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 수행에서 대상의 수가 공통성 지식 생성과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의 목적은 난이도가 다른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 활성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35명의 예비 생명과학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이 연구는 뇌파 기록을 위한 블록디자인으로 설계되었다. 피험자들이 공통성 발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파가 수집되었다. sLORETA 분석 방법과 상대파워스펙트럼 분석 방법은 2개의 소재로 구성된 쉬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와 5개의 소재로 구성된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뇌 활성 차이를 분석하는 데에 이용되었다. 그리고 공통성 발견 과제의 난이도에 따라 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ol. 43; no. 1; pp. 157 - 172
Main Authors 김용성, Yong-seong Kim, 정진수, Jin-su Je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01.04.2019
과학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3944
2733-4074
DOI10.21796/jse.2019.43.1.157

Cover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난이도가 다른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 활성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35명의 예비 생명과학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이 연구는 뇌파 기록을 위한 블록디자인으로 설계되었다. 피험자들이 공통성 발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파가 수집되었다. sLORETA 분석 방법과 상대파워스펙트럼 분석 방법은 2개의 소재로 구성된 쉬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와 5개의 소재로 구성된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뇌 활성 차이를 분석하는 데에 이용되었다. 그리고 공통성 발견 과제의 난이도에 따라 활성화된 대뇌 피질과 피질하 영역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결과, 세타파의 경우, 쉬운 난이도 과제와 비교하여 어려운 난이도 과제 수행 시 세파타의 활성은 전두엽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후두엽에서는 증가하였다. 알파파의 경우, 쉬운 난이도 수행시보다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전두엽에서 알파파의 활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베타파의 활성은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쉬운 난이도의 과제 수행시보다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감마파의 경우 쉬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와 비교하여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감마파의 활성이 전두엽에서는 감소하였고 두정엽과 측두엽에서는 활성이 증가하였다. 공통성 발견 과제의 난이도 수준은 대상이랑(cingulate gyrus), 쐐기소엽(cuneus), 혀이랑(Lingual gyrus), 후측 대상피질(posterior cingulate), 쐐기전 소엽(precuneus), 엽하영역(sub-gyral)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공통성 발견 과제의 난이도는 이미지로부터 인출된 시각적 정보와 위치정보를 통합하는 과정, 대상의 속성을 비교하고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 선택한 정보의 시각적 작업 기억 과정, 이 모든 과정에서의 주의집중에 대한 인지 과정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number of targets on common knowledge generation and brain activity during the common life science discovery task performance. In this study, 35 preliminary lif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This study was intentionally made a block designed for EEG recording. EEGs were collected while subjects were performing common discovery tasks. The sLORETA method and the relative power spectrum analysis method were used to analyze the brain activity difference and the role of activated cortical and subcortical reg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fficulty of common discovery task.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ase of the Theta wave, the activity of the Theta wav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rontal lobe and increased in the occipital lobe when the difficult difficulty task was compared with the easy difficulty task. In the case of Alpha wave, the activity of Alpha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rontal lobe when performing difficult task with difficulty. Beta wave activity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rontal lobe, parietal lobe, and occipital lobe when performing difficult task. Finally, in the case of Gamma wave, activity of Gamma wave decreased in the frontal lobe and activity increased in the parietal lobe and temporal lobe when performing the difficult difficulty task compared to the task of easy difficulty.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commonality discovery task is determined by the cingulate gyrus, the cuneus, the lingual gyrus, the posterior cingulate, the precuneus, and the sub-gyral where it was shown to have an impact. Therefore, the difficulty of the commonality discovery task is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visual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ma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omparing the attributes of the objects, select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visual work memory process of the selected information. It can be said to affect the process of perception.
