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품 개발 과정에서의 공동디자인 전략 유형 - 사용자 참여디자인 접근법을 위한 공동디자인 유형의 개념적 구조

지난 수년간 많은 마케팅 연구자들은 신제품과 서비스 디자인 개발에서 소비자와 기업 간의 협력에 대한 주제에 매료되어 왔다(Cavallone and Cassia, 2012). 하지만 대부분의 신제품 개발은 진보된 기술력의 부족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니즈의 이해 부족으로 실패한다(von Hippel, 2005). 협력전략(공동창조, 공동혁신, 공동디자인 등)의 개념은 실무 경영분야에서도 많이 다뤄진다. 그러나 정의가 분명치 않고 문헌에서도 모순점이 많은 실정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다룰 공동디자인은 하나의 접근법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디자인포럼 Vol. 47; pp. 185 - 196
Main Authors 서현덕, Suh Hyun Du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English
Korean
Published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0.05.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3-9205
2586-4777
DOI10.21326/ksdt.2015..47.016

Cover

Abstract 지난 수년간 많은 마케팅 연구자들은 신제품과 서비스 디자인 개발에서 소비자와 기업 간의 협력에 대한 주제에 매료되어 왔다(Cavallone and Cassia, 2012). 하지만 대부분의 신제품 개발은 진보된 기술력의 부족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니즈의 이해 부족으로 실패한다(von Hippel, 2005). 협력전략(공동창조, 공동혁신, 공동디자인 등)의 개념은 실무 경영분야에서도 많이 다뤄진다. 그러나 정의가 분명치 않고 문헌에서도 모순점이 많은 실정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다룰 공동디자인은 하나의 접근법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고 있다. 기업은 혁신을 위해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을 증대하면서 기업이 누구와 힘을 합치고 그들과 어떻게 힘을 공유할지에 대한 중대하고 복잡한 선택에 직면하게 된다. 그래서 본 연구는 기업의 경계를 넘는 개방형 혁신을 위한 기업 주도의 신제품 개발 안에 강화된 소비자 참여기법이 가미된 다양한 다른 형태의 공동디자인에 대해 연구할 것이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현존하는 이론, 문헌과 사례 연구의 분석을 통해서 공동디자인의 유형을 체계화를 구축한다. 또한, 신제품 개발 촉진을 위한 공동디자인 수행에서 사용자와 디자이너와 사이의 긍정적 관계에 대한 결론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신제품 개발에서의 공동디자인 전략의 개념적 유형 구조를 개발한다. Over the last few years, many marketing researchers have been attracted by the subject of co-operation between consumers and enterprises in the design of new products and services development (Cavallone and Cassia, 2012). However, most of new product development fails; it does so not due to lack of advanced technology, but because of a failure to understand users` need (von Hippel, 2005). Concept of collaboration strategy (e.g. co-creation, co-innovation and co-design etc.) occurs more in practical business fields but definition has been equivocal also in literature has had conflicting. In particular, co-design is not a single approach but takes a wide variety of forms. As organisations increasingly team up with stakeholders to innovate, they confront critical and complex choices about whom to join forces with and how to share power with them. Thus, this research will uncover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f co-design, ranging from enhanced customer sensing techniques embedded within largely enterprise-driven NPD processes to open source innovation occurring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enterprise. Furthermore, this research classifies typology of co-design through analysing current theories, literatures and case studies. Moreover,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a direc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esigner and customer in co-design practices in order to trigger in new product development. Finally, this research develops conceptual framework for typology of co-design strategy in NPD.
