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CP 재정의를 통한 효율적인 QoS 정책 구현: 네트워크 부하 분산을 위해
군은 4차 산업혁명으로 AI, 클라우드 컴퓨팅, 드론봇 운용 등 혁신적인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하급 제대의 모든 전투원에 이르기까지 IoT 기반의 네트워킹이 발생함으로써 정보교환 요구량이 급격히 증가할 것으 로 예상된다. 따라서 지상망, 정지위성 및 저궤도 소형통신 위성 등 다양한 기반체계를 통해 효율적인 정보유통을 보 장해야 하며, 이를 통해 유통되는 정보교환요구량을 적절히 분산시켜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유 통 시 QoS (Quality of Service)와 밀접히 관련된 DSCP에 11개...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9; no. 3; pp. 715 - 720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31.05.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0358 2384-0366 |
Cover
Loading…
Table of Contents:
-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관련이론 1. 라우팅과 DSCP 2. 군집분석 Ⅲ. 제안하는 방법 1. 데이터 중요도에 따른 DSCP 정의 2. 군집분석을 위한 설문조사 3. K-means 기반 정보교환요구목록 군집분석 Ⅳ. 제안하는 DSCP의 효과검증 1. 정보유통량의 측정 Ⅴ.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