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서비스 활용을 위한 디지털 트윈 정책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행정서비스 활용을 위한 디지털 트윈 정책 연구이다. 본 연구는 1,000명의 대상을 기반으로한 모바일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쨰, 디지털 트윈을 활용하기 위해 경기도 측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서비스 발굴이 선행되어야 한다. 경기도의 현장 업무에 적절한 디지털 트윈 서비스 발굴 시도가 우선적으로 선행되고 이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 증진이 필요하다. 둘쨰, 경기도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는 중앙정부 사업 과의 중복성은 방지하고 연계 활용 가능한 모델을 구축해야 하며, 도와 시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ol. 23; no. 3; pp. 35 - 43
Main Authors 옥진아, 유순덕, 정효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30.06.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행정서비스 활용을 위한 디지털 트윈 정책 연구이다. 본 연구는 1,000명의 대상을 기반으로한 모바일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쨰, 디지털 트윈을 활용하기 위해 경기도 측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서비스 발굴이 선행되어야 한다. 경기도의 현장 업무에 적절한 디지털 트윈 서비스 발굴 시도가 우선적으로 선행되고 이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 증진이 필요하다. 둘쨰, 경기도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는 중앙정부 사업 과의 중복성은 방지하고 연계 활용 가능한 모델을 구축해야 하며, 도와 시군의 현안 연관성이 높고 수요자 즉 도민이 원하는 행정서비스를 중심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셋쨰, 행정서비스 운영방식은 경기도의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 개발을 위해서 시범사업 참여를 통한 표준모델 구축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사업 추진 방식으로 경기도가 주관기관이 되어, 협약 사업 방식으로 추진하고, 경기도 디지털 트윈 자문위원단을 통해 사업 추진 전반에 대한 지원 체계를 마련하라는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넷째, 전담부서와 행정서비스 구축, 운영, 관리 등을 위한 관련 제도 마련이 되어야 한다. 경기도에서 디지털 트윈 실현을 위해서는 사업 추진 및 운영과 법⋅제도적 개선을 위한 다양한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 전담 조직이 필요하며, 전담 조직 지정을 위해서 기존 부서의 확대 개편 방안과 신설 부서 운영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한계 요인은 경기도 중심의 참여자들에 대한 조사로서 향후에는 전국을 기반으로 연구하는 것을 제언한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공적인 업무를 적용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AbstractLi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digital twin policies for the use of administrative service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mobile survey of 1,000 participan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utilize digital twin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first identify appropriate services that can be applied from the perspective of Gyeonggi Province. Efforts to identify digital twin services that are suitable for Gyeonggi Province's field work should be prioritized, and this should lead to increased efficiency in the work. Second, Gyeonggi Province's digital twin administrative services should prevent duplication with central government projects and establish a model that can be connected and utilized. It should be driven around current issues in Gyeonggi Province and the demands of citizens for administrative services. Third, to develop Gyeonggi Province's digital twin administrative services, a standard model development plan through participation in pilot projects should be considered. Gyeonggi Province should lead the project as the main agency and promote it through a collaborative project agreement. It is suggested that a support system for the overall project be established through the Gyeonggi Province Digital Twin Advisory Committee. Fourth, relevant regulations and systems for the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of dedicated departments and administrative services should be established. To achieve the realization of digital twins in Gyeonggi Province, a dedicated organization that can perform various roles in project promotion and operation, as well as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is necessary. To designate a dedicated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xpanding and reorganizing existing departments and evaluating the operation of newly established department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only surveyed participants from Gyeonggi Province, and it is recommended that future research be conducted nationwide. The expected effect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applying digital twin services to public work. 본 연구의 목적은 행정서비스 활용을 위한 디지털 트윈 정책 연구이다. 본 연구는 1,000명의 대상을 기반으로한 모바일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쨰, 디지털 트윈을 활용하기 위해 경기도 측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서비스 발굴이 선행되어야 한다. 경기도의 현장 업무에 적절한 디지털 트윈 서비스 발굴 시도가 우선적으로 선행되고 이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 증진이 필요하다. 