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관점으로 본 7차 이후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변천 양상

우리나라는 교과서의 위상을 학교 수업 중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속에서 가장 중요한 매개체라고 보아왔다. 그러나 교육을 보는 기본 관점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지지하는 구성주의 학습 이론이 도입된 이후,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도 변화가 생겼다. 여러 선행연구에 따르면 구성주의 철학은 7차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7차 교과서는 이전 차수 교과서와 다르게 구성주의적 관점을 교과서에 도입함으로써 교과서 구현의 여러 측면에서 큰 변화를 보였음을 언급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관점으로 7차 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6(2) pp. 87 - 108
Main Authors 최혜령, 신항균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31.05.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3229
2635-5914
DOI10.54340/kseme.2022.26.2.1

Cover

Abstract 우리나라는 교과서의 위상을 학교 수업 중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속에서 가장 중요한 매개체라고 보아왔다. 그러나 교육을 보는 기본 관점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지지하는 구성주의 학습 이론이 도입된 이후,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도 변화가 생겼다. 여러 선행연구에 따르면 구성주의 철학은 7차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7차 교과서는 이전 차수 교과서와 다르게 구성주의적 관점을 교과서에 도입함으로써 교과서 구현의 여러 측면에서 큰 변화를 보였음을 언급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관점으로 7차 이후 각 차수별 교과서를 살펴보았을 때 교과서에 구성주의 관점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 변천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7차 이후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구성주의에서 강조하는 지식의 조작적 성격과 사회적 성격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으며 학생의 다양성을 어떻게 고려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7차 이후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는 교과서의 차시 내 전개 방식과 발문 형식의 측면에서 각 차수별로 변화 양상을 보였으며, 기타 차시의 구성 방식 또한 학습자의 다양성을 반영하여 교과서의 차수에 따라 지속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교과서의 개발 방향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status of textbooks in Korea was an important medium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Recently, constructivism that supports learner-centered education has been introduced as a basic perspective on education, and textbooks have also changed. According to several previous studies, constructivism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7th math textbook. The 7th textbook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various aspects of textbook implementation by introducing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into the textbook.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how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is implemented in textbooks for each order after the 7th textbook and to explore the changes. To this study, we examined how the operati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emphasized in constructivism are being implemented in math textbooks after the 7th textbooks and also how students' diversity was considered. As a result,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fter the 7th curriculum, the method of developing activities and questioning of textbooks showed learner-centered changes differently than before. In addition, the contents of extra-lessons according to order of curriculum were continuously changing and reflecting the diversity of learners. Through thi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on the future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were derived.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우리나라는 교과서의 위상을 학교 수업 중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속에서 가장 중요한 매개체라고 보아왔다. 그러나 교육을 보는 기본 관점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지지하는 구성주의 학습 이론이 도입된 이후,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도 변화가 생겼다. 여러 선행연구에 따르면 구성주의 철학은 7차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7차 교과서는 이전 차수 교과서와 다르게 구성주의적 관점을 교과서에 도입함으로써 교과서 구현의 여러 측면에서 큰 변화를 보였음을 언급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관점으로 7차 이후 각 차수별 교과서를 살펴보았을 때 교과서에 구성주의 관점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 변천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7차 이후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구성주의에서 강조하는 지식의 조작적 성격과 사회적 성격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으며 학생의 다양성을 어떻게 고려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7차 이후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는 교과서의 차시 내 전개 방식과 발문 형식의 측면에서 각 차수별로 변화 양상을 보였으며, 기타 차시의 구성 방식 또한 학습자의 다양성을 반영하여 교과서의 차수에 따라 지속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교과서의 개발 방향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status of textbooks in Korea was an important medium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Recently, constructivism that supports learner-centered education has been introduced as a basic perspective on education, and textbooks have also changed. According to several previous studies, constructivism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7th math textbook. The 7th textbook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various aspects of textbook implementation by introducing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into the textbook.