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적 관점에서 바라본 인스타그램 중독

기술의 배후에는 디자인이 존재한다. 디자인은 일상 생활의 필요성과 시장 구조와 얽혀 기술을 다루면서도 그 의미에 대해서는 둔감해질 수 있다. 다른 소셜 미디어 플랫폼들과 달리 인스타그램은 이미지 기반의 콘텐츠로 이루어 진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독성 있는 인스타그램 디자인 기능의 검토하고 나아가 디자이너가 지녀야 할 윤리적 책임에 대해 논의한다. 선행 연구된 국내외 주요 문헌의 고찰을 통해 먼저 인스타그램 디자인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 적 틀을 수립한다. 인스타그램의 역사 및 구조와 기능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지어 소셜 미디어 중...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9; no. 6; pp. 339 - 345
Main Author 한창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31.1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Cover

Loading…
Abstract 기술의 배후에는 디자인이 존재한다. 디자인은 일상 생활의 필요성과 시장 구조와 얽혀 기술을 다루면서도 그 의미에 대해서는 둔감해질 수 있다. 다른 소셜 미디어 플랫폼들과 달리 인스타그램은 이미지 기반의 콘텐츠로 이루어 진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독성 있는 인스타그램 디자인 기능의 검토하고 나아가 디자이너가 지녀야 할 윤리적 책임에 대해 논의한다. 선행 연구된 국내외 주요 문헌의 고찰을 통해 먼저 인스타그램 디자인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 적 틀을 수립한다. 인스타그램의 역사 및 구조와 기능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지어 소셜 미디어 중독을 조장하는 인스 타그램 디자인 특성을 확인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디자인을 ‘더 나은 삶을 위한 문제해결의 방법론’으로 정의할 때, 디자인에 있어서 오늘날 디자이너의 역할은 어떠한 문제를 중심으로 어떠한 해결방법을 제시해야 하는지 에 대한 성찰을 시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적 쟁점을 통해 인스타그램이 사용자의 중독을 조장하는 메커니즘을 소개하였다. (1) 당겨서 새로고침(Pull-to-Refresh) (2) 푸시 알람에서의 빨간색 색채 (3) 인스타그램 스토리의 프로 필 사진 테두리 표현이 그것이다. 이러한 디자인은 사용자의 사회적 욕구와 포모(FOMO, fear of missing out)심리 를 자극해, 강박적인 인스타그램 사용 습관의 구조를 형성한다. 인스타그램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디자인과 디자이너 의 윤리적 역할을 재고하게끔 하는 사례다. 디지털이 미치는 영향력이 강력한 오늘날의 세계에서 디자이너는 디자인 의 목적, 즉 우리 사회와 삶 자체를 포함하여 만드는 것의 본질적인 가치에 대한 재정립이 촉구된다.
AbstractList 기술의 배후에는 디자인이 존재한다. 디자인은 일상 생활의 필요성과 시장 구조와 얽혀 기술을 다루면서도 그 의미에 대해서는 둔감해질 수 있다. 다른 소셜 미디어 플랫폼들과 달리 인스타그램은 이미지 기반의 콘텐츠로 이루어 진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독성 있는 인스타그램 디자인 기능의 검토하고 나아가 디자이너가 지녀야 할 윤리적 책임에 대해 논의한다. 선행 연구된 국내외 주요 문헌의 고찰을 통해 먼저 인스타그램 디자인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 적 틀을 수립한다. 인스타그램의 역사 및 구조와 기능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지어 소셜 미디어 중독을 조장하는 인스 타그램 디자인 특성을 확인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디자인을 ‘더 나은 삶을 위한 문제해결의 방법론’으로 정의할 때, 디자인에 있어서 오늘날 디자이너의 역할은 어떠한 문제를 중심으로 어떠한 해결방법을 제시해야 하는지 에 대한 성찰을 시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적 쟁점을 통해 인스타그램이 사용자의 중독을 조장하는 메커니즘을 소개하였다. (1) 당겨서 새로고침(Pull-to-Refresh) (2) 푸시 알람에서의 빨간색 색채 (3) 인스타그램 스토리의 프로 필 사진 테두리 표현이 그것이다. 이러한 디자인은 사용자의 사회적 욕구와 포모(FOMO, fear of missing out)심리 를 자극해, 강박적인 인스타그램 사용 습관의 구조를 형성한다. 인스타그램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디자인과 디자이너 의 윤리적 역할을 재고하게끔 하는 사례다. 디지털이 미치는 영향력이 강력한 오늘날의 세계에서 디자이너는 디자인 의 목적, 즉 우리 사회와 삶 자체를 포함하여 만드는 것의 본질적인 가치에 대한 재정립이 촉구된다.
