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유서의 편찬과 분류에 대한 연구

유서는 각종 전적 중의 관련 자료를 집록하고 유별 또는 자별 등으로 편집한 전통적 참고정보원이다. 이 연구는 중국의 유서를 대상으로 편찬과 분류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삼국시대에 편찬된 최초의 유서 『황람(皇览)』이래 청대까지의 시대별 유서의 편찬과 편찬의 특징을 살폈다. 둘째, 유서의 분류의 경우 우선 역사적 분류로서 시대별 분류와 분류법별 분류와 유별 분류를 분석하였다. 현대적 분류의 경우 편집과 편찬에 의한 분류와 내용 배열방식에 따른 분류 그리고 수록범위에 따른 분류 외에 현대의 문헌분류법에 의한 분류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서지학연구, 0(59) pp. 201 - 228
Main Author 한미경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서지학회 30.09.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246
2671-8758
DOI10.17258/jib.2014..59.201

Cover

Abstract 유서는 각종 전적 중의 관련 자료를 집록하고 유별 또는 자별 등으로 편집한 전통적 참고정보원이다. 이 연구는 중국의 유서를 대상으로 편찬과 분류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삼국시대에 편찬된 최초의 유서 『황람(皇览)』이래 청대까지의 시대별 유서의 편찬과 편찬의 특징을 살폈다. 둘째, 유서의 분류의 경우 우선 역사적 분류로서 시대별 분류와 분류법별 분류와 유별 분류를 분석하였다. 현대적 분류의 경우 편집과 편찬에 의한 분류와 내용 배열방식에 따른 분류 그리고 수록범위에 따른 분류 외에 현대의 문헌분류법에 의한 분류를 살폈다. 한국과 일본의 문헌분류법의 경우 유서를 백과사전과 함께 분류하고 있어 별도의 분류 항목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현대에 있어서의 유서의 참고정보원으로서의 가치와 중요성을 기술하였다. Yuseo is a traditional reference information resource which is complied with concerned data of a various books and edited by type or character of such data.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studying compilation and classification of China’s Yuseo. First, Yuseo’s compi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mpilation by period, which covers times from the compilation of the first Yuseo called Hwangram until Qing Dynasty, were examined. Second, as for compilation of Yuseo, classification by period, classification by classification method, and classification by types were analyzed as historical classification. With regard to modern classification, this study included classification by modern libray classification in addition to classification by editing and compilation, classification by content arrangment, and classification by scope. This study proposed establishment of a separate classification item in that library classification of Korea and Japan classifies Yuseo as part of encyclopedia in their library classifications. And this study also described the value and importance of Yuseo as the reference information source in modern times. KCI Citation Count: 5
AbstractList 유서는 각종 전적 중의 관련 자료를 집록하고 유별 또는 자별 등으로 편집한 전통적 참고정보원이다. 이 연구는 중국의 유서를 대상으로 편찬과 분류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삼국시대에 편찬된 최초의 유서 『황람(皇览)』이래 청대까지의 시대별 유서의 편찬과 편찬의 특징을 살폈다. 둘째, 유서의 분류의 경우 우선 역사적 분류로서 시대별 분류와 분류법별 분류와 유별 분류를 분석하였다. 현대적 분류의 경우 편집과 편찬에 의한 분류와 내용 배열방식에 따른 분류 그리고 수록범위에 따른 분류 외에 현대의 문헌분류법에 의한 분류를 살폈다. 한국과 일본의 문헌분류법의 경우 유서를 백과사전과 함께 분류하고 있어 별도의 분류 항목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현대에 있어서의 유서의 참고정보원으로서의 가치와 중요성을 기술하였다. Yuseo is a traditional reference information resource which is complied with concerned data of a various books and edited by type or character of such data.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studying compilation and classification of China’s Yuseo. First, Yuseo’s compi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mpilation by period, which covers times from the compilation of the first Yuseo called Hwangram until Qing Dynasty, were examined. Second, as for compilation of Yuseo, classification by period, classification by classification method, and classification by types were analyzed as historical classification. With regard to modern classification, this study included classification by modern libray classification in addition to classification by editing and compilation, classification by content arrangment, and classification by scope. This study proposed establishment of a separate classification item in that library classification of Korea and Japan classifies Yuseo as part of encyclopedia in their library classifications. And this study also described the value and importance of Yuseo as the reference information source in modern times. KCI Citation Count: 5
