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소비가치가 미용실 이용동기와 점포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배경 본 연구는 미용실 고객들을 대상으로 미용소비가치가 미용실 이용동기와 점포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과 미용실 고객들의 이용동기와 점포선택기준 간의 연령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연구를 기초 하여 미용 소비가치를 이해하고 연령별 고객의 차이점을 자료로 제공하여 미용실 영업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만 20세에서 50세 이상의 성인여성 49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일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디자인포럼 Vol. 51; pp. 83 - 94
Main Authors 박보연, Park Bo-yeon, 유태순, Yoo Tai-s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1.05.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3-9205
2586-4777
DOI10.21326/ksdt.2016..51.007

Cover

Abstract 연구배경 본 연구는 미용실 고객들을 대상으로 미용소비가치가 미용실 이용동기와 점포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과 미용실 고객들의 이용동기와 점포선택기준 간의 연령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연구를 기초 하여 미용 소비가치를 이해하고 연령별 고객의 차이점을 자료로 제공하여 미용실 영업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만 20세에서 50세 이상의 성인여성 49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사후검증으로 Duncan-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감정적, 기능적가치는 정기이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본선택을 할수록 감정적, 기능적 가치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물리적 선택을 많이 할수록 기능적 가치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본 선택을 하는 경우 정기 이용과 특별이용이 높았고, 물리적 선택과 고급선택을 하는 경우 특별이용 보다 정기이용이 높았다. 넷째, 연령별 차이에서는 사회적, 기능적가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의 사회적, 기능적가치가 가장 높았다. 결론 고객의 미용소비가치가 미용실의 이용동기와 점포선택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고객이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고객의 미용소비가치와 연령별 차이를 더욱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beauty salon clients beauty consumption value on the current status of beauty salon usage and the store choice criteria, also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beauty salon clients usage motivation and store choice criteria depending on their ag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useful data necessary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to vitalize the beauty salon sales. Methods Targeting female adults(20-more than 50 year) residing in Daegu. Total 46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then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usage SPSS 23.0. Result First, social,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of priority mad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gular visits. Second, As basic choices were made, emotional and practical values became important. As physical choices were made, a practical value increased. Third, in case basic choices were chosen, regular visits and special usages increased. Also, as for physical and luxurious choices were made, physical usages were higher than the regular visits. Fourth, so far as the age difference goes, social and practical biases were observed; women in their 40`s revealed that they prioritize social and practical values as they make their choices. Conclusion beauty consumption value has deeply influenced their choosing of a specific beauty shop. Particularly, customers in their 40`s showed the most distinctive preference. The future study needs done to delve into the difference among the age groups in depth. Furthermore, the ways to implement these findings to actual business plan should be ventured.
AbstractList 연구배경 본 연구는 미용실 고객들을 대상으로 미용소비가치가 미용실 이용동기와 점포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과 미용실 고객들의 이용동기와 점포선택기준 간의 연령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연구를 기초 하여 미용 소비가치를 이해하고 연령별 고객의 차이점을 자료로 제공하여 미용실 영업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만 20세에서 50세 이상의 성인여성 49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사후검증으로 Duncan-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감정적, 기능적가치는 정기이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본선택을 할수록 감정적, 기능적 가치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물리적 선택을 많이 할수록 기능적 가치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본 선택을 하는 경우 정기 이용과 특별이용이 높았고, 물리적 선택과 고급선택을 하는 경우 특별이용 보다 정기이용이 높았다. 넷째, 연령별 차이에서는 사회적, 기능적가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의 사회적, 기능적가치가 가장 높았다. 결론 고객의 미용소비가치가 미용실의 이용동기와 점포선택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고객이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고객의 미용소비가치와 연령별 차이를 더욱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beauty salon clients beauty consumption value on the current status of beauty salon usage and the store choice criteria, also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beauty salon clients usage motivation and store choice criteria depending on their ag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useful data necessary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to vitalize the beauty salon sales. Methods Targeting female adults(20-more than 50 year) residing in Daegu. Total 46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then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usage SPSS 23.0. Result First, social,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of priority mad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gular visits. Second, As basic choices were made, emotional and practical values became important. As physical choices were made, a practical value increased. Third, in case basic choices were chosen, regular visits and special usages increased. Also, as for physical and luxurious choices were made, physical usages were higher than the regular visits. Fourth, so far as the age difference goes, social and practical biases were observed; women in their 40`s revealed that they prioritize social and practical values as they make their choices. Conclusion beauty consumption value has deeply influenced their choosing of a specific beauty shop. Particularly, customers in their 40`s showed the most distinctive preference. The future study needs done to delve into the difference among the age groups in depth. Furthermore, the ways to implement these findings to actual business plan should be ventured.