AbstractLi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number of targets on common knowledge generation and brain activity during the common life science discovery task performance. In this study, 35 preliminary lif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This study was intentionally made a block designed for EEG recording. EEGs were collected while subjects were performing common discovery tasks. The sLORETA method and the relative power spectrum analysis method were used to analyze the brain activity difference and the role of activated cortical and subcortical reg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fficulty of common discovery task.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ase of the Theta wave, the activity of the Theta wav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rontal lobe and increased in the occipital lobe when the difficult difficulty task was compared with the easy difficulty task. In the case of Alpha wave, the activity of Alpha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rontal lobe when performing difficult task with difficulty. Beta wave activity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rontal lobe, parietal lobe, and occipital lobe when performing difficult task. Finally, in the case of Gamma wave, activity of Gamma wave decreased in the frontal lobe and activity increased in the parietal lobe and temporal lobe when performing the difficult difficulty task compared to the task of easy difficulty.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commonality discovery task is determined by the cingulate gyrus, the cuneus, the lingual gyrus, the posterior cingulate, the precuneus, and the sub-gyral where it was shown to have an impact. Therefore, the difficulty of the commonality discovery task is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visual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ma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omparing the attributes of the objects, select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visual work memory process of the selected information. It can be said to affect the process of percep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난이도가 다른 생명과학공통성 발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 활성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35명의 예비 생명과학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이 연구는 뇌파 기록을 위한 블록디자인으로 설계되었다. 피험자들이 공통성 발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파가 수집되었다. sLORETA 분석 방법과 상대파워스펙트럼 분석 방법은 2개의 소재로 구성된 쉬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와 5개의 소재로 구성된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뇌 활성 차이를 분석하는 데에 이용되었다. 그리고 공통성 발견 과제의 난이도에 따라 활성화된 대뇌 피질과 피질하 영역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결과, 세타파의 경우, 쉬운 난이도 과제와 비교하여 어려운 난이도 과제 수행 시 세파타의 활성은 전두엽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후두엽에서는 증가하였다. 알파파의 경우, 쉬운 난이도 수행시보다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전두엽에서 알파파의 활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베타파의 활성은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쉬운 난이도의 과제 수행시보다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감마파의 경우 쉬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와 비교하여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감마파의 활성이 전두엽에서는 감소하였고 두정엽과 측두엽에서는 활성이 증가하였다. 공통성 발견 과제의 난이도 수준은 대상이랑(cingulate gyrus), 쐐기소엽(cuneus), 혀이랑(Lingual gyrus), 후측 대상피질(posterior cingulate), 쐐기전소엽(precuneus), 엽하영역(sub-gyral)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공통성 발견 과제의 난이도는 이미지로부터 인출된 시각적 정보와 위치정보를 통합하는 과정, 대상의 속성을 비교하고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 선택한 정보의 시각적 작업 기억 과정, 이 모든 과정에서의 주의집중에 대한 인지과정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난이도가 다른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 활성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35명의 예비 생명과학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이 연구는 뇌파 기록을 위한 블록디자인으로 설계되었다. 피험자들이 공통성 발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파가 수집되었다. sLORETA 분석 방법과 상대파워스펙트럼 분석 방법은 2개의 소재로 구성된 쉬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와 5개의 소재로 구성된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뇌 활성 차이를 분석하는 데에 이용되었다. 그리고 공통성 발견 과제의 난이도에 따라 활성화된 대뇌 피질과 피질하 영역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결과, 세타파의 경우, 쉬운 난이도 과제와 비교하여 어려운 난이도 과제 수행 시 세파타의 활성은 전두엽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후두엽에서는 증가하였다. 알파파의 경우, 쉬운 난이도 수행시보다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전두엽에서 알파파의 활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베타파의 활성은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쉬운 난이도의 과제 수행시보다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감마파의 경우 쉬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와 비교하여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감마파의 활성이 전두엽에서는 감소하였고 두정엽과 측두엽에서는 활성이 증가하였다. 공통성 발견 과제의 난이도 수준은 대상이랑(cingulate gyrus), 쐐기소엽(cuneus), 혀이랑(Lingual gyrus), 후측 대상피질(posterior cingulate), 쐐기전소엽(precuneus), 엽하영역(sub-gyral)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공통성 발견 과제의 난이도는 이미지로부터 인출된 시각적 정보와 위치정보를 통합하는 과정, 대상의 속성을 비교하고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 선택한 정보의 시각적 작업 기억 과정, 이 모든 과정에서의 주의집중에 대한 인지과정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number of targets on common knowledge generation and brain activity during the common life science discovery task performance. In this study, 35 preliminary lif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This study was intentionally made a block designed for EEG recording. EEGs were collected while subjects were performing common discovery tasks. The sLORETA method and the relative power spectrum analysis method were used to analyze the brain activity difference and the role of activated cortical and subcortical reg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fficulty of common discovery task.