Design exists behind technology. Design is intertwined with the needs of daily life and market structures, and while dealing with technology, it can become insensitive to its meaning. Unlike other social media platforms, Instagram consists of image-based con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ddictive design of Instagram. Furthermore, we discuss the ethical responsibilities that designers must hav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Instagram design is established through a review of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that has been previously studied. Understand the history, structure, and functions of Instagram and identify Instagram designs that promote social media addiction. In this study, we introduced the mechanism by which Instagram promotes user addiction through design issues. (1) Pull-to-Refresh (2) Red color in push alarm (3) Profile photo border expression in Instagram Story. This design stimulates users' social desires and FOMO, forming the structure of obsessive Instagram usage habits. Instagram is an example that forces us to reconsider the ethical role of design and designers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In today's world, the intrinsic value of what they create, including our society and life itself. 기술의 배후에는 디자인이 존재한다. 디자인은 일상 생활의 필요성과 시장 구조와 얽혀 기술을 다루면서도 그 의미에 대해서는 둔감해질 수 있다. 다른 소셜 미디어 플랫폼들과 달리 인스타그램은 이미지 기반의 콘텐츠로 이루어진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독성 있는 인스타그램 디자인 기능의 검토하고 나아가 디자이너가 지녀야 할 윤리적 책임에 대해 논의한다. 선행 연구된 국내외 주요 문헌의 고찰을 통해 먼저 인스타그램 디자인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수립한다. 인스타그램의 역사 및 구조와 기능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지어 소셜 미디어 중독을 조장하는 인스타그램 디자인 특성을 확인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디자인을 '더 나은 삶을 위한 문제해결의 방법론'으로 정의할 때, 디자인에 있어서 오늘날 디자이너의 역할은 어떠한 문제를 중심으로 어떠한 해결방법을 제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성찰을 시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적 쟁점을 통해 인스타그램이 사용자의 중독을 조장하는 메커니즘을 소개하였다. (1) 당겨서 새로고침(Pull-to-Refresh) (2) 푸시 알람에서의 빨간색 색채 (3) 인스타그램 스토리의 프로필 사진 테두리 표현이 그것이다. 이러한 디자인은 사용자의 사회적 욕구와 포모(FOMO, fear of missing out)심리를 자극해, 강박적인 인스타그램 사용 습관의 구조를 형성한다. 인스타그램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디자인과 디자이너의 윤리적 역할을 재고하게끔 하는 사례다. 디지털이 미치는 영향력이 강력한 오늘날의 세계에서 디자이너는 디자인의 목적, 즉 우리 사회와 삶 자체를 포함하여 만드는 것의 본질적인 가치에 대한 재정립이 촉구된다.