둘쨰, 경기도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는 중앙정부 사업과의 중복성은 방지하고 연계 활용 가능한 모델을 구축해야 하며, 도와 시군의 현안 연관성이 높고 수요자 즉 도민이 원하는 행정서비스를 중심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셋쨰, 행정서비스 운영방식은 경기도의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 개발을위해서 시범사업 참여를 통한 표준모델 구축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사업 추진 방식으로 경기도가 주관기관이 되어, 협약사업 방식으로 추진하고, 경기도 디지털 트윈 자문위원단을 통해 사업 추진 전반에 대한 지원 체계를 마련하라는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넷째, 전담부서와 행정서비스 구축, 운영, 관리 등을 위한 관련 제도 마련이 되어야 한다. 경기도에서 디지털 트윈 실현을 위해서는 사업 추진 및 운영과 법·제도적 개선을 위한 다양한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 전담 조직이 필요하며, 전담 조직 지정을 위해서 기존 부서의 확대 개편 방안과 신설 부서 운영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한계 요인은 경기도 중심의 참여자들에 대한 조사로서 향후에는 전국을 기반으로 연구하는 것을 제언한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공적인 업무를 적용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행정서비스 활용을 위한 디지털 트윈 정책 연구이다. 본 연구는 1,000명의 대상을 기반으로한 모바일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쨰, 디지털 트윈을 활용하기 위해 경기도 측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서비스 발굴이 선행되어야 한다. 경기도의 현장 업무에 적절한 디지털 트윈 서비스 발굴 시도가 우선적으로 선행되고 이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 증진이 필요하다. 둘쨰, 경기도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는 중앙정부 사업 과의 중복성은 방지하고 연계 활용 가능한 모델을 구축해야 하며, 도와 시군의 현안 연관성이 높고 수요자 즉 도민이 원하는 행정서비스를 중심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셋쨰, 행정서비스 운영방식은 경기도의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 개발을 위해서 시범사업 참여를 통한 표준모델 구축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사업 추진 방식으로 경기도가 주관기관이 되어, 협약 사업 방식으로 추진하고, 경기도 디지털 트윈 자문위원단을 통해 사업 추진 전반에 대한 지원 체계를 마련하라는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넷째, 전담부서와 행정서비스 구축, 운영, 관리 등을 위한 관련 제도 마련이 되어야 한다. 경기도에서 디지털 트윈 실현을 위해서는 사업 추진 및 운영과 법⋅제도적 개선을 위한 다양한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 전담 조직이 필요하며, 전담 조직 지정을 위해서 기존 부서의 확대 개편 방안과 신설 부서 운영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한계 요인은 경기도 중심의 참여자들에 대한 조사로서 향후에는 전국을 기반으로 연구하는 것을 제언한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공적인 업무를 적용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Author 옥진아
정효진
유순덕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옥진아
– sequence: 2
  fullname: 유순덕
– sequence: 3
  fullname: 정효진
BookMark eNo9zz9Lw0AYBvBDKlhrv4Lc4hi4vHe53E1Siv9qoUv3cL1cIBijJF3cHCJo57aipOAgiOCgg1C_kr18ByMVp_cZfs8D7zZqpBep2UBNACEdAow3_jMVW6id5_GIUOJKxhlvov1qfmefZrYoV1-FnTzj6qG0j692UWBbFtWsxKvp1L5cV8USV5OlLW_xL_-4wfb-_fvzbQdtRirJTfvvttDw8GDYPXb6g6OTbqfvGI8KZ0QIk5IL1yhNQ59rHvmEMcm0dDU1kfE9Bp7hPDJMey6EJlLEB1X3fABFaQvtrWfP4nwcB2mYJ0GvczqA-itXcEYBCKGidrtrZ1Q2jnVigsssPlfZVVAT6QH9ARJ5YlU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DEWEY 004
DatabaseName eARticle
KoreaScience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Computer Science
EISSN 2289-0246
EndPage 43
ExternalDocumentID JAKO202318643220038
432952
GroupedDBID ALMA_UNASSIGNED_HOLDINGS
M1Z
.UV
JDI
ID FETCH-LOGICAL-e538-b00499681eac3d76c6f704494c91c3efe75425e66fe4c512defa072ab00722a33
ISSN 2289-0238
IngestDate Fri Dec 22 11:58:43 EST 2023
Tue Apr 22 16:21:12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Issue 3
Keywords Administrative service utilization
Metabus
City planning
Digital Twin
Awareness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538-b00499681eac3d76c6f704494c91c3efe75425e66fe4c512defa072ab00722a33
Notes KISTI1.1003/JNL.JAKO202318643220038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1864322003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9
ParticipantIDs kisti_ndsl_JAKO202318643220038
earticle_primary_432952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306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3-06-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6
  year: 2023
  text: 202306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PublicationTitleAlternat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PublicationYear 2023
SSID ssib030194646
ssib053377388
ssib023738960
ssib044745939
ssib021620247
ssib036278198
Score 2.2211995
Snippet 본 연구의 목적은 행정서비스 활용을 위한 디지털 트윈 정책 연구이다. 본 연구는 1,000명의 대상을 기반으로한 모바일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쨰, 디지털 트윈을 활용하기 위해 경기도 측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서비스 발굴이 선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digital twin policies for the use of administrative service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mobile survey of 1,000...