AbstractList 지난 수년간 많은 마케팅 연구자들은 신제품과 서비스 디자인 개발에서 소비자와 기업 간의 협력에 대한 주제에 매료되어 왔다(Cavallone and Cassia, 2012). 하지만 대부분의 신제품 개발은 진보된 기술력의 부족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니즈의 이해 부족으로 실패한다(von Hippel, 2005). 협력전략(공동창조, 공동혁신, 공동디자인 등)의 개념은 실무 경영분야에서도 많이 다뤄진다. 그러나 정의가 분명치 않고 문헌에서도 모순점이 많은 실정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다룰 공동디자인은 하나의 접근법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고 있다. 기업은 혁신을 위해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을 증대하면서 기업이 누구와 힘을 합치고 그들과 어떻게 힘을 공유할지에 대한 중대하고 복잡한 선택에 직면하게 된다. 그래서 본 연구는 기업의 경계를 넘는 개방형 혁신을 위한 기업 주도의 신제품 개발 안에 강화된 소비자 참여기법이 가미된 다양한 다른 형태의 공동디자인에 대해 연구할 것이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현존하는 이론, 문헌과 사례 연구의 분석을 통해서 공동디자인의 유형을 체계화를 구축한다. 또한, 신제품 개발 촉진을 위한 공동디자인 수행에서 사용자와 디자이너와 사이의 긍정적 관계에 대한 결론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신제품 개발에서의 공동디자인 전략의 개념적 유형 구조를 개발한다. Over the last few years, many marketing researchers have been attracted by the subject of co-operation between consumers and enterprises in the design of new products and services development (Cavallone and Cassia, 2012). However, most of new product development fails; it does so not due to lack of advanced technology, but because of a failure to understand users` need (von Hippel, 2005). Concept of collaboration strategy (e.g. co-creation, co-innovation and co-design etc.) occurs more in practical business fields but definition has been equivocal also in literature has had conflicting. In particular, co-design is not a single approach but takes a wide variety of forms. As organisations increasingly team up with stakeholders to innovate, they confront critical and complex choices about whom to join forces with and how to share power with them. Thus, this research will uncover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f co-design, ranging from enhanced customer sensing techniques embedded within largely enterprise-driven NPD processes to open source innovation occurring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enterprise. Furthermore, this research classifies typology of co-design through analysing current theories, literatures and case studies. Moreover,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a direc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esigner and customer in co-design practices in order to trigger in new product development. Finally, this research develops conceptual framework for typology of co-design strategy in NPD.
지난 수년간 많은 마케팅 연구자들은 신제품과 서비스 디자인 개발에서 소비자와 기업 간의 협력에 대한 주제에 매료되어 왔다(Cavallone and Cassia, 2012). 하지만 대부분의 신제품 개발은 진보된 기술력의 부족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니즈의 이해 부족으로 실패한다(von Hippel, 2005). 협력전략(공동창조, 공동혁신, 공동디자인 등)의 개념은 실무 경영분야에서도 많이 다뤄진다. 그러나 정의가 분명치 않고 문헌에서도 모순점이 많은 실정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다룰 공동디자인은 하나의 접근법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고 있다. 기업은 혁신을 위해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을 증대하면서 기업이 누구와 힘을 합치고 그들과 어떻게 힘을 공유할지에 대한 중대하고 복잡한 선택에 직면하게 된다. 그래서 본 연구는 기업의 경계를 넘는 개방형 혁신을 위한 기업 주도의 신제품 개발 안에 강화된 소비자 참여기법이 가미된 다양한 다른 형태의 공동디자인에 대해 연구할 것이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현존하는 이론, 문헌과 사례 연구의 분석을 통해서 공동디자인의 유형을 체계화를 구축한다. 