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ase of the Theta wave, the activity of the Theta wav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rontal lobe and increased in the occipital lobe when the difficult difficulty task was compared with the easy difficulty task. In the case of Alpha wave, the activity of Alpha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rontal lobe when performing difficult task with difficulty. Beta wave activity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rontal lobe, parietal lobe, and occipital lobe when performing difficult task. Finally, in the case of Gamma wave, activity of Gamma wave decreased in the frontal lobe and activity increased in the parietal lobe and temporal lobe when performing the difficult difficulty task compared to the task of easy difficulty.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commonality discovery task is determined by the cingulate gyrus, the cuneus, the lingual gyrus, the posterior cingulate, the precuneus, and the sub-gyral where it was shown to have an impact. Therefore, the difficulty of the commonality discovery task is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visual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ma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omparing the attributes of the objects, select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visual work memory process of the selected information. It can be said to affect the process of perception. KCI Citation Count: 0
이 연구의 목적은 난이도가 다른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 활성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35명의 예비 생명과학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이 연구는 뇌파 기록을 위한 블록디자인으로 설계되었다. 피험자들이 공통성 발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파가 수집되었다. sLORETA 분석 방법과 상대파워스펙트럼 분석 방법은 2개의 소재로 구성된 쉬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와 5개의 소재로 구성된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뇌 활성 차이를 분석하는 데에 이용되었다. 그리고 공통성 발견 과제의 난이도에 따라 활성화된 대뇌 피질과 피질하 영역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결과, 세타파의 경우, 쉬운 난이도 과제와 비교하여 어려운 난이도 과제 수행 시 세파타의 활성은 전두엽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후두엽에서는 증가하였다. 알파파의 경우, 쉬운 난이도 수행시보다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전두엽에서 알파파의 활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베타파의 활성은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쉬운 난이도의 과제 수행시보다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감마파의 경우 쉬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와 비교하여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수행할 때 감마파의 활성이 전두엽에서는 감소하였고 두정엽과 측두엽에서는 활성이 증가하였다. 공통성 발견 과제의 난이도 수준은 대상이랑(cingulate gyrus), 쐐기소엽(cuneus), 혀이랑(Lingual gyrus), 후측 대상피질(posterior cingulate), 쐐기전 소엽(precuneus), 엽하영역(sub-gyral)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공통성 발견 과제의 난이도는 이미지로부터 인출된 시각적 정보와 위치정보를 통합하는 과정, 대상의 속성을 비교하고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 선택한 정보의 시각적 작업 기억 과정, 이 모든 과정에서의 주의집중에 대한 인지 과정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number of targets on common knowledge generation and brain activity during the common life science discovery task performance. In this study, 35 preliminary lif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This study was intentionally made a block designed for EEG recording. EEGs were collected while subjects were performing common discovery tasks. The sLORETA method and the relative power spectrum analysis method were used to analyze the brain activity difference and the role of activated cortical and subcortical reg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fficulty of common discovery task.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ase of the Theta wave, the activity of the Theta wav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rontal lobe and increased in the occipital lobe when the difficult difficulty task was compared with the easy difficulty task. In the case of Alpha wave, the activity of Alpha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rontal lobe when performing difficult task with difficulty. Beta wave activity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rontal lobe, parietal lobe, and occipital lobe when performing difficult task. Finally, in the case of Gamma wave, activity of Gamma wave decreased in the frontal lobe and activity increased in the parietal lobe and temporal lobe when performing the difficult difficulty task compared to the task of easy difficulty.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commonality discovery task is determined by the cingulate gyrus, the cuneus, the lingual gyrus, the posterior cingulate, the precuneus, and the sub-gyral where it was shown to have an impact. Therefore, the difficulty of the commonality discovery task is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visual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ma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omparing the attributes of the objects, select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visual work memory process of the selected information. It can be said to affect the process of perception.
