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준비생의 우울, 사회적지지, 자기통제력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취업준비생의 사회적지지, 우울, 자기통제력과 취업스트레스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의 사회적지지 4.13점, 우울 0.79점, 자기통제력 3.10점, 취업스트레스 2.15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취업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는 성별에서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학년, 전공, 성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취업 스트레스는 취업스트레스-우울(r=.625, p=.001), 취업스트레스-자기통제력...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9; no. 5; pp. 125 - 131
Main Authors 박효진, 유은주, 이화명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31.10.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Cover

Loading…
Abstract 본 연구는 취업준비생의 사회적지지, 우울, 자기통제력과 취업스트레스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의 사회적지지 4.13점, 우울 0.79점, 자기통제력 3.10점, 취업스트레스 2.15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취업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는 성별에서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학년, 전공, 성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취업 스트레스는 취업스트레스-우울(r=.625, p=.001), 취업스트레스-자기통제력(r=.251, p=.001)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 났으며, 취업스트레스-사회적지지(r=-.519, p=.001)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우울은 우울-사회통제력(r=.300, p=.001)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우울-사회적지지(r=-.503, p=.001)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난다. 사회적지지는 사회적지지-자기통제력(r=-.059, p=.414)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취업스트레스의 영향요인으로는 사회적지지, 우울이 나타났다.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Lis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social support, depression, self-control, and employment stress levels of job seekers and to identify their correl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scored 4.13 points for social support, 0.79 points for depression, 3.10 points for self-control and 2.15 points for employment stress. The results of analyzing employment str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major, and grades. Employment stress of the subjects is employment stress-depression (r=.625, p=).001), employment stress - self-control (r=.251, p=.001) and employment stress - social support (r=-, 519, p=).001)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Depression is depression-social control (r=.300, p=).001) shows a static correlation and depression-social support (r=-.503, p=).001)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Social support was not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self-control (r=-.059, p=414).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were th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stress. We would like to provide basic data on programs and education to reduce the employment stress of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취업준비생의 사회적지지, 우울, 자기통제력과 취업스트레스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의 사회적지지 4.13점, 우울 0.79점, 자기통제력 3.10점, 취업 스트레스 2.15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취업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는 성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학년, 전공, 성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취업스트레스는 취업스트레스-우울(r=.625, p=.001), 취업스트레스-자기통제력(r=.251, p=.001)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취업스트레스-사회적지지(r=-.519, p=.001)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우울은 우울-사회통제력(r=.300, p=.001)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우울-사회적지지(r=-.503, p=.001)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난다. 사회적지지는 사회적지지-자기통제력(r=-.059, p=.414)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취업스트레스의 영향요인으로는 사회적지지, 우울이 나타났다.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취업준비생의 사회적지지, 우울, 자기통제력과 취업스트레스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의 사회적지지 4.13점, 우울 0.79점, 자기통제력 3.10점, 취업스트레스 2.15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취업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는 성별에서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학년, 전공, 성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취업 스트레스는 취업스트레스-우울(r=.625, p=.001), 취업스트레스-자기통제력(r=.251, p=.001)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 났으며, 취업스트레스-사회적지지(r=-.519, p=.001)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우울은 우울-사회통제력(r=.300, p=.001)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우울-사회적지지(r=-.503, p=.001)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난다. 사회적지지는 사회적지지-자기통제력(r=-.059, p=.414)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취업스트레스의 영향요인으로는 사회적지지, 우울이 나타났다.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uthor 유은주
박효진
이화명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박효진
– sequence: 2
  fullname: 유은주
– sequence: 3
  fullname: 이화명
BookMark eNo9TDtLw1AYvUgFa-1fkCxuBu47uWMpvgtduoek3kCwVmm6uLW-kOLQQWwoVjK06CDYQTH9S-bLfzDQIhw4h_PaRIX2RVuvoSJlNjcxk7Lwr4W9gcphGHiYc4sLRUgRafh5h9EdTHvp4hZuJjCJDBjPYZzsGnD9kY0fIe7DWy9HbrwOf5N5dv8N8Usaz2DyZazmg2k2SNL4IRcwGhrpZwKLKB08GRD1s-fZFlr33Vaoyysuocb-XqN6aNbqB0fVSs3UginT95XEStue22TKsxnFQlKfaJcRwRj3petj6knuu1h4GgvSJBhTzRQRRGDKWAntLG_PgrAbOO3TsOUcV07qNA-psiW2sMWxynvby552O92g2dLOZSc4dztXDmcW5ZL9Adi1fDo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DEWEY 306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Social Sciences (General)
EISSN 2384-0366
EndPage 131
ExternalDocumentID JAKO202329860707409
437246
GroupedDBID M1Z
.UV
JDI
ID FETCH-LOGICAL-e539-ff9609e8bac39b8320562f1ea315334f6af02b64fa05be051c1002e3915150233
ISSN 2384-0358
IngestDate Fri Dec 22 11:59:00 EST 2023
Tue Apr 22 16:20:53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5
Keywords 우울
social support
자기통제력
job stress
job seeker
취업준비생
사회적지지
self-control
depression
취업스트레스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539-ff9609e8bac39b8320562f1ea315334f6af02b64fa05be051c1002e3915150233
Notes KISTI1.1003/JNL.JAKO202329860707409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29860707409&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7
ParticipantIDs kisti_ndsl_JAKO202329860707409
earticle_primary_43724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310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3-10-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0
  year: 2023
  text: 202310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PublicationTitleAlternate 문화기술의 융합
PublicationYear 2023
SSID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core 1.8493367
Snippet 본 연구는 취업준비생의 사회적지지, 우울, 자기통제력과 취업스트레스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의 사회적지지 4.13점, 우울 0.79점, 자기통제력 3.10점, 취업스트레스 2.15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social support, depression, self-control, and employment stress levels of job seekers and to...