연구배경 본 연구는 미용실 고객들을 대상으로 미용소비가치가 미용실 이용동기와 점포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과 미용실 고객들의 이용동기와 점포선택기준 간의 연령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연구를 기초 하여 미용 소비가치를 이해하고 연령별 고객의 차이점을 자료로 제공하여 미용실 영업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만 20세에서 50세 이상의 성인여성 49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사후검증으로 Duncan-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감정적, 기능적가치는 정기이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본선택을 할수록 감정적, 기능적 가치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물리적 선택을 많이 할수록 기능적 가치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본 선택을 하는 경우 정기 이용과 특별이용이 높았고, 물리적 선택과 고급선택을 하는 경우 특별이용 보다 정기이용이 높았다. 넷째, 연령별 차이에서는 사회적, 기능적가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의 사회적, 기능적가치가 가장 높았다. 결론 고객의 미용소비가치가 미용실의 이용동기와 점포선택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고객이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고객의 미용소비가치와 연령별 차이를 더욱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beauty salon clients beauty consumption value on the current status of beauty salon usage and the store choice criteria, also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beauty salon clients usage motivation and store choice criteria depending on their ag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useful data necessary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to vitalize the beauty salon sales. Methods Targeting female adults(20-more than 50 year) residing in Daegu. Total 46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then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usage SPSS 23.0. Result First, social,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of priority mad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gular visits. Second, As basic choices were made, emotional and practical values became important. As physical choices were made, a practical value increased. Third, in case basic choices were chosen, regular visits and special usages increased. Also, as for physical and luxurious choices were made, physical usages were higher than the regular visits. Fourth, so far as the age difference goes, social and practical biases were observed; women in their 40's revealed that they prioritize social and practical values as they make their choices. Conclusion beauty consumption value has deeply influenced their choosing of a specific beauty shop. Particularly, customers in their 40's showed the most distinctive preference. The future study needs done to delve into the difference among the age groups in depth. Furthermore, the ways to implement these findings to actual business plan should be ventured. KCI Citation Count: 3
Author 박보연
Park Bo-yeon
유태순
Yoo Tai-soon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박보연
– sequence: 2
  fullname: Park Bo-yeon
– sequence: 3
  fullname: 유태순
– sequence: 4
  fullname: Yoo Tai-soon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0805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jtLw1AAhS9SwVr7B3TJ6JJ43zcZS_FRKAhSXC-3eUiItpK4uFUsDiq0g2grFDrUQRDs4ND8peb2P5g-lnMOh4_D2QWFVrvlA7CPoIURwfwoSrw7C0PELYshC0KxBYqY2dykQohCnjEhpoMh2wHlJAmbkFJBbExwEVxmvzP9-a2fXrO0O592dDrI1di0LxNDj_7ylPWG89lUDzuGHvcXvR_dHS8eR8tq0tEf_RWfDrLnN0MPHhbvX3tgO1DXiV_eeAk0To4b1TOzfn5aq1bqpi84NV2beg7H0Ob5F-FDkn8MFBZUeEg5zFOcKm77FBHmNAPPdRgKCPRJU7nQo4iSEjhcz7biQEZuKNsqXPlVW0axrFw0apJCB9tL9GCNRmGSyNs4vFHxvSQMO0Ig8g8FW3tn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21326/ksdt.2016..51.007
DatabaseNam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미용소비가치가 미용실 이용동기와 점포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Beauty Consumption Value on the Motivation of Beauty Salon Usage and Store Choice Criteria
