠보 제품을 분석하여 전통적인 디자인을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응용하여 보았으며, 칠보의 화려하고 다양한 색감을 표현하기 위하여 꽃이라는 모티브를 접목해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아이디어 전개로 꽃의 디자인을 캐드로 제작하여 프레임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레임에 다양한 색상을 시뮬레이션하여 칠보 작업 후의 모습을 계획하고, 개발된 프레임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신구 디자인 프로세서를 연구하였다. 또한, 작품 제작 후에는 디자인 및 색상표현 등의 분석을 통하여 장단점을 접목, 보완하여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칠보공예의 화려한 색감과 프레임을 연구하고 정형화된 디자인과 일률적인 디자인 시장에서 현대적인 디자인으로의 변화를 추구하고, 다양한 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침체한 공예 시장의 활성화와 칠보 공예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을 높여 칠보의 대중화와 기법의 활용으로 현대 공예 디자인 산업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These days, there are a lot of works with various skills and styles and the various expressive techniques are developed to deliver the intension or personality of artists. The customers can have the maximum satisfaction through the possession of special and high-quality goods.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design of cloisonné enamel frame in order to popularize the cloisonné enamel craft. As for the frame development, it expressed the color of cloisonné enamel through the motif of flower and studied the cloisonné enamel craft with modern design sense through the development of cloisonné enamel frame. Expressing the color of cloisonné enamel as well as the expressive technique of cloisonné enamel, it is to maximize the effect of sensibility. First, it discovered the necessity of cloisonné enamel development, and for the popularization of cloisonné enamel, it changed the traditional design into a modern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cloisonné enamel goods. In order to express the luxurious and various colors of cloisonné enamel, it designed with a flower motif. As for the idea development process, it made the flower design by CAD for the development of frame, and substituted the various colors for the developed frame in order to plan the looking after cloisonné frame works, and researched the design processor which can be used variously with the developed frame. After the production of works, it studied abou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rough the analysis of design and color expression.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luxurious colors of cloisonné enamel and its frame for the popularization of cloisonné enamel craft in order to show the various modern designs in the formal and monotonous design market, and furthermore, it is to be helpful for the popularization of cloisonné enamel, the use of techniques and the modern design industry by the increase of interest in cloisonné enamel.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안일훈
고민지
Ahn Il-hoon
Koh Min-ji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고민지
– sequence: 2
  fullname: Koh Min-ji
– sequence: 3
  fullname: 안일훈
– sequence: 4
  fullname: Ahn Il-hoo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9284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j1Lw0Acxg9RsNZ-AV0yuiTe_e8tt1mKL4WCIN2PS3KVEG0lcXG2g6CDQ8WlLXUTcQioUAe_UJN-B4N1-j08_Hh4ttB6f9C3CO0Q7AGhIPaTLLr2ABPueUx6GNQaqgH3hcuklOtVBkpdBZhvokaWxQFmTFIfKNTQweLntpwMneLtdXmfF_OH4mXsLJ_GTvk9Kz4-neVoWMzuymlljEbl9LGczJ1FPi7yynjOF1_v22ijZy4y2_hnHXWPDrutE7dzetxuNTuulYK73AYSAiGEpBAZrBQxPOTcRNhIVr2xjFgTWSYZZ1UXWCN8IjgJLYQglKF1tLea7ac9nYSxHpj4j-cDnaS6edZta4YVw7xSd1dqEmeZvkrjS5PeaMpBCZ_RX5pbayU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21326/ksdt.2015..47.029
DatabaseName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꽃을 모티브로 한 칠보 프레임 디자인 개발 연구
