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을 위한 시각예술 수업 방안 연구 - 창작실기 수업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시각예술 분야에서의 비판적 사고의 관련성과 필요성을 모색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을 위한 시각예술 수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려는 이론적 연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시각예술 창작실기 교육과정에 접목될 수 있는 비판적 사고 교육의 기본적 방향을 탐색하고, 이를 잘 적용할 수 있는 교육의 틀을 구성해보려 한다. 본론에서는 우선 시각예술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 능력이 왜 필요한 것인지 그 이유와 정당성을 논의하고, 기존 시각예술 교육의 문제점들을 지적한 뒤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양교육연구, 9(2) pp. 309 - 346
Main Authors 서민규, 이봄순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양교육학회 30.06.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3212
2714-1101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시각예술 분야에서의 비판적 사고의 관련성과 필요성을 모색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을 위한 시각예술 수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려는 이론적 연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시각예술 창작실기 교육과정에 접목될 수 있는 비판적 사고 교육의 기본적 방향을 탐색하고, 이를 잘 적용할 수 있는 교육의 틀을 구성해보려 한다. 본론에서는 우선 시각예술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 능력이 왜 필요한 것인지 그 이유와 정당성을 논의하고, 기존 시각예술 교육의 문제점들을 지적한 뒤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순서로 논의를 진행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기존의 창작실기 수업처럼 기본적인 스케치와 데생능력 등 재료를 다루는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예술 전공자들 뿐 아니라 비예술 전공의 학생들도 충분히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시각문화에 익숙한 요즘의 학생들을 위한 비판적 사고 교육의 한 방안으로 창작활동을 매개로 한 교양수업을 개설하여 텍스트의 분석과 평가를 중심으로 하던 기존의 비판적 사고 교육의 한계점들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연구를 심화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시도가 갖는 의미와 교육적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실증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e necessity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at the field of visual art, and suggests a detailed educational way of promoting critical thinking skill and attitude in the visual art class. For this, the main part of this study goes through the reason and justification of the needs of critical thinking skill and attitude in visual art education,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curriculum of visual art, and the specific alternative method to overcome that problems. This study additionally opens the possibility of a new general education class for the non-art- major students, because the suggesting new class does not need any prepared technique of treating basic art skills like dessin and drawing. The current university students are very familiar with visual culture rather than traditional text-oriented environment. Thus we even expect that the new critical thinking curriculum in the medium of art creating will supplement the existing critical thinking class focused on just text analysis and evaluation. For the future study we suggest the empirical research to show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is curriculum development. KCI Citation Count: 1
AbstractList 본 연구는 시각예술 분야에서의 비판적 사고의 관련성과 필요성을 모색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을 위한 시각예술 수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려는 이론적 연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시각예술 창작실기 교육과정에 접목될 수 있는 비판적 사고 교육의 기본적 방향을 탐색하고, 이를 잘 적용할 수 있는 교육의 틀을 구성해보려 한다. 본론에서는 우선 시각예술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 능력이 왜 필요한 것인지 그 이유와 정당성을 논의하고, 기존 시각예술 교육의 문제점들을 지적한 뒤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순서로 논의를 진행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기존의 창작실기 수업처럼 기본적인 스케치와 데생능력 등 재료를 다루는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예술 전공자들 뿐 아니라 비예술 전공의 학생들도 충분히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시각문화에 익숙한 요즘의 학생들을 위한 비판적 사고 교육의 한 방안으로 창작활동을 매개로 한 교양수업을 개설하여 텍스트의 분석과 평가를 중심으로 하던 기존의 비판적 사고 교육의 한계점들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연구를 심화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시도가 갖는 의미와 교육적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실증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e necessity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at the field of visual art, and suggests a detailed educational way of promoting critical thinking skill and attitude in the visual art class. For this, the main part of this study goes through the reason and justification of the needs of critical thinking skill and attitude in visual art education,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curriculum of visual art, and the specific alternative method to overcome that problems. This study additionally opens the possibility of a new general education class for the non-art- major students, because the suggesting new class does not need any prepared technique of treating basic art skills like dessin and drawing. The current university students are very familiar with visual culture rather than traditional text-oriented environment. Thus we even expect that the new critical thinking curriculum in the medium of art creating will supplement the existing critical thinking class focused on just text analysis and evaluation. For the future study we suggest the empirical research to show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is curriculum development. KCI Citation Count: 1