또한, 신제품 개발 촉진을 위한 공동디자인 수행에서 사용자와 디자이너와 사이의 긍정적 관계에 대한 결론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신제품 개발에서의 공동디자인 전략의 개념적 유형 구조를 개발한다. Over the last few years, many marketing researchers have been attracted by the subject of co-operation between consumers and enterprises in the design of new products and services development (Cavallone and Cassia, 2012). However, most of new product development fails; it does so not due to lack of advanced technology, but because of a failure to understand users’ need (von Hippel, 2005). Concept of collaboration strategy (e.g. co-creation, co-innovation and co-design etc.) occurs more in practical business fields but definition has been equivocal also in literature has had conflicting. In particular, co-design is not a single approach but takes a wide variety of forms. As organisations increasingly team up with stakeholders to innovate, they confront critical and complex choices about whom to join forces with and how to share power with them. Thus, this research will uncover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f co-design, ranging from enhanced customer sensing techniques embedded within largely enterprise-driven NPD processes to open source innovation occurring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enterprise. Furthermore, this research classifies typology of co-design through analysing current theories, literatures and case studies. Moreover,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a direc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esigner and customer in co-design practices in order to trigger in new product development. Finally, this research develops conceptual framework for typology of co-design strategy in NPD.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서현덕
Suh Hyun Duk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서현덕
– sequence: 2
  fullname: Suh Hyun Duk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9257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plj01LAlEYhS9RkJl_oDazbDPT3K-5c5cifQhCEO4HR-_EYGk4bVoWBkGLLBQ1RpmWgYuhkFz4i5zX_9CgLYJW5z28D-dwdtBmo9lQCO1h0yCYEuuwHtRuDGJibhhMGCa2NlCGcNvSmRBiM70JpbokJt9GuSDwXZMxQW1CSQYN4SmCKFy-PmqLOEziUFt8zSHqQb8D7RBGg9RPk-dh0u3CuAOjmQZROxlPNQij5aCn6RrcT-DtI31qEM-gP_lLviy-58lnD0btlG8ve-H_tFXMqietf-hAdKctphN4j3fRlle5DFTuV7OofHxULpzqpbOTYiFf0pWwSLoQY-5KbEtVVYx5nlLCFsSsMWxhF9sVbkple6kngnDJahYnLqGcKuF5Lpc0iw7WsY2W59SrvtOs-Cu9aDr1lpM_LxcdZkoqSYrur9G6HwTOdcu_qrRuHcqJtASmP7lWpco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CYCR
DOI 10.21326/ksdt.2015..47.016
DatabaseNam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의 공동디자인 전략 유형 - 사용자 참여디자인 접근법을 위한 공동디자인 유형의 개념적 구조
Typology of Co-design Strategy in NPD Process - A Conceptual Framework of Co-design Typology for User Participatory Design Approach
EISSN 2586-4777
EndPage 196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409392
3529671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HZB
M~E
Q5X
ACYCR
ID FETCH-LOGICAL-e762-47115b9189ece44ffee78720d4161b18a509e8f0d4272594d652b2353e7ffb593
ISSN 2233-9205
IngestDate Tue Nov 21 21:37:53 EST 2023
Thu Aug 21 02:14:07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English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762-47115b9189ece44ffee78720d4161b18a509e8f0d4272594d652b2353e7ffb593
Notes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G704-000594.2015..47.013
PageCount 1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409392
kiss_primary_352967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505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5-05-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5
  year: 2015
  text: 201505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한국디자인포럼
PublicationTitleAlternate 한국디자인포럼
PublicationYear 2015
Publisher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SSID ssib044738232
ssib027980826
Score 1.5632929
Snippet 지난 수년간 많은 마케팅 연구자들은 신제품과 서비스 디자인 개발에서 소비자와 기업 간의 협력에 대한 주제에 매료되어 왔다(Cavallone and Cassia, 2012). 하지만 대부분의 신제품 개발은 진보된 기술력의 부족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니즈의 이해 부족으로 실패한다(von...