Author 정진수
Yong-seong Kim
김용성
Jin-su Jeong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용성
– sequence: 2
  fullname: Yong-seong Kim
– sequence: 3
  fullname: 정진수
– sequence: 4
  fullname: Jin-su Jeong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6478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pNkctKHEEUhgtRcKK-gNnUJossulP36loOkotREETXRae6OrRjZkJXNoEsRrzkoossEh1hBtyEgAjxgmDAJ5qufofUOCLZnMM5_N8P5_yPwGS707YAzGMUEyyVeLbhbEwQVjGjMY4xlxOgQSSlEUOSTYIGJoRHVDE2DeacK94gJDkXhKMG-OS3B9Xp7vDqtv55DIdX1_Xetd-5gNV5f3h5Fha3_qQP_ZdeffjVH333O31YHXT99pYf9Ebr4Xn3P8r_7vr9AQyeYQosrD4fwPq4H6YAw-rPjf_bq779gL63VR_-mgVTebrp7Nx9nwHrL56vLbyKlldeLi40lyODJZZRjrPcJiIhgiPGKGbCpiZDJKGMGJVk4ZaMcZWZNA-VWWIYtkgZZGyGqUzoDHg69m2XuW6ZQnfS4q6_7ehWqZura4uaU0kZwkH7ZKxtFe5DoduZ29Svm0sro_9iKbgSVDChgo6MdabsOFfaXL8vi3dp-VFjpO9i0SEWPcI0oxrrEEuAHj-YuweACsklUfQfFTis3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HZB
Q5X
AAYXX
CITATION
JDI
ACYCR
DEWEY 370
DOI 10.21796/jse.2019.43.1.157
DatabaseName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CrossRef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 CrossRef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ducation
DocumentTitleAlternate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 수행에서 대상의 수가 공통성 지식 생성과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umber of Targets on Commonness Knowledge Generation and Brain Activity during the Life Science Commonness Discovery Task Performance
EISSN 2733-4074
EndPage 172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5373401
JAKO201917659636469
10_21796_jse_2019_43_1_157
3675729
GroupedDBID .UV
HZB
Q5X
AAYXX
CITATION
ALMA_UNASSIGNED_HOLDINGS
JDI
ACYCR
ID FETCH-LOGICAL-c1717-f1dfe8682650443146eacd028342c98d556d459dcaf59d4e2c41e09c0ced13783
ISSN 1225-3944
IngestDate Sun Mar 09 07:53:53 EDT 2025
Fri Dec 22 12:02:14 EST 2023
Tue Jul 01 03:07:01 EDT 2025
Fri Jun 20 02:13:36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c1717-f1dfe8682650443146eacd028342c98d556d459dcaf59d4e2c41e09c0ced13783
Notes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ISTI1.1003/JNL.JAKO201917659636469
http://dx.doi.org/10.21796/jse.2019.43.1.157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917659636469&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5373401
kisti_ndsl_JAKO201917659636469
crossref_primary_10_21796_jse_2019_43_1_157
kiss_primary_3675729
ProviderPackageCode CITATION
AAYXX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9-04
PublicationDateYYYYMMDD 2019-04-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19
  text: 2019-04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PublicationTitleAlternate 과학교육연구지
PublicationYear 2019
Publisher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name: 과학교육연구소
SSID ssib007556250
ssib022233769
ssib009283344
ssib053376941
ssib044738139
Score 1.6843449
Snippet 이 연구의 목적은 난이도가 다른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 활성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35명의 예비 생명과학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이 연구는 뇌파 기록을 위한 블록디자인으로 설계되었다. 피험자들이 공통성 발견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파가 수집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number of targets on common knowledge generation and brain activity during the common life science...