Author 한창희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한창희
BookMark eNo9jj9Lw0AYxg-pYK39CpLFMZDLe_cm51aK_wtduofk7gLBGCXp4lZRFxcrBFxs6dDBUVAwg5-oOb-DkYrT88Dz48ezTVrZZaY3SNsFn9kOILb-O_e3SLcokshhzGNcUNom-3VZmvnUzCqzuLFWHxOzmJrnqbl7seq3sp591e-V9bs-LL9vJ6vPqp6_Wmb5VD_e75DNOEwL3f3LDhkdHoz6x_ZgeHTS7w1szQFtj3IZMs7Q8ZRSoDAKKY019SKGoF3tSur5GhQXsZCcNr9k5MtIIEYAolF0yN5ae54U4yTIVJEGp72zoeu4AAzR5QgosOF215wO83EiUx1c5clFmF8HjDkeRfgB92Rgn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DEWEY 306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Social Sciences (General)
EISSN 2384-0366
EndPage 345
ExternalDocumentID JAKO202334662563696
440716
GroupedDBID M1Z
.UV
JDI
ID FETCH-LOGICAL-e536-715ca454607ddd3d6ba11fe17b463e2e2c178e3d59f9c51745cb8cb966b339e53
ISSN 2384-0358
IngestDate Thu Jan 04 06:40:46 EST 2024
Tue Apr 22 16:20:53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6
Keywords Design Ethics
SNS중독
인스타그램
Social networking addiction
Instagram
Dark Pattern
디자인 윤리
UX Design
다크패턴
UX디자인
SNS
UX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536-715ca454607ddd3d6ba11fe17b463e2e2c178e3d59f9c51745cb8cb966b339e53
Notes KISTI1.1003/JNL.JAKO202334662563696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34662563696&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7
ParticipantIDs kisti_ndsl_JAKO202334662563696
earticle_primary_44071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3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3-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23
  text: 2023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PublicationTitleAlternate 문화기술의 융합
PublicationYear 2023
SSID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core 1.855563
Snippet 기술의 배후에는 디자인이 존재한다. 디자인은 일상 생활의 필요성과 시장 구조와 얽혀 기술을 다루면서도 그 의미에 대해서는 둔감해질 수 있다. 다른 소셜 미디어 플랫폼들과 달리 인스타그램은 이미지 기반의 콘텐츠로 이루어 진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독성 있는 인스타그램 디자인 기능의...
Design exists behind technology. Design is intertwined with the needs of daily life and market structures, and while dealing with technology, it can become...
SourceID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339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1. 인스타그램 개관 2. 중독을 위해 설계된 인스타그램 디자인 III. 결론 References
Title 디자인적 관점에서 바라본 인스타그램 중독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40716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34662563696&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Volume 9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B9sT15E8at-lByc0xJJMh_JeEuyKWVFvazQ27IzSUAsbanrxYNU1IsXV1jwYksPPXgUFNyDf1ET_wffzCSbVRRUCGHy8vL2Zd7w8mb2ze8hdCtQIXwGFHNVWQQu5VS6gtGxOyYhlWVJCC1Mgux9vvmQDrbYVpfWbHaXTORt9ey3-0r-x6pAA7vqXbL_YNmFUCBAG-wLZ7AwnP_KxjhLsKD6yFIsMiw80-jjJNKN2IM4sYezGCdUZzRYUsMUNo0Ink97WlLiGUmJEZAaCgFJvZ9kRjGOgamPI2JEguzQ3Eq0ArHlBg7ha1K0gW2pnDb-7XaibbfZCanOe9-3mKAwFC3GZ7G05q-D4EGaDpcWLbQCgoHi-tdA76RvKH3cIEk2yxgBacESW28HoQN1PWJx3FvXLJZG4LKbJRYAqfliEwtI-QtuNtVTVb6CVoiv_d-951nrZwK9ksa6f5cDQjWQot9dm0qoCz9FaUiZ6PwgRMghF6ay50JrHcs04wCmOTr2f7QUpwzPo3NN5zqx5bqAzjzevYjuVLNZfTStD-f18Qvn9MtBfTyt30_rVx-c6tOsOvxWfZ47-u6bk-8vD06_zqujj0598q56-_oSGm5kw3TTbapmuAUj3A19psaUUe6FeZ6TnMux75eFH0rKSREUgfLDqCA5E6VQGqacKRkpCbNeCb0KIi6j1Z3dneIqciJOlQKZwuye5rnwVSAhws5zj5RMjtfQlfadR3sWG2Vke30NrZsuGO3kT7ZHg_juA21yQjnMtrmuIHntj49eR2e74XEDrU72nxY3Ie6byHVjxB-bKUtd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94%94%EC%9E%90%EC%9D%B8%EC%A0%81+%EA%B4%80%EC%A0%90%EC%97%90%EC%84%9C+%EB%B0%94%EB%9D%BC%EB%B3%B8+%EC%9D%B8%EC%8A%A4%ED%83%80%EA%B7%B8%EB%9E%A8+%EC%A4%91%EB%8F%85&rft.jtitle=The+Journal+of+the+Convergence+on+Culture+Technology+%28JCCT%29&rft.au=%ED%95%9C%EC%B0%BD%ED%9D%AC&rft.date=2023-12-31&rft.issn=2384-0358&rft.volume=9&rft.issue=6&rft.spage=339&rft.epage=345&rft.externalDocID=440716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