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었다. 연구대상자는 P 시 S 부두의 항만하역에 종사하는 일개 업체의 근로자 299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2015년 4월22일부터 동년 6월 5일까지 수거하였다.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는 각각 평균 47.18점과 46.90점, 그리고 49.17점의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항만하역근로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하루 평균 30분 이상의 운동이 직무스트레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Vol. 25; no. 1; pp. 9 - 18
Main Authors 이상민, 문혜경, 오향옥, 최은경, 우경미, 이지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9.02.2016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2531
2466-1856
DOI10.5807/kjohn.2016.25.1.9

Cover

Loading…
Abstract 본 연구는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었다. 연구대상자는 P 시 S 부두의 항만하역에 종사하는 일개 업체의 근로자 299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2015년 4월22일부터 동년 6월 5일까지 수거하였다.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는 각각 평균 47.18점과 46.90점, 그리고 49.17점의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항만하역근로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하루 평균 30분 이상의 운동이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8).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와 직무스트레스는 약한 역상관관계(r=-.15), 자아탄력성과는 약한 정상관관계(r=.36)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은 자아탄력성이 높은 군이 낮은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2.54배 높게 나타났으며, 하루 평균 30분 이상의 운동을 하는 군이 하지 않는 군보다 유의하게 2.25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인 관계갈등 정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1.97배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자아탄력성을 높여주고, 관계갈등을 감소하기 위하여 동료들과의 지지적인 관계를 향상시켜주며, 작업장 내에서 하루 30분 이상의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한 후 퇴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본다.
AbstractList 본 연구는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었다. 연구대상자는 P 시 S 부두의 항만하역에 종사하는 일개 업체의 근로자 299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2015년 4월22일부터 동년 6월 5일까지 수거하였다.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는 각각 평균 47.18점과 46.90점, 그리고 49.17점의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항만하역근로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하루 평균 30분 이상의 운동이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8).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와 직무스트레스는 약한 역상관관계(r=-.15), 자아탄력성과는 약한 정상관관계(r=.36)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은 자아탄력성이 높은 군이 낮은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2.54배 높게 나타났으며, 하루 평균 30분 이상의 운동을 하는 군이 하지 않는 군보다 유의하게 2.25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인 관계갈등 정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1.97배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자아탄력성을 높여주고, 관계갈등을 감소하기 위하여 동료들과의 지지적인 관계를 향상시켜주며, 작업장 내에서 하루 30분 이상의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한 후 퇴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본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container terminal worker's recovery experience from job stress. Methods: The subjects were 299 workers from one S dock in P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5 to June 5, 2015 and analyzed by SPSS/WIN 18.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s of job stress, ego-resilience, and recovery experience from job stress were 47.18, 46.90, and 49.17 respectively. Recovery experi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aily exercise.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covery experience and job stress,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covery experience and ego-resilience. Recovery experience was 2.54 times higher for a high ego-resilience group than for a low ego-resilience group, and the group that exercised was 2.25 times higher, than the non-exercising group.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interpersonal conflict was 1.97 times higher, than a group with a high level of interpersonal conflict.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intervention programs to increase ego-resilience, decrease interpersonal conflict, and encourage over 30-minute-daily exercise for in container terminal worker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recovery experience of job stress. KCI Citation Count: 4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container terminal worker's recovery experience from job stress. Methods: The subjects were 299 workers from one S dock in P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5 to June 5, 2015 and analyzed by SPSS/WIN 18.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s of job stress, ego-resilience, and recovery experience from job stress were 47.18, 46.90, and 49.17 respectively. Recovery experi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aily exercise.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covery experience and job stress,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covery experience and ego-resilience. Recovery experience was 2.54 times higher for a high ego-resilience group than for a low ego-resilience group, and the group that exercised was 2.25 times higher, than the non-exercising group.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interpersonal conflict was 1.97 times higher, than a group with a high level of interpersonal conflict.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intervention programs to increase ego-resilience, decrease interpersonal conflict, and encourage over 30-minute-daily exercise for in container terminal worker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recovery experience of job stress.