SourceID nrf
kisti
crossref
kiss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Index Database
Publisher
StartPage 157
SubjectTerms EEG
Life Science Commonness Discovery
Relative Power Spectrum
sLORETA
Task Difficulty
과제 난이도
교육학
뇌파
상대파워스펙트럼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Title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 수행에서 대상의 수가 공통성 지식 생성과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URI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3675729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917659636469&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64786
Volume 43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과학교육연구지, 2019, 43(1), , pp.157-172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Lb9NAELbacuGCQAVRHpWF2FOU4I137d2jnaYqRcCBViqnVfyqSiFBfVwQQq1a3j1wgJJKqcQFISEkClUlkPqLEuc_MLt2HLdQQbk49nhm9jHZnW-s8VjTrkbg9ELD8Io89GtFIvMbeQ3WFWB5D_7OkV3zVbXPW9bENJmcoTMDgzO5rKXlJa_kP_rjeyX_Y1WggV3lW7LHsGymFAhwDvaFI1gYjv9kY1StIGYiPoaqLnIcxCiqOsg1kVtB1THEKeIQ86ckKknMUicgRpCLC1LONRCvKKYyciqFnIYKcuS9guJniDOl1EKMSwq3ETdSVYrJRawiEyeSTjGsmECA5RU4sj1m_KVX0LLdU-WCkkJupClX1s-kZWCXZ9AcV8PJuNKOKi5nHLlMklyuOgNyDuJEaYdr2WU1QIcegdl7O2GWFtNPYXhQuNuozxbvhI0UCwC1N4W0NyKSzUT-aQvmuSSdxEHA_leULxPnPUhSaOrASkncAU6Kb6fIAicfKTrstCAo5PIByr1FWbYV8xIxS7iUieYrhB_y3Fk-JURySosAHULqEMQUWICOQe1E2bZVAsPNJ9Vsp7WpDHz7OzUHlGn2gZ4EjeB5MqBLiA3Irl8_lqq76rOw2YQkb6Spblz7bSgHUN8QhEaLEAzKCGkOMF19IcphuqnT2qnUsLqTrKwz2kBYH9Yex2vbnc9P27v73Xdbent3r_tsL17_pnd2Wu3vX4CwH39o6fGLZnfzZfz-Tbze0jsbK_HaarzdlOT2zkpOKv60Er_e1kEnXIGs3nm-oXe3WnAFwnrn64_4Z7Pz6q0eN1e7mx_PatPj1anKRDH9RknRxzYAvAgHUcgsCNIpzJIJuAOQTCBBOyn7nAUwzwGhPPBrERxJWPYJDg3uG34YYNNm5jltqN6oh-c13eYejbDn16gZEE8G_jgIDBZEVoS5XQtGtEJvDsXDpBSNONrwI9qwnOaM07RsCoH0iDaqpl3Ug8X7YtK5cVtKYdui4IktYgHDFbCHmPfnhKw8L39nG2J-QUB8fV1Q0zaJgS8cqysXtZP9pXRJG1paWA4vA5Rf8kbVv_IXG2rZW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83%9D%EB%AA%85%EA%B3%BC%ED%95%99+%EA%B3%B5%ED%86%B5%EC%84%B1+%EB%B0%9C%EA%B2%AC+%EA%B3%BC%EC%A0%9C+%EC%88%98%ED%96%89%EC%97%90%EC%84%9C+%EB%8C%80%EC%83%81%EC%9D%98+%EC%88%98%EA%B0%80+%EA%B3%B5%ED%86%B5%EC%84%B1+%EC%A7%80%EC%8B%9D+%EC%83%9D%EC%84%B1%EA%B3%BC+%EB%87%8C+%ED%99%9C%EC%84%B1%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rft.jtitle=Journal+of+Science+Education&rft.au=Kim+Yong-Seong&rft.au=%EC%A0%95%EC%A7%84%EC%88%98&rft.date=2019-04-01&rft.issn=1225-3944&rft.volume=43&rft.issue=1&rft.spage=157&rft.epage=172&rft_id=info:doi/10.21796%2Fjse.2019.43.1.15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10_21796_jse_2019_43_1_157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5-394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5-394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5-394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