SourceID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125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연구도구 4.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사회적지지, 우울, 자기통제력, 취업스트레스 정도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취업스트레스의 차이 4. 취업대상자의 우울, 사회적지지, 자기통제력과 취업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 5. 대상자의 우울, 사회적지지, 자기통제력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Title 취업준비생의 우울, 사회적지지, 자기통제력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37246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29860707409&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Volume 9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dGh78iKKX7VacnBONZLNTJKZY5LdUlaqlxV6W5LNBMTSltpePEjrF1I89CC2LFb20KIHwR4Ut3_Jnf0PvjfJdlOooEIILy9vXua9N5l58_WGkDtB4vupVMxmKY5W1TJlC65yu5NJlqYKkAFuTl584C884s0lb2licqayamlzI73XeXbuvpL_sSrgwK64S_YfLHvKFBAAg33hDhaG-1_ZmDZiGgU0FAjIgAoPgZDj8oVGRCNJBUeMYFTWDU2dSjFnoJBGzggQqGhD6NIwpo06YkVsmDngaxogMFxHQJlANqgErOGB_OpU-DTyypQyxmwAEHrl1yM-d36mRYj5xvSGV5FMiMorQyydOfNu3hDFKKI01EAkC97wjDkGGXz4btX5Hm-DWx4tjYhx0f16EZAU_oMiwKiqTDigB96M41ZlxMSoFoTzSkUVkqBa-JgkRuFDpxS71ByjUXyGBBViuIAY3AgGeveqIzEuqzRhpsIG74fbDitC0Y9aF1n5ibxKS1Er9nuXTket5HM29DfOqXJ_kkyyGh4Lsfi8MaoqXRwM9MYT5C7jGAuyNn42h7meVrWcB9yT46ocnPzAl-Zw0tNcoztWFmXoqWH35XHF1WpdIhdLE1lhQXWZTDxZvUKU_vlF773Wh1uDk1f65YE-2Ld091h3-3ct_eLrsPtO97b15y24APFp91f_ePjmh-59HPSO9MF3q0y-czjc6Q96bwHQe7vW4Ftfn-wPdt5ben97-OHoKmnNN1rxgl2eEWIrj0k7zzFiohJp0mEyhdYJ_fm8phKG_Rie-0nuuKnP88TxUgUNUAdDDis8FQF6Qi5j18jUyuqKukGs3PEyT8nEd4TiTDlpAH0HlijmisxJs2yaXB-pp71WRIJpFwaaJrNGW-2V7Olyuxnef4ilw5XCx1ha3JE3_5h0hlwYl6RbZGpjfVPdBi93I5019v4NRgWSZA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B7%A8%EC%97%85%EC%A4%80%EB%B9%84%EC%83%9D%EC%9D%98+%EC%9A%B0%EC%9A%B8%2C+%EC%82%AC%ED%9A%8C%EC%A0%81%EC%A7%80%EC%A7%80%2C+%EC%9E%90%EA%B8%B0%ED%86%B5%EC%A0%9C%EB%A0%A5%EC%9D%B4+%EC%B7%A8%EC%97%85%EC%8A%A4%ED%8A%B8%EB%A0%88%EC%8A%A4%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rft.jtitle=The+Journal+of+the+Convergence+on+Culture+Technology+%28JCCT%29&rft.au=%EB%B0%95%ED%9A%A8%EC%A7%84&rft.au=%EC%9C%A0%EC%9D%80%EC%A3%BC&rft.au=%EC%9D%B4%ED%99%94%EB%AA%85&rft.date=2023-10-31&rft.issn=2384-0358&rft.volume=9&rft.issue=5&rft.spage=125&rft.epage=131&rft.externalDocID=437246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