Author 한미경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한미경
  organization: (경기대학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1511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T1Lw0AYgA-pYKz9AW5ZHRLf-8rdjaX4USgIkj1ckjuJlQSaP-DQUUQHaYcKDrpVKEjFwV-UXP-Dn9PzTM-zizplVRqE9jGEWBAuDy-LNCSAWRhy9SNbyCORwIEUXHaQhwnhAScs2kG9ui5SAIyZYkJ6iLjn-2b96rvFk5su3OPc39x-uNWyefv02_dp-zJ3szu_vbnePCx8N1s16-Ue2rb6qja9f3ZRfHwUD06D0dnJcNAfBYYLCKzmEc-V1pn83hGJtaIGeAaW5zhXMtMSMo05MaAYBUs4BpulTKiI5cZS2kUHf9lyYpNxViSVLn55USXjSdI_j4cJJiAUBfoFdvNY_g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OI 10.17258/jib.2014..59.201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 Study on Compilation and Classification of China’s Yuseo
EISSN 2671-8758
EndPage 22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207930
GroupedDBID ACYCR
ALMA_UNASSIGNED_HOLDINGS
M~E
ID FETCH-LOGICAL-e570-fa565d9aac8001281a93e05c0f5d1d98ca80ca152e09430f2510fcb47964def33
ISSN 1225-5246
IngestDate Thu Jan 02 03:22:12 ES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570-fa565d9aac8001281a93e05c0f5d1d98ca80ca152e09430f2510fcb47964def33
Notes G704-000060.2014..59.007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15118
PageCount 28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20793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409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4-09-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9
  year: 2014
  text: 201409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서지학연구, 0(59)
PublicationYear 2014
Publisher 한국서지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서지학회
SSID ssib001149478
ssib006781272
ssib022229402
ssib044760735
Score 1.5458602
Snippet 유서는 각종 전적 중의 관련 자료를 집록하고 유별 또는 자별 등으로 편집한 전통적 참고정보원이다. 이 연구는 중국의 유서를 대상으로 편찬과 분류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삼국시대에 편찬된 최초의 유서 『황람(皇览)』이래 청대까지의 시대별 유서의 편찬과 편찬의 특징을...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201
SubjectTerms 문헌정보학
Title 중국 유서의 편찬과 분류에 대한 연구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1511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서지학연구, 2014, 0(59), , pp.201-22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dFjrxYsoKmpVgjinknWSmWQyxyS7pQr1tEJvSzKZSF3YhWV78SAeehTRg7SHFTzorUJBKh78Bf6U3fQ_-F42u5u2KtVLeLyZN19vePPezHsvhDzIeKp4prktTWBsITJjp37q2D6XeZKaPPd9DHDefOJvPBWPt7ytRuNnzWtpZ5Q29YvfxpX8D1cBB3zFKNl_4OyiUUAADPyFL3AYvufiMW3HNBRUObQd0sijYWsNUQqwDIFAIIyYFlUBlLVo0KZRgKiI0TAu6TiNYiiLaOQjBQChB9VLOkkVK8uCGH0ioAEFZfFaVQiNVD3HdS33RN-hrFGqs4TIZEYxw13tVmLRUzmc9XLMUN-lUat-T-GIuVNFtbNqdNWK_HUsAIQwtZpkBsEDVnN1X2lKnOtLB8T5LPf7XAJXdyOzw9ydRZ6fOSek62Hww_PtFL37RLPpYdCSszwU544Ap87KE1m5e3q7-2zQ7Q27YHs86jouJhtkF8hFV8rSZWDzZXupmoIpWk-dBkqC4y5jll38r7pYpmITQvogfdEDdzHz6lEex_7w9MhBNeoP85pq1LlCLlc2jRXONuhV0ugNrhG3-PRucvTFKsYfi91x8WHfOn7zvTg8mHz9YU2_7U4_7xd7b63p61fH78dWsXc4OTq4Tjrr7U68YVc_6LCNJ5mdJ2ANZCpJdDB7kU0UN8zTLPcyJ1OBTgKmE1AQDbqvshxUaZbrVGD0c2Zyzm-Qlf6gb24Si2t0ODaBNrAKvswUB71T5xnH9yef61vkPkyvXPE_r_zt81RaJZeWu_MOWRkNd8xd0CtH6b2SYb8AMQVaGw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4%91%EA%B5%AD+%EC%9C%A0%EC%84%9C%EC%9D%98+%ED%8E%B8%EC%B0%AC%EA%B3%BC+%EB%B6%84%EB%A5%98%EC%97%90+%EB%8C%80%ED%95%9C+%EC%97%B0%EA%B5%AC&rft.jtitle=%EC%84%9C%EC%A7%80%ED%95%99%EC%97%B0%EA%B5%AC%2C+0%2859%29&rft.au=%ED%95%9C%EB%AF%B8%EA%B2%BD&rft.date=2014-09-30&rft.pub=%ED%95%9C%EA%B5%AD%EC%84%9C%EC%A7%80%ED%95%99%ED%9A%8C&rft.issn=1225-5246&rft.eissn=2671-8758&rft.spage=201&rft.epage=228&rft_id=info:doi/10.17258%2Fjib.2014..59.201&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20793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524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524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524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