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정심다라니경』의 판본과 삽화에 관한 연구
본고는 『불정심다라니경』의 판본과 삽화를 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려시대 밀교신앙의 성행과 함께 간행된 『불정심다라니경』은 고려시대에는 권력층위주의 호신용으로 주로 간행되었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1485년 인수대비의 발원으로 간행된 왕실발원본이 간행되었으며 이후에는 여러 지역의 사찰에서 간행하였다. 2. 『불정심다라니경』의 판본은 크게 왕실발원본(1485)과 독자적으로 간행된 판본이 있으며, 해탈암본(1561)은 왕실발원본 계열의 판본이다. 3. 성화본과 왕실발원본은 경문의 배열과 구성이 같고, 도상이 유사하...
Saved in:
Published in | 서지학연구, 0(60) pp. 347 - 37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서지학회
31.12.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5246 2671-8758 |
DOI | 10.17258/jib.2014..60.347 |
Cover
Summary: | 본고는 『불정심다라니경』의 판본과 삽화를 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려시대 밀교신앙의 성행과 함께 간행된 『불정심다라니경』은 고려시대에는 권력층위주의 호신용으로 주로 간행되었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1485년 인수대비의 발원으로 간행된 왕실발원본이 간행되었으며 이후에는 여러 지역의 사찰에서 간행하였다.
2. 『불정심다라니경』의 판본은 크게 왕실발원본(1485)과 독자적으로 간행된 판본이 있으며, 해탈암본(1561)은 왕실발원본 계열의 판본이다.
3. 성화본과 왕실발원본은 경문의 배열과 구성이 같고, 도상이 유사하다. 또한 간행시기가 10년 이내로 근접하다. 특히 郭 안의 기록이 일치하는 점 등은 왕실발원본의 발문에서 언급한 ‘唐本을 본떴다’는 기록의 唐本이 成化本으로 볼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된다.
4. 신광사본(1711)에 수록된 삽화는 왕실발원본을 모방하여 더욱 간략하게 변형되었다.
특히 음영을 넣은 의복 표현, 사물, 여백 등의 간략화가 특징이다. This study dealt with the editions and its illustrations of Buljungsim-dhara nikyung (佛頂心陀羅尼經), we could know the facts as follows ;
1. Buljungsim-dharanikyung(佛頂心陀羅尼經) is mostly published by the elite or power structure in Koryo(高麗) Dynasty with the purpose of their self- protection. In the early of the Chosun(朝鮮) Dynasty,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with the sponsor of Insoodaebi(仁粹大妃) at royal family in 1485. The rest editions of Chosun(朝鮮) were published one at the temple in various area.
2. The editions of Buljungsim-dharanikyung(佛頂心陀羅尼經) is generally divided into royal family-sponsored editionsn(王室發願本), Korean annotated ones so forth. The royal family-sponsored editions(王室發願本) is printed in 1485 and 1561 at Haetalam(解脫菴) has same series.
3. Sungwhabon(成化本) and Royal family-sponsored editionsn(王室發願本) has The arrangement, the position of the text and Illustrations has similar pattern. Also the two books has the same number of line at one page and the number of character per line. So we could estimate the publication date is in the scope of 10 years between two books. Especially, the same pattern of the record in four border of two books is the key ground that ‘edition of Tang periods(唐本)’ is the right the book of sungwha periods, so called sungwhabon(成化本).
4. The edition of Sinkwang temple(新光寺本) in 1711 has more simple pattern in the illustrations. Especially in the area of clothes, the stuff, blank space of the illustrations. It showed us that simplification of illustration is occurred during the re-engraving process likewise the same pattern in the content character. KCI Citation Count: 5 |
---|---|
Bibliography: | G704-000060.2014..60.010 |
ISSN: | 1225-5246 2671-8758 |
DOI: | 10.17258/jib.2014..60.3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