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었다. 연구대상자는 P 시 S 부두의 항만하역에 종사하는 일개 업체의 근로자 299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2015년 4월22일부터 동년 6월 5일까지 수거하였다.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는 각각 평균 47.18점과 46.90점, 그리고 49.17점의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항만하역근로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하루 평균 30분 이상의 운동이 직무스트레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Vol. 25; no. 1; pp. 9 - 18
Main Authors 이상민, 문혜경, 오향옥, 최은경, 우경미, 이지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9.02.2016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2531
2466-1856
DOI10.5807/kjohn.2016.25.1.9

Cover

Loading…
Table of Contents:
  • Purpose: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 5. 자료분석 연구결과 1. 항만하역근로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 2.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의 정도 3. 항만하역근로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 4.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의 관계 5.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에 관한로지스틱 회귀분석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