The research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cloisonne enamel frame with a flower motif
EISSN 2586-4777
EndPage 34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409405
3529684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ID FETCH-LOGICAL-e765-5eb72b666732da0991a5c55ad0a74447e41eade47454d0abea681651ce2c269a3
ISSN 2233-9205
IngestDate Tue Nov 21 21:43:12 EST 2023
Thu Aug 21 02:14:07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765-5eb72b666732da0991a5c55ad0a74447e41eade47454d0abea681651ce2c269a3
Notes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G704-000594.2015..47.026
PageCount 8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409405
kiss_primary_352968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505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5-05-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5
  year: 2015
  text: 201505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한국디자인포럼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디자인포럼
PublicationYear 2015
Publisher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SSID ssib044738232
ssib027980826
Score 1.5630474
Snippet 현대 공예디자인작품에는 다양한 기법과 작가 개인의 스타일로 표현된 작품들이 많으며 작가들의 작품 의도나 개성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표현기법들이 수많은 작가에 의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질이 좋고, 개성이 강한 작품을 소유함으로써 작품의 소유 욕구에 대한 만족감이...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341
SubjectTerms Cloisonne
Emotional design
Enamel
Express techniques
Frame
Jewelry design
감성 디자인
디자인
에나멜
주얼리 디자인
칠보
표현기법
프레임
Title 꽃을 모티브로 한 칠보 프레임 디자인 개발 연구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52968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92840
Volume 4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디자인포럼, 2015, 0(47), , pp.341-34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b9MwNBrjwgWBBmJ8KUj4VKU4sR07N5I01YY0TkXarcoXCCq1qOsuHLiwAxIcOBRx6aZxQ4hDJUAaB_5Q0_4Hnu2k7caHNqQoct57eXnPz4nfi-1nw7ibES7AUxYWON8UAhTXsWLChJXFTGZjSVJXrXrfeuhuPKIPttn2yrnNpVlLu4Oknr7447qS_7EqwMCucpXsGSw7ZwoAKIN94QwWhvOpbIwiHwUNJAiKQuRBgdZQFCDfR75AEVwHKMASEggkQoWykRfWJM5juhSiwEO-piIooBoJHiZV9BgJobhHFXfAwaFBHi6fHIiaEgYDU8UKV9w9rmQAHENlnsdnlfSlFBW28Q_2Sp0mcFA0TRSEsnFgJPu9pb8ZihUp9fEVGXDwORJ4QRLKx5ZqNRQJCBIgvfFf9QvEZmr0Hs8b7dnF9VVBV6KWm6jbNR9PFXxALT7G4EURy3OwHoHPNYwJ16K83IZGdwBEp_EqfQmis4ie7KYcm6idNTs7mZzOa7N6nfI6LivrWE7wE331sazgnfRp-0mv3em3IfbZbMtIXWbzPe9wrmYsbL2Mqk-rwz14JReeNqVcDgDLMba5ZnpJmZLt3m-SgccCAc0OeGDd_uMlD6x1ybhYhk6mr9-Dy8ZKp7dm3J_8fDXd3zOLz59mb8bF0dvi48icvR-Z0x-Hxddv5my4Vxy-nh4AxXA4PXg33T8yJ-NRMQaKD-PJ9y9XjFYzaoUbVrkriJVzl1ksT7iTuHK3WieLIb6xY5YyFmc45hTUyqkt1wBQThkFWJLHrrBdZqe5kzquF5Orxmq3182vGaZHUuLwXHCSZNQVOMly6L-xh2OXORyzdWNN6tx-rvO-tImcoyDounEH6kDV_l-tcP0UNDeMC4vGfNNYHfR381vg4Q6S28p2vwBZJ35e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D%83%EC%9D%84+%EB%AA%A8%ED%8B%B0%EB%B8%8C%EB%A1%9C+%ED%95%9C+%EC%B9%A0%EB%B3%B4+%ED%94%84%EB%A0%88%EC%9E%84+%EB%94%94%EC%9E%90%EC%9D%B8+%EA%B0%9C%EB%B0%9C+%EC%97%B0%EA%B5%AC&rft.jtitle=%ED%95%9C%EA%B5%AD%EB%94%94%EC%9E%90%EC%9D%B8%ED%8F%AC%EB%9F%BC%2C+0%2847%29&rft.au=%EA%B3%A0%EB%AF%BC%EC%A7%80&rft.au=%EC%95%88%EC%9D%BC%ED%9B%88&rft.date=2015-05-30&rft.pub=%ED%95%9C%EA%B5%AD%EB%94%94%EC%9E%90%EC%9D%B8%ED%8A%B8%EB%A0%8C%EB%93%9C%ED%95%99%ED%9A%8C&rft.issn=2233-9205&rft.eissn=2586-4777&rft.spage=341&rft.epage=348&rft_id=info:doi/10.21326%2Fksdt.2015..47.029&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409405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33-920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33-920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33-920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