SourceID nr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85
SubjectTerms Co-Design
New Product Development
Participatory Design
User-Centred Design
공동디자인
디자인
사용자 중심 디자인
신제품 개발
참여 디자인
Title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의 공동디자인 전략 유형 - 사용자 참여디자인 접근법을 위한 공동디자인 유형의 개념적 구조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52967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92570
Volume 4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디자인포럼, 2015, 0(47), , pp.185-196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A-1XryIUsX6RQTntGTNx0wzc0x2U6pQTxV6C81uorKwlbZ70IOgrCB4sEqXtrIt61HoYVGKPfQv2p3-D743-Whsi7TCkp28efPmN-9N8uY7mvawGZtuFEemISKOW3LiCN6DCTW4aDbAQbsNqoYu5p_OzD2jTxbZ4sSlcWnVUmctqjbenLmv5H-sCjSwK-6SvYBlC6FAgDDYF65gYbiey8YkqBHuE8_EAFxFjQR1ImzCeYUEHvFTkp8GUpJD_FrOzjAgXCKUAE4VN1BABi-4GQrgs0QIDAiKP2QKsmTA7SO3EgkykCmAZIokFBVBcciuYigit4mXZuQRTxTCVBwg9XkGy6udI0dhKaCuKhaU1M6LVQcwOQaEVceIkhbOX66_C3FCQ7mKOcvSoRasNI5l5fQs4Ct3Awo0OVv9HxiQGXBm2pglfjGwXbKaApdqn6Ps48m-F5W51512pd5plUd4LKYWJ5jFM3lxSJ4KqOrHU2xODoUprdbRwLx27GugkegYwjZZ2TGmR6Fmns1Kv6x00uPalqM-EtpabeLKZItVq9StmtaJ483TBhPO8eN5D5dt11VrKubfBvnL33YFN0t9XUpdnKLGWcACXLrpTWX56FSG0KaCLtcqtBHbK0mpjbhwTbuade50L31Sr2sTreUpbVt-GshB_-jrR3007I-HfX3061AOenJzXXb7cmcL7vfHn7fHGxtyd13uHOhy0B3v7uuyPzja6umGLt_vyW8_IFKXwwO5uVfm_DL6fTj-2ZM7XeDvHvX6p6UpMSofyP7Duhy800f7e_L78Ia2MBss1OaM7IMoRuzi5kYXum-RsLiIGzGlSRLH4G5ts4mDFJHFl6DxH_ME7m3XZoI2Z5gd2Q5zYjdJIiacm9pke7kd39J0kws86I8t4YsZV7nTZGbJSprg0qMEdD-tTaEyw1fpkTdhZrpp7QEoN2w1XoZ4LD3-P18OWyshdL4fh9QU0Nu6fXbSO9qV47p9V5tcW-nE96A9vxbdV_XgDwTR0bE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8B%A0%EC%A0%9C%ED%92%88+%EA%B0%9C%EB%B0%9C+%EA%B3%BC%EC%A0%95%EC%97%90%EC%84%9C%EC%9D%98+%EA%B3%B5%EB%8F%99%EB%94%94%EC%9E%90%EC%9D%B8+%EC%A0%84%EB%9E%B5+%EC%9C%A0%ED%98%95+-+%EC%82%AC%EC%9A%A9%EC%9E%90+%EC%B0%B8%EC%97%AC%EB%94%94%EC%9E%90%EC%9D%B8+%EC%A0%91%EA%B7%BC%EB%B2%95%EC%9D%84+%EC%9C%84%ED%95%9C+%EA%B3%B5%EB%8F%99%EB%94%94%EC%9E%90%EC%9D%B8+%EC%9C%A0%ED%98%95%EC%9D%98+%EA%B0%9C%EB%85%90%EC%A0%81+%EA%B5%AC%EC%A1%B0&rft.jtitle=%ED%95%9C%EA%B5%AD%EB%94%94%EC%9E%90%EC%9D%B8%ED%8F%AC%EB%9F%BC&rft.au=%EC%84%9C%ED%98%84%EB%8D%95&rft.au=Suh+Hyun+Duk&rft.date=2015-05-30&rft.pub=%ED%95%9C%EA%B5%AD%EB%94%94%EC%9E%90%EC%9D%B8%ED%8A%B8%EB%A0%8C%EB%93%9C%ED%95%99%ED%9A%8C&rft.issn=2233-9205&rft.volume=47&rft.spage=185&rft_id=info:doi/10.21326%2Fksdt.2015..47.016&rft.externalDocID=352967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33-920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33-920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33-920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