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how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is implemented in textbooks for each order after the 7th textbook and to explore the changes. To this study, we examined how the operati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emphasized in constructivism are being implemented in math textbooks after the 7th textbooks and also how students' diversity was considered. As a result,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fter the 7th curriculum, the method of developing activities and questioning of textbooks showed learner-centered changes differently than before. In addition, the contents of extra-lessons according to order of curriculum were continuously changing and reflecting the diversity of learners. Through thi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on the future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were derived.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최혜령
신항균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최혜령
  organization: (서울용답초등학교)
– sequence: 2
  fullname: 신항균
  organization: (서울교육대학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4378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LtKA0EYhQeJYIx5AatpLXad_ee2U4bgJRAQJIXdsjvOSogmkH2BiClSRkSJuAHFxsLCmAQs8kS7k3dwvTTnO8V3zjYqdXtdg9CuR1zOKCP7ncRcGRcIgAvCBdfbQGUQlDtceayEyh6AcmgRW6iaJO2IECaUTwSU0Vm2fLfDmX1d2ekEZ4uBfR7bdJW_pDiff2FpP96wnS7WT0NsF6P8bra-f8yWY2xHk6LhombzlR2mP-t8PrCfKbYPt_bmegdtxuFlYqr_rKDW4UGrfuw0T44a9VrTMVxSRwpf-GHEiYgphDLWAJ6QHgXNSUgKwwCLQmEiXYia-0xqFitOtZJcczinFbT3d9vtx0FHt4Ne2P7lRS_o9IPaaasRKCWl8in9BiQgcaY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OI 10.54340/kseme.2022.26.2.1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The Change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fter the 7th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EISSN 2635-5914
EndPage 10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977983
GroupedDBID ACYCR
M~E
ID FETCH-LOGICAL-e573-76868ab506f32a7fc22167132c50a0573e24ba6ebc686c5847c4f953c975c52d3
ISSN 1229-3229
IngestDate Tue Nov 21 21:41:18 EST 2023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573-76868ab506f32a7fc22167132c50a0573e24ba6ebc686c5847c4f953c975c52d3
PageCount 2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97798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205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2-05-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5
  year: 2022
  text: 202205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6(2)
PublicationYear 2022
Publisher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SSID ssib004698062
ssib036279150
ssib044738231
ssib023739011
Score 1.7953205
Snippet 우리나라는 교과서의 위상을 학교 수업 중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속에서 가장 중요한 매개체라고 보아왔다. 그러나 교육을 보는 기본 관점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지지하는 구성주의 학습 이론이 도입된 이후,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도 변화가 생겼다. 여러 선행연구에 따르면...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87
SubjectTerms 교육학
Title 구성주의 관점으로 본 7차 이후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변천 양상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43786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22, 26(2), , pp.87-10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tV3Na9RAFA9tvXgRRcVvgjinJWtmksnMHJPtShXqqUJvyyadiCx2oR8XD1Kxhx4rolTcguLFg6B1W_Cwf9Hu9H_wvcl-pB9CFbyEx3tv3vxmXpJ5M3kzcZx7LFX-Eu7G0TC_8kINF6V55tGgyUPNda7sgv7842juSfhokS9OTX8vZS2tr6XV7MWp-0r-xavAA7_iLtm_8OzYKDCABv_CFTwM1zP5mNRjknAS10i9RmRIEopEHJDEctQsUbJilULMaEAZ5jVYWc0qJSSmQFeQSqCcrAiUJj6JsaS1AYXrYCmBGiwLjUksoAJbI8g4UWoIRvlWCTSUHMsqY6ElRgABsjqC1IIokCaswAXCiCjbMAkyWo6mR_Zro46YPQ3fcTAlLLYf4nIbgIiJtKBigVDgFsT_U0pWWjOxtRT1InBLJNi3yREVaXmFbYQG1QrglBdaYI4-zBEYPhr_r0ml4Ycx5cErtgCrLQ9PC_K4omFpmBnGKEXAQu3BGCfGQtwzjNmjrVX9HM-DZazKoiqr0snIP8p2OBYQHDl6vJU9azxtN1orDZhgPWwomC8oGUw755gQNi9i_mW99JlcSX9y_iQLBC6pjQcQeCcIRSef0cNQ2M_QuCgyanmxsc2Cv38COgSAyyt5KQBcuOhcGM7c3Lh4DC85U632ZWexf_DNbO6ZLz2zu-P29zfMp23T6Q0-d9xB95crzI-vrtndP_y46Zr9rcHbvcN3H_oH267Z2gHKBbLf7ZnNDpYedDfMz45r3r8xr19dcRYe1Bdqc97wZyWe5iLwYNYeyWbK_SgPWFPkGWM0EjRgGfebeOioZmHajHSagWKGuQlZmCseZErwjLOl4Kozs9xe1tfwFAUfDKWpn9NmmEGXgrEoyKjQOZWh9K87d6ETrGP-7KAbZ1G66Zyf3Oi3nJm1lXV9G2LstfSO9etvKgWi4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5%AC%EC%84%B1%EC%A3%BC%EC%9D%98+%EA%B4%80%EC%A0%90%EC%9C%BC%EB%A1%9C+%EB%B3%B8+7%EC%B0%A8+%EC%9D%B4%ED%9B%84+%EC%B4%88%EB%93%B1%ED%95%99%EA%B5%90+%EC%88%98%ED%95%99+%EA%B5%90%EA%B3%BC%EC%84%9C%EC%9D%98+%EB%B3%80%EC%B2%9C+%EC%96%91%EC%83%81&rft.jtitle=%ED%95%9C%EA%B5%AD%EC%B4%88%EB%93%B1%EC%88%98%ED%95%99%EA%B5%90%EC%9C%A1%ED%95%99%ED%9A%8C%EC%A7%80%2C+26%282%29&rft.au=%EC%B5%9C%ED%98%9C%EB%A0%B9&rft.au=%EC%8B%A0%ED%95%AD%EA%B7%A0&rft.date=2022-05-31&rft.pub=%ED%95%9C%EA%B5%AD%EC%B4%88%EB%93%B1%EC%88%98%ED%95%99%EA%B5%90%EC%9C%A1%ED%95%99%ED%9A%8C&rft.issn=1229-3229&rft.eissn=2635-5914&rft.spage=87&rft.epage=108&rft_id=info:doi/10.54340%2Fkseme.2022.26.2.1&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997798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3229&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3229&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3229&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