본 연구는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었다. 연구대상자는 P 시 S 부두의 항만하역에 종사하는 일개 업체의 근로자 299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2015년 4월22일부터 동년 6월 5일까지 수거하였다.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는 각각 평균 47.18점과 46.90점, 그리고 49.17점의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항만하역근로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하루 평균 30분 이상의 운동이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8).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와 직무스트레스는 약한 역상관관계(r=-.15), 자아탄력성과는 약한 정상관관계(r=.36)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은 자아탄력성이 높은 군이 낮은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2.54배 높게 나타났으며, 하루 평균 30분 이상의 운동을 하는 군이 하지 않는 군보다 유의하게 2.25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인 관계갈등 정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1.97배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자아탄력성을 높여주고, 관계갈등을 감소하기 위하여 동료들과의 지지적인 관계를 향상시켜주며, 작업장 내에서 하루 30분 이상의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한 후 퇴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본다.
Author 문혜경
최은경
이상민
우경미
이지현
오향옥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상민
– sequence: 2
  fullname: 문혜경
– sequence: 3
  fullname: 오향옥
– sequence: 4
  fullname: 최은경
– sequence: 5
  fullname: 우경미
– sequence: 6
  fullname: 이지현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8666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ptkE1L3FAUhi9FoTr6A9yUbApuEu9Hzk3uchDrJwii60uSuWnTjElJBsRdxVnI4MKFo6OoKChulNJWUUH_kLn5D40dFy5cvS-chwfeM4wGkjRRCI0RbIGLnYn4e_otsSgm3KJgEUt8QEPU5twkLvCBqlPXMSkw8hGN5nnkY4K5wA6QIbRWdq-Ly-2y29P71893j8XZkT7Z0cc9Q19uFFc3hu6cl5374nSrKvrgp_Fy7bbLzXZxeqHbv_XxzXukUR5uF39vn_88lfuVeccoft3rh17R2TV0b6PcuxhBg6HXzNXoa9bQypep5ckZc2FxenayvmAqQrgwASvfVRy46_PQFkwAFqyhGgSA-YR6DlTbuN0I3dChAXdcajMSBkCUoiEIxmpovO9NslDGQSRTL_qfX1MZZ7K-tDwrwSGictfQ5z4aR3krkkkjb8q5-vziy1-xAE6FcEGQN9x66qfST9M4UElLZdLGgDF1OLMpwRX3qc8pL2tFQVPJH1m06mXrknLGGbB_JpSo3Q
ContentType Journal Article
Copyright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_xml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DBID M1Z
P5Y
SSSTE
JDI
ACYCR
DEWEY 610.73
DOI 10.5807/kjohn.2016.25.1.9
DatabaseName e-articles
Kyobo Scholar Journals
Scholar(스콜라)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Medicine
Nursing
DocumentTitleAlternate The Impacts of Job Stress and Ego-resilience on Recovery Experience from Job Stress in the Container Terminal Workers
EISSN 2466-1856
EndPage 1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571949
JAKO201609562998591
4050027634210
263635
GroupedDBID M1Z
M~E
P5Y
SSSTE
.UV
JDI
ACYCR
ID FETCH-LOGICAL-e1169-50eb8e6568b6f49395093ded1553b12a7522864df8f72c6782431fc51ee2f5933
ISSN 2287-2531
IngestDate Tue Nov 21 21:10:28 EST 2023
Fri Dec 22 12:04:01 EST 2023
Tue Feb 18 15:17:35 EST 2025
Tue Apr 18 04:00:45 EDT 2023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Issue 1
Keywords 근로자
탄력성
스트레스
Recovery of function
Worker
회복기능
Stress
Resilienc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1169-50eb8e6568b6f49395093ded1553b12a7522864df8f72c6782431fc51ee2f5933
Notes KISTI1.1003/JNL.JAKO201609562998591
G704-001949.2016.25.1.001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609562998591&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0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571949
kisti_ndsl_JAKO201609562998591
kyobo_bookcenter_4050027634210
earticle_primary_263635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60229
PublicationDateYYYYMMDD 2016-02-29
PublicationDate_xml – month: 02
  year: 2016
  text: 20160229
  day: 29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PublicationTitleAlternat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PublicationYear 2016
Publisher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Publisher_xml – name: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 name: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SSID ssib010690751
ssib036279146
ssib036279145
ssib016677791
ssib044750983
ssib051117333
Score 1.9400202
Snippet 본 연구는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었다. 연구대상자는 P 시 S 부두의 항만하역에 종사하는 일개 업체의 근로자 299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2015년 4월22일부터 동년 6월...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container terminal worker's recovery experience from job stress. Methods: The subjects were...