EISSN 2586-4777
EndPage 9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409284
3529771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ID FETCH-LOGICAL-e764-c84d9620862327e03920fa2747d1a95da64a68e41359bfdc951f30e3bac0d4143
ISSN 2233-9205
IngestDate Tue Nov 21 21:47:42 EST 2023
Thu Aug 21 02:14:07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764-c84d9620862327e03920fa2747d1a95da64a68e41359bfdc951f30e3bac0d4143
Notes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G704-000594.2016..51.005
PageCount 1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409284
kiss_primary_352977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605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6-05-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5
  year: 2016
  text: 201605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한국디자인포럼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디자인포럼
PublicationYear 2016
Publisher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SSID ssib044738232
ssib027980826
Score 1.5939546
Snippet 연구배경 본 연구는 미용실 고객들을 대상으로 미용소비가치가 미용실 이용동기와 점포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과 미용실 고객들의 이용동기와 점포선택기준 간의 연령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연구를 기초 하여 미용 소비가치를 이해하고 연령별 고객의 차이점을 자료로 제공하여 미용실...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83
SubjectTerms beauty consumption value
motivation of Beauty Salon Usage
store choice criteria
디자인
미용소비가치
미용실 이용동기
점포선택기준
Title 미용소비가치가 미용실 이용동기와 점포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52977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08050
Volume 5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디자인포럼, 2016, 0(51), , pp.83-94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b9Mw1NrGhQsCDcT4UpHwqUrJh5PYxyTLNJDGqaDdIjdJ0VTUTO12gAMaYuIASNsBQYc0aYdxQEJiBw7rX1qz_8B7TtoGGBJDqpynZ7_nZ7_Gfs9-dgi5Z0ppSKNlamnMYw23HDXOLEtzLTuRMPwlcYIHhVceOcuP2cNVe3Vm9lklamlzo9WIX5x5ruR_tAo40Cuekj2HZidMAQEw6BdS0DCk_6RjGvrUW6I-p2FAhUc9gQB3KA8wyxeUMxp61NcxoAGyACP4BFP_Cz0gWV2hFqnPKnk-5UtUCMWAIw_MEgWngHoYM0HDRSzkBYoTQyRiLORVJfNYKZJwgepXSUopoTaPilISDiYvchIO9eyqRa2QNhWBYm9TbxEpBcMfEoZKqKItvCIdlIH6JmvEqr905ISANW63C8jpLluvU_cz7Xk6DV1QhYJKK4t2cwCm42lWb8o1rZ-VZOUai-GMwwPKt-L8LVH9iT2nlxoXhQQFH6EAD7Kmoz2YaZYmTN2uTk3lXbzF3FJ88Of3Kc80LPWVzk4_wdBgw2k0bAMvhJ9O8JOwSzC2wdw3ZskFEx44H6y8DMejr-kKrlecTcZc3CPGbbiJbMWpM1Xl_T8qBKMGfJ4-GGndXrtipDUvk0uld1XzilflCpnpZPPkyej7cf75a_7m_Wi4fXK0lQ8HkNZK7LvDWr7_A6DRzt7J8VG-t1XLD3ZPd77l2wenr_cRdbiVf9pV5YeD0dsPtXzw6vTjl6ukuRQ2g2Wt_JyIlroO02LOEuGY6MJbppvq4BjobYmLMokhBYxMDpMOT8Gos0WrncTgerQtPbVaMtYTBm7FNTLXzbrpdVKLRWy0Y9tiCXNYy3SkdHnCpZGmru3I2F4g89gT0XpxYUxU9vsCuQs9E3XitQgvdcfn0yzq9CJwXR9ETBdgKt44m_QmuTj9X94icxu9zfQ2WMMbrTtKiT8BX4OSEA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AF%B8%EC%9A%A9%EC%86%8C%EB%B9%84%EA%B0%80%EC%B9%98%EA%B0%80+%EB%AF%B8%EC%9A%A9%EC%8B%A4+%EC%9D%B4%EC%9A%A9%EB%8F%99%EA%B8%B0%EC%99%80+%EC%A0%90%ED%8F%AC%EC%84%A0%ED%83%9D%EA%B8%B0%EC%A4%80%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rft.jtitle=%ED%95%9C%EA%B5%AD%EB%94%94%EC%9E%90%EC%9D%B8%ED%8F%AC%EB%9F%BC&rft.au=%EB%B0%95%EB%B3%B4%EC%97%B0&rft.au=Park+Bo-yeon&rft.au=%EC%9C%A0%ED%83%9C%EC%88%9C&rft.au=Yoo+Tai-soon&rft.date=2016-05-31&rft.pub=%ED%95%9C%EA%B5%AD%EB%94%94%EC%9E%90%EC%9D%B8%ED%8A%B8%EB%A0%8C%EB%93%9C%ED%95%99%ED%9A%8C&rft.issn=2233-9205&rft.volume=51&rft.spage=83&rft_id=info:doi/10.21326%2Fksdt.2016..51.007&rft.externalDocID=352977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33-920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33-920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33-920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