Author 서민규
이봄순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서민규
  organization: (건양대학교)
– sequence: 2
  fullname: 이봄순
  organization: (중앙대학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0367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k9LAkEchocwyMzvMNcOCzOzM87uUaQ_ghDE3pfZndkQQ0M_gWGwZIc8mB622EChwMNCBAX1hXZ_fofEPD3w8PLwHqJSt9c1e6jMJOUWpYSWUJm6smbZjLIDVB0M2gEhvOZKR9Ayuim-R-uHR0iHGG5X-UeKi_tlkS7xevoGTxN4HmFIRutpgmGc5NkQ5jHEKYZ4DrM7XGTvMI0xzLL8c4UtDNkvvExgvMi_st1mW1hs3AqSn-I1OUL7kboemOqOFeSdnniNc6t1cdZs1FuWEZJZXGrDVBSSINSaMocQ6diBKwK9ee0SrUVNRVxTZSvBubJDrURgZGCocVzGqV1Bx__Zbj_yO2Hb76n2llc9v9P365de06dUSMdh9h8cfnsY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isual Art Class to Promote Critical Thinking Ability - Focusing on Fine Art Studio Work
EISSN 2714-1101
EndPage 346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157882
GroupedDBID ACYCR
ALMA_UNASSIGNED_HOLDINGS
M~E
ID FETCH-LOGICAL-e572-47de2afc0bcdd12800783b95bd85190dd56af4d1a3a544a3cda5be7be1e892413
ISSN 1976-3212
IngestDate Tue Nov 21 21:35:10 EST 2023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572-47de2afc0bcdd12800783b95bd85190dd56af4d1a3a544a3cda5be7be1e892413
Notes G704-SER000001745.2015.9.2.003
PageCount 38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157882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5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5-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15
  text: 2015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교양교육연구, 9(2)
PublicationYear 2015
Publisher 한국교양교육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교양교육학회
SSID ssib004697851
ssib009345133
ssib044738157
Score 1.5647584
Snippet 본 연구는 시각예술 분야에서의 비판적 사고의 관련성과 필요성을 모색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을 위한 시각예술 수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려는 이론적 연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시각예술 창작실기 교육과정에 접목될 수 있는 비판적 사고 교육의...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309
SubjectTerms 학제간연구
Title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을 위한 시각예술 수업 방안 연구 - 창작실기 수업을 중심으로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0367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교양교육연구, 2015, 9(2), 28, pp.309-346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Pi9NAFA-7e_Iiior_CeKcSiTJzDSZY5JmWQU9VdhbySSpSKGV0r3sQVjpQnE9uIe6e6hSYRcUeiiIoKBfqJ1-B99M0m5WK1Qvw8ubN--9mTfJ_CYzmWja_QhzylLiGi7mMEGJYLrDYp4YsZXUOaPMwqk67fNJeespebRNt9fW9wu7lnY6_EG8u_S7kv-JKvAgrvIr2X-I7EIpMICG-EIKEYZ0pRij0Ec-Qy5BYQW5AWImCgPkmQAPS5JybeQFKPSQj4FbkuKuhzwqCZDyaEkWZBR5rhRnZcQsRYA2ojSwINcOQizIlPqSK5VKO0rIRa5SAKkyoyiW6XSQS5VlEPeYYlHILuWZwJWqwIWgZCgmcPyKyg1zd8CiR5SYC7lL9J_3GWTPygV5LfxAVdoCuojHc-NZw-X1L3ICWeQPT2W_ZADN7cJ7FGWQqKYBO5vKIIg7c4O5CLjpE9UcRLVsVpWg-PLFovOdgvntsmj_uQOV1dzOSjFFeNA_CgMQwEMD2_nW8lTxbMciBsA0qzDQYJMVMAsmS44T_22YP3egeCN-XnvWqjXaNZg2PazJE5dgqrWurWNLDhaPX4aFpW_mFJeOGSbzfwLJa0IcAH3qRN2F74DTmu16AadVL2kX8wmW7mV3y2VtrdG6or2Yfu_O3rwVwz1dvBpNvgz16evT6fBUn_U_iXeH4n1XF4PurD_QxcFgMt4Txz3RG-qidyyO9vXp-LPo93RxNJ58HemGLsY_xYdDcXAy-TbOZZSGE-CNxODH9OPgqlbdDKvBlpH_a8RIqWMbxElSO6rHJo-TBCCbRM4YnlU8gaozM0loOaqTxIpwRAmJcJxElKcOT63UZXJp-pq20Ww10-uaHlk8Bm0mPOwSGBAZ43EUkTIgAxNHKeY3tHvQOCoCf4_EzVWEbmkXzvrkbW2j095J7wBE7vC7KoS_ABx9nLc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B9%84%ED%8C%90%EC%A0%81+%EC%82%AC%EA%B3%A0+%EB%8A%A5%EB%A0%A5+%ED%95%A8%EC%96%91%EC%9D%84+%EC%9C%84%ED%95%9C+%EC%8B%9C%EA%B0%81%EC%98%88%EC%88%A0+%EC%88%98%EC%97%85+%EB%B0%A9%EC%95%88+%EC%97%B0%EA%B5%AC+-+%EC%B0%BD%EC%9E%91%EC%8B%A4%EA%B8%B0+%EC%88%98%EC%97%85%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A%B5%90%EC%96%91%EA%B5%90%EC%9C%A1%EC%97%B0%EA%B5%AC%2C+9%282%29&rft.au=%EC%84%9C%EB%AF%BC%EA%B7%9C&rft.au=%EC%9D%B4%EB%B4%84%EC%88%9C&rft.date=2015-06-30&rft.pub=%ED%95%9C%EA%B5%AD%EA%B5%90%EC%96%91%EA%B5%90%EC%9C%A1%ED%95%99%ED%9A%8C&rft.issn=1976-3212&rft.eissn=2714-1101&rft.spage=309&rft.epage=346&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157882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6-321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6-321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6-321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