SourceID nrf
kisti
kyobo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9
SubjectTerms 간호학
TableOfContents Purpose: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 5. 자료분석 연구결과 1. 항만하역근로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 2.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의 정도 3. 항만하역근로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 4.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의 관계 5.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 정도에 관한로지스틱 회귀분석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Title 항만하역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에 미치는 영향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263635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50027634210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609562998591&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86668
Volume 25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16, 25(1), , pp.9-1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Lb9QwEI7acuGCQLzKowoSPlW7xHnaxyS7VSkqXFqpt2jzWCiLdtHSCsEBUdEDqnrogdIFUVQkql6oEFBEkYAf1GT_AzN29sVDgl4Sx49vxjNJPOPYE0W5rOtRJdJiu5A4Fb1gsmpUYBVQiBkxJ4b3nxZquHd4-ro9OWtOzVlzQ8M_-lYtLS6ExejhH_eVHEarkAd6xV2y_6HZLihkQBr0C0fQMBz_ScekXCLcIm6JlD3iOoT5eQ5npOwT7ogil3gO8XxRhxLui6Iy4ZpIQH02jilsT0Uln3imyGIucU2EhITHRJlGGOsrAgBOmDY-iGkRJpsZIiGauZZoZhKP5nRzIoegOy666Yr-esQziGeJburEK4kipycBjswBwIRAAhJclHmIxCU5uEYOoJ0NbPab6x1x-gJeSrrLsYBnkjIF1kVCw_oyIWUA4EhY4vA-xiVO92tRVyiil0ZHJsC236sihcRy3Jwt7PUACsulJ7rTybH6q3hW5z4o4VKXAZR8CoiKVeP5PJEYKXRwewu6lQ-n-bAm95MPPL5yjOJ9xo4c-34dRi0mVs7UbjduYYhgahd1q0iLvGczdFdy6rYBJuuwckQHNw1_nTL9qNx5n1OMgu30vjpT23YcpxebCWwnuOp91c6vu-YxxqLUuIik2-2hXJiADF75jT20J_NnEVxN9L_m8fygETbAcqw3q32W48xx5Vju8qmubHNCGao1Tir32-u76c5qe72VbewefPmWvnmVvV7LNltqtrOUvttTs5W37ZX9dOspJLIXj1UsXV9uP1lOt7az5Q_Z5t6faqrtl6vpp88HH7-3NwB5TU3f72dfW-nKMzVrLbWfb59SZifKM_5kIf8JSiGh1OYFS0tCloDXxUK7anKDg0iMOInxf18h1SsOOFDMNuMqqzp6BKanDi5BNbJokuhVixvGaWWk3qgnZxXVMXAbfKRVwO0yK0wLjbgSUxayyKaxZmujypmO_IK7MtZNIPU7qowJcQb1-N6dYMq9dgPFjjFMwZrFCJhYAeUc4NQALitPmgG4gjjpZRumTgH7EiggqEXzAQa0x_PNRlBrBuC2Xw0sh3KTn_sr_fPK0d59f0EZWWguJhfBGVgIx8Qd9xOogd0n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5%AD%EB%A7%8C%ED%95%98%EC%97%AD%EA%B7%BC%EB%A1%9C%EC%9E%90%EC%9D%98+%EC%A7%81%EB%AC%B4+%EC%8A%A4%ED%8A%B8%EB%A0%88%EC%8A%A4%EC%99%80+%EC%9E%90%EC%95%84%ED%83%84%EB%A0%A5%EC%84%B1%EC%9D%B4+%EC%A7%81%EB%AC%B4+%EC%8A%A4%ED%8A%B8%EB%A0%88%EC%8A%A4+%ED%9A%8C%EB%B3%B5%EA%B2%BD%ED%97%98%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rft.jtitle=%ED%95%9C%EA%B5%AD%EC%A7%81%EC%97%85%EA%B1%B4%EA%B0%95%EA%B0%84%ED%98%B8%ED%95%99%ED%9A%8C%EC%A7%80&rft.au=%EC%9D%B4%EC%83%81%EB%AF%BC&rft.au=%EB%AC%B8%ED%98%9C%EA%B2%BD&rft.au=%EC%98%A4%ED%96%A5%EC%98%A5&rft.au=%EC%B5%9C%EC%9D%80%EA%B2%BD&rft.date=2016-02-29&rft.issn=2287-2531&rft.volume=25&rft.issue=1&rft.spage=9&rft.epage=18&rft_id=info:doi/10.5807%2Fkjohn.2016.25.1.9&rft.externalDocID=263635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7-2531&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7-2531&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7-2531&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