SourceID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35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디지털 트윈 개념 2. 디지털 트윈의 주요기술 3. 디지털 트윈의 국내외 활용 사례 III. 디지털 트윈 활용 인식조사 1. 조사 개요 2. 도민 인식 3. 적용 분야 4. 적용을 위한 구현 단계 5. 활용 기대감 IV. 디지털 트윈 활용을 위한 정책제언 1. 행정서비스에 활용 2. 도민 수요 기반 행정 서비스 발굴 3. 디지털 트윈 적용 및 운영을 위한 행정 운영 방식 4. 관련 제도 마련 V. 결론 References
Title 행정서비스 활용을 위한 디지털 트윈 정책 연구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32952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18643220038&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Volume 2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i9QwNIx78iKKX-vH0oM5DSNtmqTJSdqZyrKyehlhb0OnH-AHs6KzFw_iYQTd866iVPAgiOBBD8L6j8Tt_AffS9OZriioUMIjeXkffenLS0leCLnC8I64JHV7XGgoYArpJWkuewFMF0k69pNxgb8GNm_K9dt8Y0tsdTrfW7uWdqbjq-nj354r-R-rQh3YFU_J_oNlF0ShAmCwL5RgYSj_ysY0HlAtqdI07tPQpVogoDjVfRpHNNIIY01IQ9412Nq09amGKtNNDwCpayDTFZEEwF2koDk-SDzALREx4tJIGVJANFJNP9U9IkLkUSVqogGNoCPgCmrTPN5tCS-MOHXrwIqDVGtGLsqAQGDUca3IStLQMzgSO2JNhLwtQW2AkKpaByVoZF5H2LcCG2WakWaYKhqKpsXoC3QUP4JitENWyr5dhdzaKFZ7wztcMOLt_yrMbzYBNu6XMdxMxurcM81cUZ-Ntt-E33L8dc4VG0LUiad-yePNfaYFBAvHfA_veNh8Ejd-j3kSBFgu6xhmm9LLZSv4YM1baeAg5gggkFv4Tc4D-NKW2V0hgg-AgrmMsVECYy07TmEZhmuTO604aniSnLALICessU6Rzr3t0-Ta_OWL6t1-NSsPv82q3ffO_HVZvflYvZ05VTmb75fO4d5e9eHpfHbgzHcPqvK5g-hfnjnVq88_vn46Q4bX42F_vWev9ujlOMOaDXZaKg-mfT8LZCqLANTQPNVe6udFjvcyi1zKIucphKRZXiRuwJIxJrpnie-fJSuT7Ul-njhexgpV8NQTQc61n8OKwk0Z87LE5-CEslVyrlF89KBO4DKqTbFK1sx7GE2yR_dHG-GNWzgMPAUxOsMtm-rCH7teJMeXQ-YSWZk-3MkvQ3A6Ha8Zy_4E3G5od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6%89%EC%A0%95%EC%84%9C%EB%B9%84%EC%8A%A4+%ED%99%9C%EC%9A%A9%EC%9D%84+%EC%9C%84%ED%95%9C+%EB%94%94%EC%A7%80%ED%84%B8+%ED%8A%B8%EC%9C%88+%EC%A0%95%EC%B1%85+%EC%97%B0%EA%B5%AC&rft.jtitle=%ED%95%9C%EA%B5%AD%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D%86%B5%EC%8B%A0%ED%95%99%ED%9A%8C+%EB%85%BC%EB%AC%B8%EC%A7%80&rft.au=%EC%98%A5%EC%A7%84%EC%95%84&rft.au=%EC%9C%A0%EC%88%9C%EB%8D%95&rft.au=%EC%A0%95%ED%9A%A8%EC%A7%84&rft.date=2023-06-30&rft.issn=2289-0238&rft.volume=23&rft.issue=3&rft.spage=35&rft.epage=43&rft.externalDocID=432952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9-023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9-023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9-023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