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의 미백 문화에 대한 인종과 젠더의 상호교차적 연구를 위한 시론: 화이트워싱/옐로우워싱 논쟁을 중심으로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를 바탕으로 한류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소위 ‘K-뷰티’라고 불리는 한국의 뷰티 문화도 반향을 얻고 있다. K-뷰티에 대해서는 주로 시장의 성과 측면에서 만 조명되고 있으나, 한 사회의 뷰티 규범은 젠더 및 인종적 정체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부분임과 동시에 주체와 권력의 문제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질적인 해석이 요구되는 중요한 주제이다. 이러한 중요성에 입각해 본 연구는 K-뷰티의 핵심인 미백이 인종과 젠더의 차원이 교차하는 권력 구조 속에서 어떠한 논의를 생산해내고 있는지를 최근 한국 아이돌 그룹의 미백 보정 사진을...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Vol. 56; no. 2; pp. 43 - 78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English Korean |
Published |
언론정보연구소
01.05.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6195 2508-8629 |
DOI | 10.22174/jcr.2019.56.2.43 |
Cover
Summary: |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를 바탕으로 한류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소위 ‘K-뷰티’라고 불리는 한국의 뷰티 문화도 반향을 얻고 있다. K-뷰티에 대해서는 주로 시장의 성과 측면에서 만 조명되고 있으나, 한 사회의 뷰티 규범은 젠더 및 인종적 정체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부분임과 동시에 주체와 권력의 문제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질적인 해석이 요구되는 중요한 주제이다. 이러한 중요성에 입각해 본 연구는 K-뷰티의 핵심인 미백이 인종과 젠더의 차원이 교차하는 권력 구조 속에서 어떠한 논의를 생산해내고 있는지를 최근 한국 아이돌 그룹의 미백 보정 사진을 둘러싸고 일어난 화이트워싱/옐로우워싱 논쟁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K-뷰티의 핵심적 관습으로서의 미백이 백인 모방이라고 비판하는 입장과 오히려 그러한 비판 자체가 식민제국주의적 권력임을 주장하는 입장이 맞서는 과정에서, 아시아인에 대한 인종적 상상력에 비판적인 재고 및 수정의 가능성이 발견된다. 더불어 논쟁이 남성 아이돌에 집중된 양상을 들여다볼때, 백인 남성 중심의 세계 인종 및 젠더 질서 안에서 새로운 영역 및 남성성의 대안적 가능성으로 해석되고 있는 아시아 남성을 발견할 수 있다. K-뷰티가 만들어낸 상호교차적 정체성의 수행은 향후 더 구체적인 질문을 동반하는 새로운 연구의 장으로서 인식될 필요가 있다. With the expansion of Hallyu, Korean beauty culture called ‘K-beauty’ is gaining its popularity. While K-beauty has proved its power via market figure, it also requires more qualitative cultural interpretation, because the beauty norm of a society is not only closely related to the gender and racial identity performance but also raises the issue of subject and power. In recognition of its significance, this study examines the skin-whitening culture of Korean society, which is the core of K-beauty conventions and explores what kind of changes and challenges it produces in terms of racial and gender imagery of Asians. Recently, some international fans of K-pop have accused the photos of K-pop idols as ‘whitewashing’, but others refute this perspective as ‘yellowwashing’, thereby triggering the critical debate on the racial identity and performativity of Asians. Moreover, as whitewashing/yellowwashing debate is focused on male idols, it also raises the questions in terms of gender performativity. The soft masculinity of Korean male idols is recognized as a new alternative against toxic masculinity of western society. Thus, the intersectional identity performativity produced by K-beauty needs to be recognized as a new field of research.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1738-6195 2508-8629 |
DOI: | 10.22174/jcr.2019.56.2.43 |